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자본 형성이 늦었던 후발기술국가 한국은 기존의 수출중심.기술개발 중심(따져보면 독일형 모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금융.보험.유통등 서비스산업(금융/보험업,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유통업,컨설팅업,의료업,여러형태의 공공서비스업등 아주 다양함)
이 강한 미국.영국의 사례들을 연구하고 정착시키려는 병행적 노력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특히 미국의 Sales 우대문화를 사회적 존중풍토로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유교문화의 가족중심적 기업들도 일자리 부족에 도움되고, 오랜 전통으로 이어지면 제품.기술.업무Know How가 경쟁력이 생기는 특성을 가졌으므로 여러형태의 가족기업.협동조합.자영업(의식주 자영업등) 모델을 꾸준히 연구하고 정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고용효과가 큰 건설, 여러분야 서비스업, Sale형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중점관리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 일본같은 경우 韓中日 공동협력은 서로간에 동등하게 도움이 되겠지만, 과거사문제나 한국내 일본 강점기 잔재청산은 별개분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