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유교,도교,불교. 또는 유.불.선 혼합에 대한 단상.
중국의 유교,도교,불교. 또는 유.불.선 혼합에 대한 단상.
중국은 황하문명에서 피어난 始原유교의 믿음인 하늘天(하느님) 숭배와 天子思想, 山川에 대한 제사, 祖上제사를 위주로 학교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교육적인 측면에서 先聖을 숭배하는 유교국가이며 원래부터 중국에서 피어난 유교,도교와 유교에 종속화 된 중국불교가 어우러지는 전통. 유교를 國敎차원으로 믿으면서 도교나 유교화된 중국불교가 같이 혼재해도 중국이나 한국 베트남.대만.싱가포르 각국 화교들은 세계종교인 유교를 믿고 살아간다고 할 수 있음. 막부시대 이후 일본은 全 주민을 절에 등록시켜 기독교를 탄압한 이후부터 유교국가를 벗어났으며, 신도를 국교로 한 이후에는 유교의 자리가 없고 일본만의 後發 局地的 신앙(민족신앙)인 일본신도.일본식 불교가 주종임.
중국의 신앙체계를 유교, 도교, 불교로 언급하는 저서도 있으며 일본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유.불.선 순서로 말하는 경우도 아주 많음. 여하튼 동아시아 국가들인 중국.한국.베트남 및 신생국가인 대만.싱가포르 및 중국 화교는 春節(설날),입춘,원소절,청명절(한식),단오,중추절, 대보름,동지같은 전통 名節을 위주로 여러가지 제사나 행사를 하며 제천의식.종묘제사.사직제사.석전(先聖제사, 이전의 선성은 다른 聖王들이셨는데, 文宣王으로 추존되신 공자님제사로 바뀜)과 같은 유교의 제사 및 門中別.家族別 조상제사를 계승하는 전통. 그리고 유교 경전에서 언급하는 冠婚喪祭전통, 孔孟의 가르침인 三綱五倫과 仁.義.禮등에 대한 유교교육을 행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