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대 합격에 중요한 요소. PEET, 서류, 면접등 다양함.
약대 합격에 중요한 요소. PEET, 서류, 면접등 다양함.
1.
[PEET 점수대별 합격가능 대학]
PEET 점수대 | 합격가능대학 |
330이상 | 성균관대, 중앙대 |
320이상~330미만 | 경희대, 이화여대 |
310이상~320미만 | 강원대, 경북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부산대, 서울대, 아주대, 연세대, |
310미만 | 가천대, 가톨릭대, 경상대, 경성대, 계명대, 고려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목포대, |
.출처:PEET 입시정보
2012 PEET 분석 - About 합격점수, 2013. 1. 21.
http://m.blog.naver.com/skyman6225/20176718795
2. 약대의 전통적 주요대학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로 판단됩니다. 이 뒤에서 강원대, 경북대, 덕성여대, 동덕여대, 부산대, 서울대, 아주대, 연세대, 충남대, 충북대, 한양대가 보이는데, 어찌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약대 주요대학들인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의 전통은 필자도 알고 있습니다. 경성제대 후신인 서울대의 점수는 왜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3. PEET란?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
[ 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
약어 | PEET |
---|
2006년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2009년부터 약학대학의 학제가 기존 4년제에서 6년제로 바뀐 제도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약대의 학제는 2+4로 변경돼 약학을 전공하려면 다른 학과나 학부에 입학해 2년간 기초ㆍ교양 수업을 받은 뒤 약대입문자격시험을 치러야 한다. 한국약학대학협의회는 2010년 2월 18일 2010년 하반기부터 치러질 제1회 PEET의 과목을 언어ㆍ생물ㆍ화학ㆍ유기화학ㆍ물리 추론 등 5개로 결정한 바 있다. 이 시험은 대학 2년 이상 과정을 수료(2011년 2월 수료예정자 포함)하거나 동등한 자격을 갖추고, 대학별로 요구하는 사전이수과목을 이수해야 자격이 주어지게 된다.
.출처:약학대학 입문자격 시험[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 Royal대학인 성균관대 관련자료들을 중심으로 인용하면서, 최근의 약대 입시 흐름에 대해 이해하고, 교육.연구자료로 활용코자 하오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