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1948년 7월 17일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 건국헌법으로 불림
출처: 위키문헌.
1. 대한민국 헌법(건국헌법)의 의의.
대한민국 헌법/ 제1호. 건국헌법. 1948년 7월 17일 제헌국회(제 1대 국회)에 의해 제정된 헌법.
* 필자의견 1). 1905년 을사조약도 무효지만 1910년 불법강제적 한일병합(한일합방)도 무효임.
* 필자의견 2). 카이로선언(포츠담선언 포함)이후 미군정기 종료까지의 한국헌법은 카이로선언과 포츠담선언도 헌법적 역할로 작동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美軍政令은 카이로선언과 포츠담선언 하위법으로 작동함.
2. 대한민국 헌법(건국헌법) 전문(前文).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3. 대한민국 헌법 제 1장 총강.
1). 제 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 제 2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 필자의견 3). 헌법전문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역사적인 기자조선(또는 先史時代로 보기도 함)이후 正史인 위만조선, 三韓, 한사군(아주 강력한 중앙집권적 한국인의 고대국가나 한민족 개념 형성이전의 태동기로 고대적 의미의 한국역사의 일부분임, 한민족 개념이 형성되어 불법강점기로 을사조약은 무효라는 개념을 보인 국제법등장이후의 불법.강제적 일본 강점기와는 다름), 부여, 동예, 옥저 및 삼국시대, 고려, 조선시대, 의병활동, 독립정신의 항쟁기까지 한국 역사와 전통을 존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건국헌법이후에는 역사와 전통도 중요시하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고, 주권이 국민에게 있으며,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국민주권개념을 병립해서 인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