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2년(1월~9월) 수출입 무역통계(국가별 수출입실적). 중국에 3백7십억불 흑자 및 아시아 유교국들과 미국에서 큰폭 흑자남김

 

2012년(1월~9월) 수출입 무역통계(국가별 수출입실적). 중국에 3백7십억불 흑자 및 아시아 유교국들과 미국에서 큰폭 흑자남김

 

 

 

관세청 통계자료(2012.01~2012.09). 9개월간 국가별 수출입실적을 제가 다시 직접 정리해 보았습니다.

 

2012년 수출입 무역통계(단위: 천불, USD 1,000). 오자등 발견시 수정해 나가겠습니다.

 

 

국가명                 수출금액                  수입금액                  무역수지                         비고

 

중국                     97,457,609               60,325,868               37,131,741 (3백 7십억불 흑자)     

미국                     44,400,317               33,476,433               10,923,885(1백 1십억불 흑자)     

홍콩                     24,290,513                 1,557,160               22,733,353(2백 3십억불 흑자)

싱가포르               17,095,198                 7,342,190                 9,753,008(9십 8억불 흑자)

베트남                   11,540,191                 4,051,728                  7,488,463(7십 5억불 흑자)

대만                      11,076,413                10,448,900                   627,514(6억불 흑자)

브라질                   8,088,064                  4,453,969                   3,634,095(3십 6억불 흑자)

러시아                   8,501,328                  8,097,373                      403,955(4억불 흑자)

인도                      9,195,417                  5,106,110                   4,089,307(4십 1억불 흑자)

 

파키스탄                612,934                      555,047                       57,887(1억불 흑자)

터키                      246,186                        54,763                       191,423(2억불 흑자)

말레이시아             5,188,262                  7,291,629                      -2,103,367(2십억불 적자)

 

사우디 아라비아    6,661,171                  29,458,237                    -22,797,066(2백 3십억불 적자)

쿠웨이트              1,285,532                  13,571,386                    -12,285,854(1백 2십억불 적자)

아랍에미리트연합  5,212,544                  11,082,777                    -5,870,233(6십억불 적자) 

 

 

스페인                   1,284,567                   946,744                      337,824(3억불 흑자)

포르투갈                  188,607                   110,384                       78,223(1억불 흑자)

아르헨티나               749,483                   914,130                     -164,647(2억불 적자) 

네덜란드                4,317,288                  3,218,563                      1,098,725(1십억불 흑자)

멕시코                   6,772,585                   1,997,887                     4,774,698(4십 8억불 흑자)

콜롬비아                1,143,952                    367,188                         776,764(8억불 흑자)

칠레                      1,781,069                  3,576,317                    -1,795,248(1십 8억불 적자)

 

필리핀                   6,125,052                   2,484,186                      3,640,865(3십6억불 흑자)      

 

스웨덴                  575,050                       1,105,119                    -530,069(5억불 적자)

벨기에                  1,745,609                     1,024,011                     721,598(7억불 흑자)

폴란드                  2,810,332                      380,254                       2,430,078(2십 4억불 흑자) 

루마니아                 348,163                       515,084                      -166,920(2억불 적자)

핀란드                    653,583                       767,413                      -113,830(1억불 적자)

덴마크                    270,369                       550,957                     -280,588(3억불 적자)

헝가리                    885,762                       344,656                       541,105(5억불 흑자)

 

이집트                  1,277,744                      644,546                       633,198(6억불 흑자)  

 

 

프랑스                    1,840,125                 3,381,718                       -1,541,592(1십 5억불 적자)

영국                       3,383,455                 5,070,308                    -1,686,853(1십7억불 적자) 

이탈리아                2,552,749                 3,582,154                       -1,029,405(1십억불 적자)

독일                      5,728,874                 12,981,807                     -7,252,933(7십 3억불 적자)

캐나다                   3,801,589                 4,078,055                         -276,466(3억불 적자)

 

인도네시아              9,973,673                11,998,815                    -2,025,142(2십억불 적자)

 

일본                      28,871,882              48,414,478                    -19,542,596(2백억불 적자)  

       

 

* 총평

 

1. 유교종주국이자 G2국가로 자리매김한 중국에서 가장 큰 흑자를 남김. 그리고 아시아 유교국들(홍콩,싱가폴,베트남,대만)등에서 흑자.

안보동맹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은 여전히 한국에 흑자를 남겨줌.

속칭 BRICS 국가중 브라질, 인도, 러시아에서는 흑자를 기록.  현재 한국의 군사동맹인 미국과의 동맹관계는 여전히 중요함. 

 

중국처럼 2차대전 승전국이며 UN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연방 및 기존의 러시아 연방에 속하던 중앙아시아 내륙국은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 관계증진을 해나가야 함. 그리고 영토가 넓고 지하자원이 상당한 몽고와의 관계증진도 필요함.

 

인도.파키스탄.말레이시아.터키 및 석유 부국인 사우디.쿠웨이트.아랍 에미리트 등과의 관계는 아시아 대륙으로 육로 연결시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관계증진해야 할 것임. 내륙에 위치한 여러가지 이점 소홀히 하면 않됨. 

  

2. 도쿠가와 막부시절 기독교를 탄압하며 모든 주민을 절에 등록시키고 자체적 후발국지적 신도를 만든 일본에 대해서는 아주 큰 적자.  불교국에 가까운 신도국가 일본이 과거에 대한 사죄도 없고 한국내 일본 강점기 학교들과 친일부왜배 세력들이 항거시 일본과의 경제교류 축소로 인한 경제적 손해는 감수하여도 무방함.

 

3. 중국.러시아 및 아시아 대륙으로의 陸路 연결을 위해서는 민주통합당 문성근 고문이 주장하는 남북교류 및 북한으로의 육로 연결이 필수적입니다. 

 

당장 추진하지 못해도 단기간에 육로연결을 해야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갈등이 생기더라도 유교국인 중국과 다른 아시아 유교국들(싱가폴.홍콩.베트남.대만 및 화교 강세 아세안국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협력적 동반자관계로 증진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6.25이후의 군사동맹인 미국과의 관계는 짧지만, 중국과의 수천년 관계에 필적할 정도로 중요하게 자리잡은 현실도 분명히 수용하면서 남북통일후에도 얼마동안은 미군주둔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과인(宮 儒 윤진한)의 고등학교 동창이신 御 서강 전하(서진교 전하)의 존재탓인지 한국을 새로운 형제국으로 여긴다는 스페인 국왕전하와 스페인 인접국인 포르투갈과 멕시코.남미등과의 협력관계도 지속적 추진해 보기 바람.

 

그리고 지금은 세계화시대가 분명한만큼  영국, 프랑스,네덜란드 및 전통 산업국가들(독일, 이태리, 오스트리아), 유럽의 산업 강소국들(스웨덴.벨기에.노르웨이.덴마크), 동유럽등과의 관계증진도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할것임.

 

4. 현재 한국의 가장 큰 수출시장은 중국을 비롯한 유교국들임.

 

관계가 악화된 북한과의 교류는 민주당 문성근 고문의 주장대로 육로를 연결시켜 새로운 블루오션을 개척해야 될 중요한 시점에 와있음.

 

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권의 기존 정책을 현명하게 재도입하여 인구가 많고 역사적 관계가 오래된 이점이 있고, 운송비등이 저렴한 아시아 및 아시아 인접국가를 연결고리로 하여 유럽까지 육로로 진출하는 무역관계 형성이 가장 중요함. 중국 및 유교국가들, 러시아 및 중앙 아시아 국가들, 인도.파키스탄.터키.말레이시아, 중동 산유국, 동남아시아 국가는 현실적으로 한국이 속한 아시아나 아시아 인접 대륙국가들로 육로연결시 여러나라가 이득을 보는 대규모의 경제성장 효과를 만들어 낼것임. 

 

선진국이자 한국이 무역적자를 보는 프랑스, 영국, 이태리, 독일등에 대한 무역적자는 적극적인 노력으로 적자를 줄여나가야 함.      

 

다시 당부하는데 유교 종주국이자 최대 수출국인 중국과는 절대 척을 지지 말고 미국과 대등한 수준(수천년 유교동맹과 지리적 밀접성,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 되어 미국보다 중요해짐)의 관계복원 협력국으로 지속적인 관계개선 노력을 해나가야 함.

 

5. 위의 자료에서 보듯이, 에너지 수입으로 인한 산유국들에 대한 지역적 적자가 가장 심한데, 이는 다양한 대체에너지 개발과 절감노력이 뒤따라야 할 분야라고 판단합니다.  

 

* 덧붙이는 글.

 물론 무역수지가 가장 중요한 지표임은 분명하나 무역외수지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선진국 중에는  운임收入, 보험료收入, 이자收入, 관광收入, 특허권사용료 收入등의 무역외 수지로 무역수지적자를 상당부분 보충하는 나라도 있음을 참고해야 됨. 개인적인 바람은 고부가가치의 상품개발로 선진국시장에 어필하면 좋겠는데 아직은 전반적으로 가격경쟁력에 의지하는게 한국의 수출상황이라고 판단됨. 산업국가로의 진입이 늦었던 한국이니까 이를 명심하고 기초과학분야와 원천기술분야에서 R&D에 꾸준히 투자하는 방법을 선택하면 좋을것임. 그러나 팔리는 제품을 만들어야 되고 실제로 이를 적정가격에 파는게 가장 중요하니까  세일즈가 발달한 미국형 문화풍토를 인문.사회.과학.예술 다방면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한국자체의 내수시장도 키우고 세계에 어필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개발하는게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음.  

 

* 물론 무역수지만 가지고 나라들을 비교하는게 유일무이한 해법은 아닙니다. 중국 국적의 조선족이나 중국인들도 한국에 많이취업하고 있고, 한국인들도 일본에 많이 진출해 있기는 합니다. 그런데 무역규모와 수출액에서 볼때 어떤 나라도 중국만큼 한국 수출에 기여해 줄 나라는 없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태리는 그리 지탄받지 않고있는 패전국이며, 볼로냐대학은 지금도 관습법영역에서 존중되는 자격을 가졌습니다.

독일이 여러 나라를 침략하여 프랑스등을 점령한 죄때문에 지금도 나치독일관련자들이 처벌받고 있을 정도로 독일은 철저한 반성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세계의 간격이 좁아져 쉽게 알 수 있는 지구촌 동정입니다. 그런데, 일본만은 아시아의 중국.한국이 내전.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으며 어수선한 탓에 시기적절한 제재시기를 놓친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본이 더욱 과거를 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