카테고리 없음

유교문화 24절기 한로.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임. 2020년 10월 8일(음력 8월 22일)은 한로(寒露)입니다.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말뜻 그대로 찬이슬이 맺힌다는 절기입니다. 낮과 밤의 ..

beercola 2020. 10. 5. 14:38

유교문화 24절기 한로.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임. 2020년 10월 8일(음력 8월 22일)은 한로(寒露)입니다.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말뜻 그대로 찬이슬이 맺힌다는 절기입니다.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큽니다.

두산백과는 "한로 즈음에 단풍이 짙어지고, 한국에서는 이 시기에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그는 풍습이 있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한로(寒露)이후 유교의 최고신이신 하느님(天)을 중심으로 계절을 주관하시는 신들이신 오제(五帝)께서 베푸시는 아름다운 절기(상강)와 명절(중양절)이 곧 이어 다가옵니다. 상강()절기의 단풍철, 중양절(節)의 국화철이 한국의 가을을 아름답게 수놓게 됩니다. 

 

1]. 표준 국어대사전에서는 한로(寒露)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십사절기의 하나.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 195도인 때이다. 10 8일경이다. 

 

한편 한로(寒露)즈음의 절기식으로 화제를 돌려봅니다. 이전에는 농사인구가 많아서 농사짓는 사람들이 논에서 키우던 미꾸라지를 잡아 만든 추어탕을 이 즈음에 많이 먹었습니다 . 이전에는 서민음식이었지만, 지금은 논에서 미꾸라지를 키우는 가정이 줄어들어 서민음식이라 하기도 어렵습니다. 한국이 서비스업이나 제조업이 발달한 나라라 농업인구가 대폭 줄어들었습니다. 생활수준이 좋아져, 돈 있으면 쉽게 사먹을 수 있는 추어탕. 이전 한국의 서민들은 한로(寒露).상강() 즈음에 추어탕을 절기식으로 많이 먹었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서양인과 달리, 우유나 고기등을 많이 먹지 않고 곡식.채소등을 많이 먹어온 나라라, 각종 절기식에 보양효과가 있는 육류를 즐겨보는것도 좋겠습니다. 코로나 시대는 백신이 대중화 되기 전까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잘먹어서 면역력을 키우고, 잘자고, 손 잘 씻고, 거리두기하는 방법이 무난하다고 판단합니다.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나타나는 한로(寒露).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일곱 번째 절기. 24절기

 

내용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9월, 양력으로 10월 8일경이다.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말뜻 그대로 찬이슬이 맺힌다, 세시명절인 중양절( : )과 비슷한 때이다.

중양절에는 특별한 민속행사가 있으나 한로에는 이렇다 할 행사는 없고, 다만 24절기로서 지나칠 따름이다. 하지만 한로를 전후하여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그며, 온갖 모임이나 놀이가 성행한다.

한편, 이무렵 머리에 수유()를 꽂거나, 높은 데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든지 하는 내용이 한시에 자주 나타난다.

두보()의 “내년 이 모임에 누가 건재할 지 아는가, 얼근히 취한 눈으로 수유를 쥐고 자세히 들여다보네( ).”라는 시가 유명하다.

이무렵 높은 산에 올라가 수유열매를 머리에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는데, 이는 수유열매가 붉은 자줏빛으로 붉은색이 벽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로 즈음에는 찬 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욱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타작이 한창인 시기이다.

 

. 출처: 한로 [寒露]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한로(寒露).

한로[  ]    

요약 24절기 중 추분과 상강 사이의 절기로, 이 시기는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이다. 또한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와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다.
추분()과 상강() 사이의 절기로, 양력 10월 8일경이 시작되는 날이다. 이때 태양은 황경 195°의 위치에 온다. 음력으로는 9월절이다. 옛 중국에서는 한로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로 나눠서, ①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②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돌며, ③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하였다.

이 시기는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로,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서 서리로 변하기 직전이다. 또한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등 여름새와 기러기 등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다. 한국에서는 이 시기에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그는 풍습이 있다.

 

. 출처: 한로[寒露] (두산백과)

 

4]. 한국 세시풍속사전에 나타나는 한로(寒露).

한로

[  ]

분야계절날짜시절음식관련속담

절기
가을(음력 9월)
양력 10월 8~9일경
추어탕(鰍魚湯)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가을 곡식은 찬이슬에 영근다

 

정의

24절기 가운데 17번째 절기로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뜻의 절기. 한로()는 양력 10월 8~9일 무렵이 입기일()이며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올 때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공기가 차츰 선선해짐에 따라 이슬(한로)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이다.

내용

중국 사람들은 한로 15일 간을 5일씩 끊어서 3후()로 나누어 초후()에는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중후()에는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오며, 말후()에는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하였다.

『고려사()』 권50 「지()」4 역() 선명력() 상()2의 한로 관련 기록을 보면 “한로는 9월의 절기이다. 괘()는 태() 구삼()이다. 초후에 기러기가 와서 머문다. 차후에 참새가 큰물에 들어가 조개가 된다. 말후에 국화꽃이 누렇게 핀다(     ).”라고 하여 중국의 기록과 비슷하다.

한로 즈음은 찬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이다. 한편 여름철의 꽃보다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다.

한로는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때가 많으므로 중양절 풍속인 머리에 수유()를 꽂거나, 높은 데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든지 하는 내용이 한시()에 자주 나타난다. 높은 산에 올라가 머리에 수유를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는 수유열매가 붉은 자줏빛인데 붉은색은 양()색으로 벽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로와 상강() 무렵에 서민들은 시식()으로 추어탕()을 즐겼다. 『본초강목()』에는 미꾸라지가 양기()를 돋우는 데 좋다고 하였다. 가을에 누렇게 살찌는 가을 고기라 하여 미꾸라지를 추어()라 한 듯하다.

의의

전통 농경사회에서 자연 현상에 의한 기후의 변화는 매년 농사에 매우 중요했으며 정확해야 했다. 그래서 태양력을 이용한 이른바 24절기가 활용되었다. 음력이 윤달을 두어서 한 달씩 날짜가 밀릴 수 있다는 점에 비해, 24절기는 계절의 추이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농민으로서 이것을 아는 것을 “철을 안다”고 했고 “철을 안다”든가 “철이 났다”든가 하는 말은 소년이 성인이 되고, 또한 성숙한 농군이 됐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24절기를 많이 사용하였던 우리의 재래 역법은 순수한 음력이 아니라 이른바 태음태양력이다. 한로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상강과 함께 가을 절기에 해당되며, 세시명절이라기보다는 다만 기후의 변화를 읽는 절기로 유용했다.

 

. 출처: 한로[寒露] (한국세시풍속사전)

 

 

5].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에 나타나는 한로(露).

 

한로

[  ]

쌀쌀한 밤 기운에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이다. 이 때는 가을의 꽃 국화로 국화전과 국화술을 만들어 먹는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며, 조개가 나돌고 국화꽃이 노랗게 핀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10월 9일경이다.

 

. 출처:한로 [寒露]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2011. 5. 23., 정민, 박수밀, 박동욱, 강민경)

 

 

6]. 베이징관광국에 설명된 한로

 

4절기 중의 하나인 한로(寒露)는 기온이 점점 내려가서 찬이슬이 맺히는 시기이다.

이슬이 맺힌다는 것은 하루의 기온차이가 크게 벌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침저녁으로는 기온이 많이 내려가고 낮에는 햇볕으로 인하여 기온이 높다.

중국 사람들은 한로 15일 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중후(中候)에는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오며, 말후(末候)에는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하였다(鸿雁来宾、雀入水为蛤、菊有黄华).

 

한로 시기에 중국 각지에서 어떤 풍습이 있을까요?

 

단풍감상

한로 전후에 단풍 감상하러 향산으로 찾는 사람이 끊임없다. 이 시기에 베이징 향산 등지에서 단풍이 물들기 시작해 등산객들이 등산을 하며 가을정취를 만끽하고 있다.

 

참깨를 먹는다

한로 시절에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한다. 중국 민간에서는 이 절기에 참깨를 먹는다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특히 베이징에서는 참깨과자, 참깨녹두과자, 참깨전 등 참깨로 만든 음식이 인기 상품으로 되어 사랑을 많이 받는다.

농작물 관리에 유의한다

한로 무렵에 기온이 낮아지며 서리가 내리기 가능하여 농작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낚시하기

한로 무렵에 햇빛이 그렇게 강하지 않아서 낚시하기에 딱 좋은 시절이라고 할 수 있다. 청명한 하늘 아래, 선선한 바람이 부르면서 낚시하는 것은 일부 사람들의 취미다.

 

등고 登高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구에서 처음 ‘등고’라는 단어가 나왔다. 늦가을에 베이징에 있는 산에 올라 단풍을 감상하면서 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중국 남부 지역에서도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여 아침저녁의 기온이 낮아 일교차가 크다.

 

제철 과일 배

한루 무렵에 제철 과일 배는 기침과 가래를 가라앉히고 기관지 건강에 도움이 된다. 중국인들이 옛날부터 시원하고 달콤한 배를 활용해 배요리를 많이 한다. 배꿀찜,배숙,배주스 등 다양한 배요리가 기침 제거에 도움이 되다.

 

국화주를 마신다

 

한로와 비슷한 시기는 중양절이다. 이 때는 오곡백과를 추수하며 국화의 제철이기에 국화전, 국화주를 즐긴다. 국화주는 국화, 찹쌀, 술과 같이 담그며 고대 중국에서는 ‘장수주(长寿酒)’라고 불린다.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과 세계의 유교에 대해 되돌아보고, 더 잘 이해하고,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1. 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임.

http://blog.daum.net/macmaca/2524

 

2.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3. 불교 Monkey일본은 유교처럼 하느님의 형상닮은 인간의 고귀함 모르고,부처Monkey가 창조주에 대드는것 배워서,성씨없는 차돌이賤民천황(차돌이가 한국에 마당쇠賤民.불교Monkey서울대 전신 경성제대 설립)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주장하다 패전국됨. 할복자살.동물 윤회사상가짐.한국유교를 인정않다가 패전,조선성명복구령으로 5,000만 유교 성씨등록.공자나라.

세계최초의대학 중국 태학.국자감(베이징대로 계승),서유럽의 볼로냐.파리대, 한국사 성균관(성균관대). 동아시아 세계종교 유교(하느님,공자숭배),서유럽 세계종교 로마가톨릭(하느님, 예수숭배).세계4대 발명품 중국의 종이,화약,나침판,인쇄술.근대세계의 지배세력 서유럽.2차대전이후 미국 $화가 가장 영향력 큰 기축통화.

국사 성균관의 정통승계한 성균관대 졸업해야 생원.진사등의 양반됨.일본 하급군인들이 성씨없는 점쇠賤民(점쇠가 석쇠賤民.불교Monkey서울대 전신 경성제대설립)을 천황으로 옹립,하느님보다 높다 날뛰다 원자탄 쏘니까 항복
http://blog.daum.net/macmaca/3014

 

 

4. 해방이후 성균관대.유교 기득권은 학교교육(국사 성균관,세계사 유교, 윤리의 유교교육, 국어.한문의 삼강오륜등)에서 나옵니다.

한국에서는 성균관대가 최고(最古,最高) 대학 학벌입니다. 한국의 Royal대는 국사에 나오는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 그리고 세계사를 반영시 관습법적으로 교황윤허 서강대도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http://blog.daum.net/macmaca/2560

 

5. 일제 강점기에 세계종교 유교의 일원국가인 한국 유교를 종교로 인정치 않았는데,해방후 조선성명 복구령에 따라, 모든국민이 조선 유교 한문성씨와 본관을 의무등록, 현재는 5,000만이 행정법.관습법상 유교국. 헌법에 국교는 없음. 일제 강점기에 강제 포교된 일본 신도(불교), 일본 불교, 기독교 및 기타 특수하게 신흥종교로 피어난 원불교등의 주권은 한국영토에 없음.

 

한국은 수천년 세계종교 유교나라.불교는 한국 전통 조계종 천민 승려와 주권없는 일본 불교로 나뉘어짐.1915년 조선총독부 포교규칙은 후발 국지적 신앙인 일본신도(새로 만든 일본 불교의 하나).불교.기독교만 종교로 인정하였는데,일본항복으로 강점기 포교종교는 종교주권 없음.

부처는 브라만교에 대항해 창조주를 밑에 두는 무신론적 Monkey임.일본은 막부시대 불교국이되어 새로생긴 성씨없는 마당쇠 천민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주장하는 불교 Monkey나라.일본 신도는 천황이 하느님보다높다고 주장하는 신생 불교 Monkey임.한국은 헌법전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보장되어, 일본에 선전포고한 상태가 지속되는 나라임.생경하고 급격하게 새로 생긴 마당쇠 천민 천황이 세운 일제 강점기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에 남겨진 패전국 일제 잔재며, 마당쇠 천민 학교며, 부처 Monkey.일본 Monkey를 벗어날 수 없는 불교.일본Monkey 천민학교로, 한국 영토에서 축출해야 되는 대상임. 한국 영토에 주권이나 학벌같은건 없이 대중언론에서 덤비며 항거하는 일제 잔재에 불과함.

 

일제강점기 수천년 세계종교 유교의 일원인 한국유교를 인정않았음.하느님에 대드는 불교 일본 성씨없는 점쇠賤民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고 예수보다 높다고 자기들이 들여온 기독교의 신부억압과, 목사 고문.구타. 

http://blog.daum.net/macmaca/3044

 

6. 일본 신도는 일본 막부시절 전 주민을 절에 등록한후 일본의 종교체질이 왜곡된후 이를 기반으로 19세기에 독특하게 형성된 불교적.無神論的(後發局地的) Monkey사상으로 판단됨. 부처의 불교는 원래 창조주인 범천에 대항해 일어난 무신론적 Monkey사상인데, 고대에 여러 나라들에 왕성한 포교를해서 널리 퍼졌지만, 중국이나 한국같은 전통 유교국에서는 핍박을받아왔고, 승려들은 공식적인 교육기관도 없이 체계적인 교육도 받지 못해왔으며, 사회적 지위도 별로 높지 않았고, 유교에 빌붙어서 유교의 하부 사상으로 유교적 풍토에 적응해 온 외래 포교종교임.

 

미국은 적어도 창조주나 하느님을 부정하지는 않는데, 창조주보다 높다는 부처원숭이 불교국가가 된 일본. 막부시대 이후 전 주민을 절에 등록하여 기독교에 대항한 이후, 불교 원숭이 국가가 된 일본. 불교에 기반한 일본 신도는 원숭이 일본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예수보다 높다고, 한국 강점기때 기독교를 탄압함. 그리고 국지적 일본 신도와 일본 불교로 세계종교 유교(중국.한국.베트남.몽고 및 전세계 화교)의 일원이던 조선.대한제국 유교를 종교아닌 사회규범 정도로 오도하다가 패전국이 됨.

http://blog.daum.net/macmaca/2596

 

 

7. 한국인은 행정법상 모두 유교도임. 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2항 등에 의해 그렇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179

 

8. 한국에서는 Royal대인 성균관대가 최고대학이며 세계사를 반영시 관습법적으로 교황 윤허 Royal 서강대도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학벌이 높고 좋음). 서울대는 한국에 주권이나 학벌같은 건 없음. 단지 마음대로 등록하던 여러 신문에 남아있던, 친일부왜배들이 성균관대에 도전하면서 위세를 떨치고 있지만, 을사조약.한일병합이 무효인 나라에서 일본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주권없고 학벌없는 대학임은 변치 않음.

http://blog.daum.net/macmaca/2260

 

 

9.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는 불가피함. 그 동안의 한국 공교육 전통을 감안하면, 지엽적인 마찰이 생겨도 수천년 인류역사를 담은 세계사와의 연계는 가장 옳은 정답에 해당됩니다. 한나라이후 세계종교로 동아시아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잡아온 유교전통.

해방후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 대학 지위는 성균관대로 계승, 제사(석전)는 성균관으로 분리됨. 최고 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 원)이 승계하였습니다. 한국의 Royal대는 국사에 나오는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 그리고 세계사를 반영하여 관습법적으로 교황윤허 서강대.

http://blog.daum.net/macmaca/2575

 

10. 유교의 내세관(來世觀)과 기복신앙(祈福信仰) 측면에 대한 고찰.

http://blog.daum.net/macmaca/800

 

11. 유교국가의 전통적 특징중 하나는 호적(戶籍)제도였음. 한국과 중국의 호적제도에 관하여!

http://blog.daum.net/macmaca/2492

 

 

12. 세계사로 볼때,한나라때 동아시아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은 이미 세계종교 유교가 자리잡았음. 위만조선.한사군때 유교가 한국에 들어왔다고 하는데, 고려.조선시대는 기자조선도 인정했었음. 한자, 한문성씨사용,고인돌, 고대 부여 영고,고구려동맹, 예의 무천,삼한의 상달제등 제천의식이나 전통 유교풍속은 황하문명에서 피어난 상고시대 유교의 영향을 나타냄. 이후 삼국시대는 부여 및 삼한의 유교를 승계하여 난생신화같은 하늘의 아들 의식, 하늘숭배.조상숭배가 있는 설날.추석.단오.한식같은 유교 명절, 유교 교육, 한자의 사용, 한문성씨의 사용등이 있었고, 불교는 중국불교형태로 받아들였지만,거센 반발때문에, 신라의 경우 이차돈의 순교가 있고나서야 후발 외래 포교종교로 불교를 받아들임. 고려는 치국의 도가 유교, 수신의 도가 불교였는데, 유교의 각종 명절과 제사가 있었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이 있었음.

새롭게 종교인구 산출을 어떻게 해도, 한국인은 행정법상 모두 유교도임. 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2항 등에 의해 그렇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