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helle Obama had a public lecture at the Peking University(北京大).
Peking University derived from Imperial College(國子監. 元.明.淸 國子監--->淸 京師大學堂). It is the oldest University in China.
In world history, the first university is Imperial College(太學) at Empire of Chinese Han(漢帝國). 世界史 최초대학 漢 太學-->國子監--->京師大學堂--->北京大
미셸 오바마, 중국 베이징대(北京大)서 공개 강연. 世界史 최초대학 漢 太學,國子監,京師大學堂,北京大로 이어짐.
필자(宮 儒 윤진한,宮 성균관대 임금) 기준은 세계사.한국사 교과서(참고서영역 포함), 백과사전, 학술서적 기준임.
@ 세계최초대학은 중국 漢나라 太學임. 서양 최초 대학은 동일 이름으로 이어져온 볼로냐대학(Università di Bologna. 수도원의 대강당에서 시작, 한때 敎皇領이었다가 나중에 이태리 통일때 이태리에 통합됨. 그런데 국제관습법상 교과서등의 학술서적에서 동일이름의 세계 최초 대학으로 장기 교육되어 이태리의 전쟁결과와 상관없이 국제관습법으로 보호되는 역사적인 대학에 해당됨.수도원의 대강당에서 시작된 사실과 오랜동안 볼로냐가 교황령이었던 사실이 볼로냐대학의 자격을 유지시켜온 자격같음)임.
여하튼 세계사로 볼때 중국 한나라 태학은 세계 최초 대학임. 서양은 볼로냐대학과 파리대학이 서양 중세에 생긴 최초 대학 그룹들임.
漢나라 太學이후, 위나라 太學, 수나라 國子監, 당.송 國子監, 원.명.청의 國子監으로 이어지다가 淸나라 말기 國子監이 京師大學堂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음. 두산백과사전은 중국 베이징대학(北京大學)에 대해 대략적으로 이렇게 설명하고 있음. 1898년, 원·명·청 시대에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國子監)을 대체하여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으로 창설하였다. 1902년 경사대학당의 교육학원이 오늘날의 베이징사범대학교로 떨어져 나갔고 1912년 중화민국 성립에 수반하여 국립 베이징대학으로 개칭되었다.
@ 필자가 다시 설명합니다. 京師大學堂은 원.명.청 國子監 명칭대체의 Royal대학이며, 京師大學堂은 淸朝를 타도한 손문의 신해혁명이후 위안스카이(황제제도 도모) 집권시절 1912년에 北京大로 바뀌는 과도기가 있었음. 淸王朝를 무너뜨리고 손문의 신해혁명으로 중화민국이란 공화정으로 변경되기는 하였으나, 황제제도 꿈꾸던 위안스카이가 실권을 쥐고있던 시절에 北京大로 바뀐 측면도 있음. 베이징대 홈페이지를 보면 1912년 5월에 京師大學堂 개칭 北京大學 되었다고 나옴.
@ 다음은 베이징대(北京大) 홈페이지 북경대학교사관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北京大学校史館(Museum of Peking University)편
百年北大항목
民國初年的北京大学(1912~1916)절에 나오는 내용.
1912年 1月1日,中华民国建立.5月3日,民国政府教育部颁令京师大学堂改称北京大学,严复为首任校长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 건립. 5월 3일 民國[* 필자주 1). 중화민국임] 정부 교육부가 令을 반포 京师大学堂을 개칭,北京大学으로 하고, 严复이 초대 校长(총장)이 됨.
* 필자 주 2). 두산백과를 보면 위안스카이는 1912년 3월 정식으로 대총통에 취임, 베이징(北京)정부를 조직했다고 나옴. 황제제도 꿈꾸던 위안스카이 집권시절 경사대학당에서 北京大로 개칭되었으므로, 北京大(베이징대)는 太學.國子監.京師大學堂을 이어 中國의 Royal대학 자격을 상실하기 어려운 대학이라 할 수 있음. .
@ 한국사는 국사 성균관을 조선(대한제국)의 최고 대학으로 하고 있고, 현재의 성균관대가 조선 최고대학 성균관에서 이어져 600년 전통을 정부측 학술자료(한국학 중앙연구원), 시중의 백과사전(두산,파스칼,종교학대사전,학습백과), 위키백과등에서 그 자격을 인정받고 있음.
유럽은 로마 가톨릭 전통에서 생긴 敎皇聖下 윤허 대학들이 주류고, 그 나라 실정에 맞게 Royal,Historic자격을 가지고 있음.
한국은 한국사기준, 국사 성균관에서 이어진 600년전통 성균관대(宮 성균관대)와 서강대(御 서강대, 교황윤허 Royal대학으로 한국 성균관대와 유교입장을 가장 잘 아는 서양 로마 가톨릭계파)가 동등한 Royal대학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