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러나라가 한국형 소비재상품 상용기술만 습득하면 선진국이 될거라 생각하지만 서유럽과 미국.일본이 선진국.

* 제목: 여러나라가 한국형 소비재(消費材)상품과 산업제품(産業製品)의 상용기술(商用技術)만 습득하면 선진국(先進國)이 될거라 생각하지만 서유럽과 미국.일본이 선진국임은 잘 변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신대륙의 영연방국가인 캐나다.호주.뉴질랜드등도 영국 본토에서 이주해 간 사람들이 많아 소득수준이 높습니다. 

 

산업화가 늦었던 러시아 및, 한국,  아시아의 중국, 인도, 중동,동남아,중남미,아프리카 국가들은 고유의 경쟁력이 있을 것입니다. 한국은 일본이 없었어도 유럽.미국과 통상조약을 거쳐 느린속도의 기술발전은 해 낼 수 있던 역사와 전통은 가졌었습니다.   

 

개인이든지, 기업이든지, 국가든지 오랜기간의 교육과 훈련을 거쳐 쌓아올린 기술을 쉽게 가르쳐주지는 않으며, 후발 산업국가가 제품을 개발하는 사이 선발 기술국가들은 더 발전해서 새로운 제품을 내놓기때문에 기술력 경쟁이 되지 않습니다.

 

한국은 상용화가 가능한 천연자원이 별로 없는 나라기때문에 이승만.장면정부때 계획되던 경제발전 계획을, 박정희 대통령이 구체화시켜 오랜 전통의 교육중시 문화와 근면성 및 국가정책인 수출입국, 기술입국의 토대하에 정부정책을 펼쳐서 수천년의 유교문화 잠재력을 몇십년에 걸쳐 수출화.산업화에 집중하여 세계시장에서 우수한 상용기술로 발판을 굳힌 나라입니다.

 

@ 그러나 기초과학.원천기술 및 우주.항공.국방.기간산업.에너지산업등을 망라하여 대략적인 기술평가를 하면  미국이 세계 제 1이고 그 다음이 독일.프랑스.영국등의 서유럽, 일본, 러시아, 중국등이 될 것입니다.

 

후발산업국 한국의 소비재상품이나 산업용품의 상용기술이 뛰어난건 맞지만, 기초과학, 우주.항공, 기간산업, 국방, 에너지산업등과 금융분야의 자본축적등을 종합하면 UN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이나 독일.일본같은 산업기술 선진국의 위상이 여전히 강합니다.

 

기축통화인 $화를 가진 미국같은 나라의 각종 원천기술 및 우주.항공.국방,에너지, 컴퓨터.IT.영화산업등의 수준은 세계 제 1이고 앞으로도 잘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원천기술도 우수하지만 Sales Man을 중시하는 미국의 사회적 토양이 개인의 사유재산개념을 소홀히 해왔던 중국.러시아등에 더 중요할지 모릅니다.

 

영국은 축적자본과 금융산업.서비스업이 강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지요.

 

산업혁명을 일으키고 지리적 인접성으로 그 혜택을 받아온 서유럽의 선진국 기술은 금융산업.서비스산업과 어울려 기초과학, 원천기술등에서 여전히 강합니다.

 

러시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주.항공.국방 및 자연과학 분야의 원천기술로 볼 때 러시아나 중국의 과학기술 능력은 한국보다 높습니다.

 

* 기술보다 중요한 경쟁력은 많습니다. 본인들이 찾아내서 미국식으로 Sales하면 고통이 수반되는 시장성숙기를 거쳐서 인정받게 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