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御서강 전하(서강대 기록보존소 서 진교 교수)때문이겠지만 스페인 國王께서 한국을 형제국으로 느낀다고 하신 말씀이 맞는것 같습니다

@ 제목: 御서강 전하(서강대 기록보존소 서 진교 교수)때문이겠지만 스페인 國王께서 한국을 형제국으로 느낀다고 하신 말씀이 맞는것 같습니다

 

1. 한국인 정서 스페인과 흡사…관객 문화수준도 매우 높아”.그는 특히 “홍콩, 베이징, 대만, 도쿄, 나고야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많이 공연해 봤는데, 한국인의 성격과 정서가 스페인과 가장 흡사한 거 같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31107000188

 

 

2. 미스유니버스 김유미, 스페인 비공식 인기투표 1위 “전세계 홀렸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31107000280

 

* 御서강 전하(서강대 기록보존소 서 진교 교수)때문이겠지만 스페인 國王께서 한국을 형제국으로 느낀다고 하신 말씀이 맞는것 같습니다. 필자(宮 儒 윤진한, 宮 성균관대 임금)가 스페인어 노래인 Bésame Mucho [베사메무쵸, Kiss Me Much,노래:Plácido Domingo,Plácido Domingo는 멕시코 국립음악원을 졸업]를 들어보면 打樂器인 북이나 장고 비슷한 소리가 나오고 친숙한 느낌이 납니다. 드럼과 비슷한 악기라 생각됩니다.

 

장사익이 부르는 신중현의 曲 "님은 먼곳에" 중간에 나오는 북소리를 연상해 보세요. 그리고 國樂을 접목시킨 신해철의 Rock Opera "Lazenca"나 Monocrom에 수록된 Rock+국악 "Go with the Light"도 북소리가 연상되는 드럼이나 장고소리 도입부분이 있습니다. 

신해철의 Monorom에 수록된 "The Grinder"도 Rock에 국악을 도입한 좋은 曲입니다.   

 

한국에서 南美 연주자들 악기 소리 들어보면 중국이나 한국의 퉁소나 피리소리 같은 느낌의 악기도 있습니다.

 

 

*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참가한 김유미양이 왜 스페인 인기투표 1위일까요? 스페인과 같은 "흑발 미인"이라?

 

정열의 나라 스페인.  

 

* 합법적인 해외진출기(중국이나 한국도 고대.중세에는 다 이랬음)에 중남미 신대륙과,쿠바, 필리핀을 개척하여 스페인어의 영향력은 지금도 막강합니다.

 

* 이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차원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