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세계사의 4大文明과 4대문명의 始原宗敎. 이 글은 비영리적이며, 유교를 비롯한 세계사의 시원종교전통을 이해시키기 위한 공익성을 가진 글입니다.
1.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現世的 多神敎.
필자의견 1). 세계 4대 문명인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現世的 多神敎와 달리, 유태인들의 신앙은 세계사적으로 그 후에 성립된 여호와 숭배의 유일신교라 해야 적당한 것 같음. 로마제국이 부족신앙을 가진 유태교의 상고시대 이스라엘을 점령하여 헤브라이즘+헬레니즘 결합한 세계종교로 만들었음. 여호와숭배 유일신교이후,새로 만들어진 후발신앙 기독교는 부족신앙인 유태교와 달리 예수님을 숭배하는 차이가 있음.
2. 황하문명과 다신교적 유교(中國 黃河文明에서 탄생).
1). 영혼불멸설(靈魂不滅說)과 유교: 유교는 最高神인 하늘天(太極과 연계됨)의 영혼, 山川神의 영혼, 祖上神등의 영혼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고 믿는 영혼불멸설에 해당하는 종교임. 신분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쉽게 이해하는 종교행위로는 조상제사가 있음. 祖上神에 단체로 직접 제사하는 宗親會 차원의 제사도 있고, 現世의 本人보다는 하늘나라를 주재하는 하늘天 및,祖上神, 선대조상의 魂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가까운 세대의 조상들의 魂에 후손들이 제사하기도 함.
2). 來世觀과 유교: 未來에 자기의 魂도 하늘天의 허락을 받아, 또는 祖上神의 도움으로 하늘天이 주재하는 세상으로 昇天시켜 달라는 來世觀을 가진 종교가 유교임. 원시유교에서 유래되어 수천년동안 이어지는 유교문화권(중국.한국.베트남.대만.싱가포르, 그리고 각지역의 중국화교)의 조상숭배는 來世觀을 반영한 종교형태입니다. 조상숭배에서만 來世觀이 보이는건 아니고, 最高神인 하늘天을 제사하는데서도 자기가 죽으면 자기의 영혼을 하늘로 승천(昇天)하게 해달라는 기원을 가진 제사성격도 있습니다. 最高神인 하느님(太極과 연계된 하늘天)께 제천의식(祭天儀式)을 행하니 現世에는 풍성한 수확(농작물,사냥의 포획물, 열매.과일의 채취, 고기잡이 어획물등)이나 福을 내려주시고, 제사를 기억하셨다가 죽으면 그 영혼을 하늘로 昇天시켜주십사하는 바람도 있는게 유교의 제천의식(祭天儀式)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기의 조상신(祖上神)도 하늘로 昇天시켜주셨으니, 자기가 죽으면 조상신이 승천하신 하늘로 올라갈때 허락해주십사하는 기원을 가진게 유교의 제천의식의 한 특징입니다.
유교가 조상숭배만 하는 종교는 아니고 最高神인 하늘天(太極과 연계되어 후발문명이나 서양인들이 보기에는 조금 복잡함. 4대文明과 그 始原宗敎중 유교는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현재도 전해지는 종교라고 할 수 있음)과 山川의 神, 조상신, 先聖등에 대한 多神敎的 제사를 하는데, 메소포타미아문명이나 다른문명의 神觀도 多神敎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유교의 多神敎특성은, 最高神(太極과 연계된 하늘天)과 下位神(山川의 神, 祖上神, 先聖)에 대한 제사가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문명의 多神敎도 이런 차등적 神觀을 가진경우가 메소포타미아문명에서 보여집니다.
* 필자 주 1). 先聖의 의미. 옛 聖人의 광범한 의미를 가짐. 구체적으로는 周나라 文王의 아들인 周公을 先聖으로 제사하다가 唐 太宗이후는 先師의 위치에 계시던 孔子님을 先聖으로 대체하여 제사해옴. 공자님은 文宣王이시며 先師의 위치에서 先聖으로 승격되신 聖人임금이심. 광범위한 의미로 옛 聖人을 지칭할경우 三皇五帝나 堯.舜.禹.湯.文.武.周公으로 확대하여 적용할수도 있다고 필자는 판단함.
두산백과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원시종교의 내세관은 조상숭배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원시조상숭배는 원시종교의 대표적 신앙인데 여기에 따르면 죽은 사람은 조상신(祖上神)의 모습으로 항상 살아 있는 자의 곁에 남아 현세의 삶에 영향을 준다. 조상신은 현세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원시종교의 내세관은 현세와 내세의 뚜렷한 구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유교는 동양의 전통적 종교로서 조상숭배에 기초한 내세관을 전개하였다. 특히 성리학(性理學)은 이러한 조상숭배를 고도로 세련시킨 내세관을 보여준다. 인간은 이(理)와 기(氣)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늘[天]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적 측면이고, 기는 혼(魂)과 백(魄)을 말한다. 사람이 죽으면 이는 하늘로 돌아가고, 육체적 측면인 백은 땅으로 가며, 정신적 측면인 혼은 하늘과 땅 사이에서 일정 기간 동안 머물다 사라진다. 유교의 제사는 이러한 내세관을 바탕에 깔고 이루어지는 것이다(이상 출처 두산백과)
4대문명의 시원종교중 하나인 유교의 내세관이 조상숭배에 투영되어 있음은 우리가 학술적으로 목격하였습니다. 이러한 선발종교 유교의 來世觀을 후발종교인 기독교나 불교가 차용하였을 가능성도 있으며, 기독교의 來世觀은 후발종교인탓에 더욱 세련되게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불교는 창조주보다 인간 부처가 더 중요하고 높은 특징이 있어서 서양인에게는 無神論으로도 보여지는 후발종교라고 합니다
3). 기복신앙(祈福信仰)으로서의 유교. 祈福信仰은 특정 대상에게 福을 비는 행동과 마음입니다. 유교권국가들의 공통 名節인 추석(중추절)과 대보름때 달맞이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太極과 연계된 하늘天의 한 형태인 달님의 영혼에 유교도들은 가문의 福을 빌기도 하고, 자신의 복을 빌기도 하고, 자녀들의 복을 빌수도 있습니다. 돈을 많이 벌게 해 달라고, 건강하게 살게 해 달라고,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또는 부모.본인.자녀의 건강하고 福을 받게 해달라고 달님의 영혼에 유교도들은 소원을 빕니다. 학생 본인이 大學에 合格케 해 달라고 달맞이 하면서 소원성취를 빌고, 福을 내려달라고 빌수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소원은 하늘天(太極과 연계된)이 달님의 형상으로 나타났을때 달맞이란 의식을 통하여 달님의 영혼에 복과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것이지요.
祖上神의 魂만 영혼을 가진게 아니라, 유교도 아닌 일반인들이 自然物이라고 생각하는 太極, 하늘天, 山川등에도 魂이 있다고 믿어 이를 주관하는 神의 靈魂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고 믿었기때문, 예나 지금이나 이를 주관하는 神들에 祭天儀式, 山川祭祀, 祖上祭祀등을 거행해 온것임. 물론 先聖이시자 文宣王인 공자님과 先賢들의 영혼도 존재하기 때문에 후학들이 제사(釋奠,文廟祭祀)하는것임
魂이 하늘로 승천하는 믿음과 조상신에 제사하여 자손들의 福을 빌고, 본인들이 죽으면 하늘로 승천하신 祖上神 계신곳으로 魂이 昇天하겠다는 믿음과 조상신의 영혼불멸 믿음때문에 來世的 특징이 존재하는 선발종교가 유교임.
4). 유교의 魂魄 및, 理와 氣.
理와 氣가 이원적으로 구분되기 이전의 원시유교의 조상숭배는 理와 氣가 하나인 상태를 믿었을것이며 하늘로 돌아가신 조상신(氏族神)과 조상에 제사하는 정성을 보여 하늘에 계신 조상신(氏族神)과 조상의 일원론적인 魂이 후손들을 현세에도 보살피고,미래에도 보살피고 끌어올려 준다고 믿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太極과 연계된 하늘天을 최고신으로 하여 山川의 神, 祖上神 및 여러 하위신을 모시던 多神敎的 종교로, 서양인들은 잘 이해하지 못해오던 종교임(지금도 유교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기독교도들이 대다수임). 유교는 先聖이자 文宣王이신 공자님에 대한 제사인 석전(문묘제사)제사도 있음. 서양 기독교도들은 메소포타미아문명(로마제국 진출)과 이집트문명(로마제국 진출), 인더스문명(알렉산더의 인도진출때문인듯)에서 종교적 영향받아 에게문명의 헬레니즘(그리스.로마신화가짐)과 융합하여 알렉산더와 로마제국이 진출한지역의 여러 종교형태를 원용한 것 같음.
종교인류학자로는 타일러(Tylor, E. B. )와 스펜서(Spencer, H. )가 종교기원을 조상 숭배에서 찾았는데, 유교가 꼭 조상신 숭배종교만은 아님. 太極과 연계된 하늘天, 山川神, 祖上神을 같이 숭배하는 多神敎的 특성이 유교에는 있음. 유교의 최고신은 陰陽, 五行과 宇宙萬物(자연적인 하늘.땅.바다.만물).인간을 창조하신 太極과 연계된 하늘天(詩經에 나오는 天生蒸民의 天은 인간 창조주 하느님이심)이라는 복잡한 특성이 있어서, 후발종교인 기독교나 4대문명에서 형성된 다른 종교들이 잘 이해하지 못할수도 있음. 유교가 다른 종교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유교는 창조주인 天이 天生蒸民으로 태초부터 모든 인간을 창조하셨기때문, 하늘天(하느님)이 낳은 그 후손들이 유교를 신봉하고 살아오므로 진화론과는 다름.
위의 사례에서는 조상제사를 통하여 유교의 來世觀을 보여주었음. 그런데 유교는 最高神이시자 인간창조주인 天(太極과 연계된 인간창조주 天, 불멸의 영혼을 가진 人格神형태로 믿어짐)에 대한 祭天儀式을 가져온 종교임. 따라서, 하늘天(하느님)에 제사하는 형태로 정성을 보이고 그 기도가 통하면 現世에서는 풍년이나 풍성한 수확을 내려주심. 하늘天이 낳은 그 인간이 죽었을때는, 理와 氣라는 性理學용어가 나오기이전부터 거론되던 魂이 승천(理와 氣가 분리되기 이전형태의 魂)하여 인간창조주 하늘天이 주재하는 세상으로 올라갈수 있도록 허락하시는 하느님으로 인식되어졌다고 할 수 있음.
理와 氣라는 性理學 용어가 나오기 이전의 유교의 본질적형태인 魂魄은 예기에 나옵니다. 魂氣歸于天 形魄歸于地(혼기귀우천 형백귀우지 ; 혼기는 하늘로 돌아가고, 육체는 땅으로 돌아간다.)<禮記 郊特牲>
3. 인더스문명과 多神敎.
대규모의 신전이나 묘는 없고, 多新敎 신앙과 신정 정치가 발달하였다
4. 이집트문명(나일문명)과 來世的 多神敎.
來世的 多神敎-미라, 피라미드, 사자의 서
* 필자의견 2). 메소포타미아문명이후에 후발로 피어났다고 할 수 있는 유일신종교인 여호와 숭배종교인 유태교의 헤브라이즘을 복합한 로마제국의 종교가 로마 가톨릭임. 로마가톨릭의 기독교는 로마 가톨릭을 중심으로 하여 예수님을 하느님의 독생자로 숭배한다는게 지역신앙.부족신앙인 유태교와의 차이점이 있음. 불교,기독교,이슬람교는 세계 4대 문명에서 피어난 메소포타미아문명의 現世的 多神敎신앙, 黃河文明의 계급적인 多神敎신앙인 유교, 인더스문명의 多神敎, 나일문명(이집트문명의 來世的 多神敎신앙)의 始原宗敎를 모방하여 이런저런 신앙형태를 혼합한 후발종교라 할 수 있음. 그 중에서 로마가톨릭의 기독교는 점령지로 진출한 메소포타미아문명의 후발신앙인 유태교의 유일신과 하느님의 독생자인 예수님을 숭배(유태인은 예수 불인정)하는 4대문명 이후의 후발 복합신앙임. 에게문명의 헬레니즘을 유지하면서, 점령지인 메소포타미아문명의 전통신앙 일부, 인더스문명의 전통신앙 일부, 이집트문명(나일문명)의 전통신앙 일부를 차용하는 환경에 노출되었고, 유교의 인간창조(天生蒸民, 하늘은 온 인간을 낳으시고...)나 天子(하느님 아들)사상도 기독교에 영향준것 같음.
4. 세계 4대 문명의 대략적 설명.
세계에서 가장 먼저 문명을 발달시킨 황하,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이집트 등 4개의 문명을 지칭
1). 메소포타미아 문명.
BC 6500년경 농경, 목축이 시작된 메소포타미아문명은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의 두 강 유역에서 발달하였다. 메소포타미아는 '두 강 사이의 땅'이란 뜻으로 비옥한 반달 모양의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영하였다. 지리적 요건 때문에 외부와의 교섭이 빈번하여 정치ㆍ문화적 색채가 복잡하였다. 폐쇄적인 이집트 문명과는 달리 두 강 유역은 항상 이민족의 침입이 잦았고, 국가의 흥망과 민족의 교체가 극심하였기 때문에 이 지역에 전개된 문화는 개방적, 능동적이었다.
2). 황하문명.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 문명을 형성한 황하문명은 중국 황하강 중ㆍ하류 지역에서 발생한 문명이다. BC 5000년~4000년경부터 신석기 문화가 이루어졌으며, 좁쌀ㆍ기장 등이 재배되고 개ㆍ돼지 등도 사육되었다. 황하강 유역의 신석기 문화는 양사오 문화와 그로부터 발생한 룽산 문화로 대별된다
3). 인더스문명.
인더스문명은 BC 3000년 중엽부터 약 1000년 동안 인더스강 유역에서 청동기를 바탕으로 번영한 고대 문명이다. 대표적 유적은 당시의 2대 도시였던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인데, 최초로 고고학적 조사를 받았던 하라파 유적의 이름을 따서 고고학적으로는 하라파 문화라고 부른다.
4). 이집트문명(나일문명).
BC 3000년경의 이집트문명은 나일강 하류의 비옥한 토지에서 이루어졌다. 이집트는 지리적 위치가 폐쇄적이어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비하여 정치ㆍ문화적 색채가 단조롭다. 나일강과 주변의 기름진 토양을 바탕으로 일찍 농경이 발달하였다... 홍수는 규칙적으로 일어나서 미리 예측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농사의 시기를 조절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범람 때문에 태양력, 기하학, 건축술, 천문학이 발달하였다.
5. 세계 4대문명의 신앙과 문화적 특징.
1).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의 비교
구분 | 메소포타미아 | 이집트 |
---|---|---|
공통점 |
전제적 신권 정치, 실용적 과학 기술 발달 | |
지형 |
개방적-이민족의 침입으로 왕조 흥망 거듭 |
폐쇄적-통일 국가 유지, 정치 안정 지속 |
정치 |
수메르 인→아카드 인→아무르 인 →혼란 계속 |
고왕국→중왕국→힉소스 족의 지배→신왕국 |
종교 |
현세적 다신교-점성술(천문학) |
내세적 다신교-미라, 피라미드, 사자의 서 |
문화 |
쐐기(설형)문자, 태음력, 60진법, 아치, 지구라트 |
상형 문자, 파피루스, 태양력, 10진법, 측량술, 외과 의학, 로제타 스톤 |
- 출처
-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강상원, 2002.9.25, (주)신원문화사
- 2). 황하문명.
-
중국 황하 유역의 비옥한 황토 지대에서 B.C. 5000년경에 일어난 신석기 문명으로 세계 4대 문명 중의 하나.
- 출처
-
Basic 중학생이 알아야 할 사회· 과학상식, 이안태, 2007.2.20, (주)신원문화사
- 3). 인더스문명.
인도 서북부에 위치한 인더스 강 유역의,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문명이다. 인종은 드라비다 족으로 여겨지며, 대표적인 유적지는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이다. 인더스 문명의 특징은 뛰어난 도시 계획, 배수 시설의 완비, 공공 건축의 중시 등을 들 수 있으며, 대규모의 신전이나 묘는 없고, 곡물 창고나 대 목욕탕이 있다. 다신교 신앙과 신정 정치가 발달하였다.
- 출처
-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강상원, 2002.9.25, (주)신원문화사
1). 시기적으로 따져보면 중국 황하문명의 유교 천자(天子, 하늘의 아들) 사상이 그 이후의 예수(하느님 아들)에게 영향을 준 것 같기도 하지만 상고시대 일이라 정확하게 누구도 그 사실여부를 정확하게 가릴수는 없을것 같음. 여하튼 유교와 로마 가톨릭은 상당부분 비슷해, 상호 전이가 가능하다는 明나라시대 가톨릭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리치 신부의 진단이 맞아떨어짐.
2). 인도의 인더스 문명에서 탄생한 브라만교는 현재 인도의 주요종교인 힌두교에 영향줌.네팔에서 탄생한 부처는 창조주에 항거하여 인간 부처의 발밑에 창조주인 브라만등이 무릎꿇고 배운다는 창조주부정의 無神論的인 후발신앙으로 브라만교에 항거하여 한때 인도에서 주변 여러나라에 전파되었으나, 지금 인도의 불교신자는 천민에 해당됨. 미국같은 창조주 숭배국가는 불교를 알고난뒤에는 無神論 종교라고 정의하는 종교인들이 생겨남. 일본은 유교국에서 불교토대로 바뀐적이 있었음(막부시대 전 住民을 절에 등록시켜 기독교 탄압, 일본은 유교적 중국불교 계파이지만..). 그러한 구조적 변화를 거친후에 중국불교적 토대를 유지하면서 덴노를 옹립하여 神道國家로 최종 정립된 것 같음. 神道는 世界史的으로 말하면 유교나 불교의 한 분파임(유교.불교가 혼합하여 후발국지적으로 형성된 이질적 日本만의 신앙형태). 제사성격은 유교문화권(중국,한국,베트남,대만,싱가포르)의 씨족신이나 조상신을 숭배하는 조상제사에 속함. 그러나 局地的으로 말하면 주로 한국에서 받아들인 유교의 조상숭배를 일본 토착신앙화하여, 이를 토대로 유교와 불교(중국불교)를 혼합한 후발국지적 일본만의 신앙이 맞음. 유교라고 할 수도 있고, 유교와 별도로 일본만의 後發局地的 별도 신앙이라고 할수도 있는게 일본의 神道로 보여짐. 일본강점기에 한국에 역수입시킨 일본 신도나 일본 불교는 그 종교주권도 없지만, 유교에 속하는 조상제사의 한 분파나, 유교적 중국 불교에 불과함(그런데 성격이 너무 불교적이라 중국이나 한국의 유교와는 아주 이질적인 특성을 보임). 일본의 국교인 신도의 현재상태는 유교도 아니고 불교도 아니며 별도로 존재하는 신도로 유교에서 이탈한 측면이 아주 강함.
3). 그리고 세계 4대 문명중 하나인 이집트 나일강 유역의 나일문명은 태양신(太陽神)을 숭배하는 고대 전통과 영혼불멸사상(靈魂不滅思想)으로 파라오들의 무덤인 피라미드를 만든점이 영혼불멸사상을 가진 유교의 조상제사(祖上祭祀)와 비슷함. 유교는 대자연(大自然)도 인간처럼 영혼을 가졌다고 파악하여, 태극(太極은 영혼을가지고,인간이 알 수 없는 不可知영역의 초월적 능력으로 陰陽.五行.우주만물.하늘.바다.땅.인간을 창조한 우주만물의 근원적 창조주임)과 하늘天을 연계시켜 人格神처럼 우주의 근원적 창조자들을 하느님(太極과 연계된 하늘天,太一神등)으로 숭배해옴.
또한 땅이나 물에도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어 山川祭祀를 치르고, 조상이 죽어도 영혼이 불멸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그 조상의 영혼은 魂魄으로 魂은 하늘로 승천(昇天)하여 하느님(하늘天) 곁의 조상에게 다가갈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후손들은 승천한 조상의 魂에 조상제사를 지내야 하늘로 昇天한 조상의 魂이 후손들에게 福을내려주고 가문을 번성케 해주며, 후손이 죽으면 그 魂이 하늘天 곁의 조상의 魂에 다가갈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생각하여 조상제사를 반드시 지내옴(身分의 高下에 상관없음).
인간이 죽으면 魂魄이 분리되어 魂은 하늘로 昇天하고 魄은 땅으로 돌아간다고 황하문명이나 그 이전 先史時代 유교의 믿음은 그렇게 수천년동안 전승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유교 조상제사의 근간사상이 되었음. 유교의 조상숭배 전통은 중국,한국,베트남,대만,싱가포르의 종교적.관습적.역사적 國敎로 작용하고 있음. 유교는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등에 분포한 중국 화교들을 포함하여 십수억명의 신자를 가진 고대적부터의 인류 전통종교임. 유교는 조상제사및 여러 제사가 身分高下에 따라 구별되어왔기에 상고시대부터의 강대국인 중국유교였지만, 평등성이 강한 다른 종교와 달리 민중들을 쉽게 포섭해오지는 못해왔다고 할수 있음. 중국의 中華思想 때문에도 평등을 추구하는 다른 나라 민중들을 쉽게 포섭하지는 못해온것 같음. 그러나 이런 신분차이를 감수하면서도 수천년을 걸쳐 계승되었기에 유교신자는 세계적으로 십수억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