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고보니까 8월 13일은 유교권의 명절 중 하나인 陰歷 七月 七夕이군요.
한국 Google을 보니까 견우와 직녀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유교권(중국에서 유래되어 한국과 일본에 전파됨. 일본은 陽歷으로 쇰) 명절 중 하나지만, 대대적인 행사는 하지 않고 있는 七月 七夕.
# 견우와 직녀는 부부였는데, 天帝의 기분을 상하게 해서 1년에 한 번, 七夕에만 만날 수 있다는 이야기도 후한경부터 서서히 발전하고 있으며, 남북조 중기경에는 직녀가 까치가 하늘에 만든 다리를 건너서 견우를 찾아온다는 줄거리가 고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종교학 대사전,1998.8.20,한국 사전 연구사.
# 칠석날은 별자리를 각별히 생각하는 날이어서 수명신(壽命神)으로 알려진 북두칠성에게 수명장수를 기원한다. 이 날 각 가정에서는 주부가 밀전병과 햇과일 등 제물을 차려놓고 고사를 지내거나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무병장수와 가내의 평안을 빈다.
... 또 밭작물의 풍작을 위해 밭에 나가서 밭제를 지내기도 한다. 칠석날 처녀들은 별을 보며 바느질 솜씨가 좋아지기를 빌고 서당의 학동들은 별을 보며 시를 짓거나 글공부를 잘할 것을 빌었다.
이 풍속이 당(唐)나라 시대에 주변 민족들에 전파되었는데 우리의 걸교나 일본의 ‘다나바다마쯔리[붕기제=棚機祭]’는 그 예들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 공민왕이 이 날 왕후와 더불어 궁중에서 견우와 직녀성에게 제사를 지내고 백관들에게 녹(祿:녹봉)을 주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연희를 베풀고 선비들에게 명절 과거를 보게 하는 등 중요 명절로 여겼다고 한다.
*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七月 七夕날에는 天帝의 분노도 나오고, 의복을 말리는 행사에 조상신의 한 형태인 祖靈이 붙는다는 믿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백제문화를 많이 수입한 나라입니다. 후발국지적으로 새로 만든 일본 神道도, 상고시대 한국에서 전해진 유교전통인 天帝나 祖上神의 祖靈개념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 같은데, 도교와 중국불교를 전달받고나서, 막부시대 全 住民을 절에 등록시킨 다음부터 변질된것 같습니다. 그리고 유교권 전통 名節(설날.단오.추석등)도 모두 陽歷으로 바꾼게 유교문화와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 이 글은 비영리적이며, 양력을 쇠는 일본 강점기 및 일본 총독부령 83호의 포교종교인 신도.불교.기독교의 횡행에 따라 잘못하면 잊혀진 名節로만 남을 七月七夕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자료들을 인용하였습니다
한국 Google을 보니까 견우와 직녀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유교권(중국에서 유래되어 한국과 일본에 전파됨. 일본은 陽歷으로 쇰) 명절 중 하나지만, 대대적인 행사는 하지 않고 있는 七月 七夕.
# 견우와 직녀는 부부였는데, 天帝의 기분을 상하게 해서 1년에 한 번, 七夕에만 만날 수 있다는 이야기도 후한경부터 서서히 발전하고 있으며, 남북조 중기경에는 직녀가 까치가 하늘에 만든 다리를 건너서 견우를 찾아온다는 줄거리가 고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종교학 대사전,1998.8.20,한국 사전 연구사.
# 칠석날은 별자리를 각별히 생각하는 날이어서 수명신(壽命神)으로 알려진 북두칠성에게 수명장수를 기원한다. 이 날 각 가정에서는 주부가 밀전병과 햇과일 등 제물을 차려놓고 고사를 지내거나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무병장수와 가내의 평안을 빈다.
... 또 밭작물의 풍작을 위해 밭에 나가서 밭제를 지내기도 한다. 칠석날 처녀들은 별을 보며 바느질 솜씨가 좋아지기를 빌고 서당의 학동들은 별을 보며 시를 짓거나 글공부를 잘할 것을 빌었다.
이 풍속이 당(唐)나라 시대에 주변 민족들에 전파되었는데 우리의 걸교나 일본의 ‘다나바다마쯔리[붕기제=棚機祭]’는 그 예들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 공민왕이 이 날 왕후와 더불어 궁중에서 견우와 직녀성에게 제사를 지내고 백관들에게 녹(祿:녹봉)을 주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연희를 베풀고 선비들에게 명절 과거를 보게 하는 등 중요 명절로 여겼다고 한다.
*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七月 七夕날에는 天帝의 분노도 나오고, 의복을 말리는 행사에 조상신의 한 형태인 祖靈이 붙는다는 믿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백제문화를 많이 수입한 나라입니다. 후발국지적으로 새로 만든 일본 神道도, 상고시대 한국에서 전해진 유교전통인 天帝나 祖上神의 祖靈개념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 같은데, 도교와 중국불교를 전달받고나서, 막부시대 全 住民을 절에 등록시킨 다음부터 변질된것 같습니다. 그리고 유교권 전통 名節(설날.단오.추석등)도 모두 陽歷으로 바꾼게 유교문화와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 이 글은 비영리적이며, 양력을 쇠는 일본 강점기 및 일본 총독부령 83호의 포교종교인 신도.불교.기독교의 횡행에 따라 잘못하면 잊혀진 名節로만 남을 七月七夕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자료들을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