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矛盾(모순). 창과방패의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관계.

beercola 2016. 2. 9. 12:59

@ 矛盾(모순). 창과방패의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관계. 이 矛盾(모순)에 대해 한자사전인 오픈마인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창과 방패(防牌)'라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行動)의 앞뒤가 서로 일치(一致)되지 아니함

출전

한비자(韓非子)

 

유래

 

전국(戰國) 시대(時代) 초(楚)나라에 무기 상인(商人)이 있었다. 그는 시장으로 창과 방패를 팔러 나갔다. 상인(商人)은 가지고 온 방패를 들고 큰소리로 외쳤다. 「이 방패를 보십시오. 아주 견고하여 어떤 창이라도 막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창을 들어올리며 외쳤다. 「여기 이 창을 보십시오. 이것의 예리함은 천하(天下) 일품, 어떤 방패라도 단번에 뚫어 버립니다.」 그러자 구경꾼 중에 어떤 사람이 말했다. 「그 예리하기 짝이 없는 창으로 그 견고하기 짝이 없는 방패를 찌르면 도대체 어찌 되는 거요?」 상인(商人)은 말문이 막혀 눈을 희번덕거리고 있다가 서둘러 달아나고 말았다.

 

 

 

@矛盾(모순)에 대해  국립국어원의 국어사전에서는 철학적 측면으로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투쟁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여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 이 矛盾(모순)과 비슷하게, 2차대전을 통하여 승전국과 패전국이 갈렸지만, 한편으로는 세계사의 기득권 세력과, UN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 및 승전국 그리고 UN적국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시대가 2차대전후의 세계입니다.

 

성균관(해방후에 성균관대로 승계됨)이 최고대학이었고, 유교가 국교고, 전주이씨의 조선왕조(대한제국)가 王(대한제국은 황제)이라는 통치자로 주권을 행사하였던 나라가 조선(대한제국)입니다. 대한제국은 불법.강제의 일본 강점기와 국내법상으로는 대한제국의 형식적 승인을 받지 못한 美軍政(그런데, 실질적으로는 부분적인 국제법상 미군정이 지배권을 행사함. 이와 비슷하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형식상 대한제국의 승인을 받지 못했지만, 부분적으로는 국내법상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함)을 거치면서 성균관의 계승대학 성균관대는 여러가지 복잡하고 갈등이 노출되는 상태에서 존재해 왔습니다.

 

 

여하튼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승전국(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처럼 추축국인 일본등에 선전포고한 정부)과 패전국, UN 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과 UN적국이 얽혀있는 세계입니다만, 필자는 公敎育에서 가르치는 다음 내용들을 대중언론보다는 분명하게 우위에 두고 있습니다. 矛盾(모순)처럼 일치되지 않는 대립적 상태도 부분적으로 혼재되어 있지만, 공교육에서 가르쳐온 내용이라 가장 존중하고 있는 학설.이론들입니다.        

 

 

한국은 공교육에서 오랫동안 다음과 같이 교육을 시켜왔습니다.

 

- 다 음 -

 

1. 한국사 성균관(해방후에 성균관대로 계승되어 600년 역사를 인정받고 있음),

2. 윤리나 한문(또는 국어의 고전)수업에서 가르치는 유교교육 삼강오륜(공자님과 맹자님의 가르침).

 3. 세계사 교육:세계사는 서유럽과 교황청의 영향력이 강하게 반영되었다고 판단됨. 그리고 학술적으로 중국의 황하문명이나 한나라 태학. 유교등도 기득권을 중요하게 인정해온 경향

 

   1). 황하문명, 유교, 중국 한나라 태학(그 이후의 국자감. 국자감은 청나라때 경사대학당이 되고 이후 북경대로 계승됨)

   2). 에게문명, 로마 가톨릭, 중세유럽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 파리대학등  


. 구한말 國外에서 외국세력의 힘과, 한국내에서 유교와의 마찰에 놀란 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펴고, 서양의 발전된 과학기술 수용까지 거부하면서 유교를 지킨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세계화시대가 되었으므로, 근대 중국의 침체기 및 한국의 수난기에, 세계사의 주도세력으로 여러 학자들 이름이 거론되는 서유럽과 교황청의 전통과 자격을 감안하여, 유교나 한국에 필요한 가톨릭 예수회(서강대)임을 강하게 느껴, 宮 성균관대=御 서강대임은 변하지 않습니다.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일본 강점기로 파괴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고, 패전국에 항복국가가 된 戰犯國(UN敵國) 일본이 왜곡시키고 단절시켰던, 한국의 유교와 교육등을 되돌아보고, 주권수호.상실주권 회복을 위해 다방면으로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1. 을사조약과 한일병합의 무효에 대한 고찰. 


http://blog.daum.net/macmaca/1905


2. 역대 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성균관. 개화기.대한제국기,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대한민국 수립후 1차 교육과정~7차 교육과정까지.

http://blog.daum.net/macmaca/1900


3. 한일합방과 을사 5조약이 원천무효라고 결의한 한국 국회결의. 그리고 한일합방건 일본정부 발표에대해 원천무효라고 밝힌 한국 외무부

 

http://blog.daum.net/macmaca/712

 

4. 일본강점기때 폐지.왜곡된 성균관. 해방후에 설립(재건승계)된 성균관대학교가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 성균관을 승계하였다는 정부출연 연구기관.백과사전.성균관대 학교당국의 현대 한국사적 입장에 대한 학술적 고찰. 그리고 한국사의 성균관대(성균관에서 이어짐)와 세계사를 연계하여 해방이후 합법적으로 설립된 敎皇聖下 윤허대학인 예수회의 서강대와의 Royal.Imperial 특성의 공통점 고찰. 

http://blog.daum.net/macmaca/733       

 

5. 自然人에 대한 공평한 능력우대와 달리 法人體로볼때, 일본 강점기 잔재 경성제대.관립전문학교 후신 서울대등은  한국영토에 주권없고 축출해야 할 강점기 잔재임은 변하지 않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732

 

6. 교과서적 기득권 대학들의 자격을 바탕으로, 필자가 주관적인 World Class Universities들을 정의하면 이전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습니다.    

  

 World Class Universities. 

http://blog.daum.net/macmaca/1812    

 

 

7. 종교인구 조사를 어떻게 해도, 응답자가 자기종교를 어떻게 표기해도 한국인은 모두 유교도임.

 

http://blog.daum.net/macmaca/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