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겨울. 宮(泮宮.學宮).太學.成均館자격 성균관대 유생이 평가하는 세계적인 대학들.세계사 교과서, 한국사 교과서, 백과사전, 참고서, 학술서등에 기반함.
세계적인 대학들. 세계사 교과서, 한국사 교과서, 백과사전, 참고서, 학술서등에 기반함. World class Universities. It based on World History Text 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Encyclopedia, Reference Books,Scholarly Books, etc.
필자의 견해는 정사(正史)인 세계사와 한국사 및 백과사전, 학술서등과 한국법.국제법을 종합해서 제시한것입니다.
I. 서유럽학자들 이름이 많이 나오는 세계사인데, 세계사가 변경되기전에는 2차대전때문에 형성된 강대국 기준으로, 세계사의 다음과 같은 기득권 대학들에 대한 현상개변을 원치 않습니다.
- 다 음 -
한(漢)나라 태학(太學).그 이후의 국자감(國子監. 국자감은 京師大學堂으로 대체되고 北京大學으로 계승됨), 볼로냐 대학(Università di Bologna), 파리대학(Université de Paris).
그리고 황하문명 및 세계종교로서의 유교 자격, 2차대전 이전 세계의 지배세력이던 서유럽의 정신적 지주인 오래된 제도와 자격을 가지신 교황성하 제도.
필자[성균관대 출신 윤진한(宮 儒). 성균관대 경상대학 무역학과 주간, 1983학번. 경제학사]는, 세계사의 대학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승전국등 국가별로 국가주권을 행사하는게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합니다. 과거 역사도 그렇고, 현재도 그렇고, 앞으로도 변치말아야할 인류역사중 한 부분으로 세계사는 중요하며 이를 대체할만한 문헌은 없습니다. 한국사도 그렇습니다.
중국은 중화민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UN대표국의 지위가 변경된 나라인데, 2차대전 이후에 형성된 UN안보리 상임이사국 명단에서 중국과 프랑스의 순서가 먼저 나오는 것은 세계사의 오랜 전통을 반영하여서 그렇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문화대혁명으로 유교의 세계종교[중국은 수천년간 유교의 천자(天子)국이었음. 황제제도가 없어졌어도 중국천자 제도의 상징성은 어떤 나라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위치가 크게 흔들렸는데, 세계사의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어, 이를 토대로 세계종교로서의 유교지위를 유지시키고자 필자는 세계사를 이용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차대전이후에 형성된 새로운 강대국 기준이나 다른 나라들 기준으로, 중국의 태학.국자감(베이징대로 승계),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프랑스 파리대학, 이탈리아.독일에 소재한 교황윤허 대학등에 대한 격하를 시도하면 않됩니다.
2차대전 결과와 상관없이,세계사와 한국사를 바꾸지 못하면, 교과서(백과사전,학습서), 학술서적상의 기득권 대학 학벌들은 바뀌지 않습니다.
참 복잡한 특성인데, 2차대전 결과와 세계사(World History) 및 국사(National History)와 연관지어 이 대학 학벌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나라나 출판사, 학술단체,개인들이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대학 학벌문제는, 수많은 갈등과 반복을 통하여 오랫동안 定說.正論으로 유지되어온 교과서.백과사전.학습서(中高生 학습서 포함), 학술서적상의 유서 깊은 대학들이나 기득권을 가진 측에서 설립한 대학을 기준으로 하는게 가장 정통성을 인정받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필자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계사.한국사 교과서(참고서), 사전, 학술서가 바뀌지 않는한 유구한 역사의 기득권들도 바뀌지 않음.
시중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교과서(참고서), 사전, 학술서에 바탕한 대학들을 비교해도 유구한 역사의 대학들이 바뀌지 않는한 이에 연관된 대학들의 기득권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한편, 2차대전 승전국이 되어 UN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이 된 나라들의 주요 대학들도 변하지 않습니다.
II. 세계의 대학들. 세계사 교과서, 한국사 교과서, 백과사전, 참고서, 학술서등에 근거함. World class Universities. It based on World History Text 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Encyclopedia, Reference Books,Scholarly Books, etc.
현대에 사는 우리들은 세계사에 나오는 대학들을 먼저 알아야 현대의 세계적인 대학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세계 4大文明은 존중하지만, 세계의 대학들은 기존 인식대로 아래의 대학들이 적절한 것 같습니다.
필자는 世界史 4대 文明, 유교, 중국 한(漢. 太學)과 이에서 이어진 국자감(國子監. 베이징대로 승계됨), 서유럽의 볼로냐, 파리대학, 韓國史 成均館(성균관대로 계승됨) 중심입니다.
중국(中国,中國)은 한(汉,漢)나라를 알기이전 세계 4大 文明을 형성시킨 漢나라 이전의 은(殷).주(周) 시대와 그 이전 先史時代 및 孔子님(BC 551 ~ BC 479, 天子國이던 周나라가 명목상 유지되던 시기 중국 魯나라에서 태어나심. 중국의 혼란기인 春秋時代에 태어나신 원시유교의 전승자)이 태어나신 春秋시대도 같이 알아두면 좋습니다.
중국 周나라는 西周시대와 東周시대가 있음.
周왕실이 쇠퇴하면서, 여러 제후들이 등장, 세력을 다투는 군웅할거시대인 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들었지만, 周나라가 天子國이었던 탓에 아무리 힘이 없어도 東周의 공식 멸망때까지는 周나라가 東周로 명칭되며 유지되던 시대임.
周나라는 (B.C. 1046~B.C. 771)까지 유지되었는데 이 시기는 西周라고도 부름. 그리고 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든 이후의 시대는 東周(B.C. 770~B.C. 256)라고 부름. 東周는 周가 B.C. 771년, 견융의 난을 피해 동쪽의 낙읍으로 도읍을 옮긴뒤의 시대를 말하며 춘추전국시대로 접어든 시대임.
* 중국 漢나라 太學.그 이후의 국자감(國子監)이나, 서양 최초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등은 세계사 교과서에 등재되었기 때문에, 누군가 합의하여 漢나라 태학(太學).그 이후의 국자감과 볼로냐 대학을 세계사 교과서에서 삭제하기 까지는 그 세계 최초의 대학(볼로냐는 동일 이름 가진 세계 최초의 대학) 정통성을 잃지 않음.
* 중국은 세계 최초의 대학인 漢나라 太學이후 魏나라 太學, 隋나라 國子監, 唐.宋 國子監, 元.明.淸 國子監, 淸나라 말기 京師大學堂, 중화민국 시대 北京大로 이어짐. 天子國의 수도에 세워져 天子의 子弟들이 공부하던 대학계보라 할 수 있음.
* 이태리 볼로냐대학은 수도원의 대강당에서 시작된 동일 이름 가진 세계 최초의 대학인데, 볼로냐가 敎皇領이었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중세시대 서양세계 최초의 대학으로 교육되어 온것 같음. 교황령이던 볼로냐는 이태리에 합병되었으나, 지금도 世界史 敎科書에서는 중세시대 서양에 세워진 최초(漢나라 太學이 세계사 교과서에서 세계 최초 대학으로 가르쳐지기 때문에, 볼로냐가 세계 최초대학이라면 동일 이름가진 세계 최초 대학을 의미할것)대학으로 교육되고 있음.
* 한국은 高句麗 太學부터 유교 최고대학이 있는데,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이던 成均館은 해방이후 成均館大學校로 600년 전통이 이어지고 있음.
III. 세계사(世界史,World History)의 대학들.
[1]. 중국(中國, China): 베이징대학교. 1898년, 원·명·청 시대에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國子監)을 대체하여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으로 창설.
세계 최초의 대학, 한(漢)나라 태학[太學(유교대학)]. 이후 위(魏)나라 태학(太學), 수(隋)나라 국자감(國子監), 당.송(唐.宋) 국자감(國子監), 원.명.청(元.明.淸)의 국자감(國子監)으로 이어지다가 청(淸)나라말기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으로 명칭이 바뀌고 나중에 다시 북경대학(北京大學, 베이징대학, Peking University)으로 명칭바뀜.
중국(中國) 한(漢)나라 태학(太學)이 세계사에 나타나는 세계(世界) 최초(最初)의 대학임은 정설(定說)입니다. 한국의 두산백과에 나타난 바로는, 청(淸)나라말기 원.명.청(元.明.淸)의 국자감(國子監)을 이어 설립된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은 태학과 국자감에서 이어진 대학 계보고,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에서 이어진 중국대학이 북경대학(北京大學, 베이징대학, Peking University)입니다.
1]. 두산백과에 나오는 베이징 대학교 설명.
베이징대학교
[ Peking University , 北京大學(북경대학) ]
요약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 있는 중국 최초의 국립 종합대학교.
국립
1898년
중국 베이징
2.73㎢
4,206명
대학 1만 5128명, 대학원 1만 5039명
http://www.pku.edu.cn
1898년, 원·명·청 시대에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國子監)을 대체하여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으로 창설하였다. 1902년 경사대학당의 교육학원이 오늘날의 베이징사범대학교로 떨어져 나갔고 1912년 중화민국 성립에 수반하여 국립 베이징대학으로 개칭되었다. 1917년 학장으로 취임한 차이위안페이[蔡元培]의 개혁으로 신문화운동의 중심이 되어 근대 학술연구와 토론의 자유 학풍을 확립하였고, 특히 1919년의 5·4운동이 재학생들에 의해서 추진된 이후 학생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20년 난징대학교에 이어 중국에서 2번째로 여학생 입학을 받아들였다. 중일전쟁중인 1937년에 국민정부가 칭화대학, 난카이[南開]대학과 함께 후난성 창사[長沙]의 오지(奧地)로 모아서 합병하여 창샤임시대학교로 만들었다가 1938년 다시 윈난성[雲南省] 쿤밍[昆明]으로 옮겨 시난[西南]연합대학을 조직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6년 연합대학은 해산되어 각각의 학교로 분리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의 대학 재편성에 의하여 옌징[燕京]대학을 합병하고 칭화[淸華]대학과의 조정이 단행되어 문·이과계의 기초이론을 중심으로 한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52년 베이징 도심에서 옛 옌징대학 캠퍼스 자리로 옮겼으며 1966~1976년의 문화대혁명 기간 중에는 1970년까지 3년 동안 휴교조치가 내려졌다. 1977년부터 국가통일 입시제에 의하여 입학자를 선발하고 있으며 2000년 베이징의과대학교를 합병하여 베이징대학교 보건 캠퍼스를 조성하였다.
2010년 수학, 물리학, 의학, 생명과학, 전기·컴퓨터공학, 환경공학, 역사, 중국학·문학, 심리학, 고고학·박물관학, 철학, 외국어, 예술, 국제학, 경제학, 경영학, 법학, 정보경영학, 사회학, 마르크스학, 언론통신학 등 38개 학원(学院;단과대학)·계(系;독립학과)·부에서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베이징의 주 캠퍼스와 보건 캠퍼스, 광둥성[廣東省] 선전[深圳] 캠퍼스가 있다. 베이징 서쪽 교외지역에 위치한 주 캠퍼스는 이화원과 원명원 등 역사 유적이 가깝고, 이공계의 최고봉이라 불리는 칭화대학과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관춘도 인접해 있다. 웨이밍호[未名湖]로 둘러싸였으며 청 왕조의 정원이 자리 잡았던 곳이어서 옛 건물, 정원, 정자 등 중국 전통적 경관이 남아 있다. 선전 캠퍼스에는 선전대학원이 있다...
. 출처: 베이징대학교 [Peking University, 北京大學(북경대학)] (두산백과)
2]. 중국어판 북경대학 소개자료.
1. 중국의 바이두백과에 나타나는 베이징대(北京大学).
http://wenku.baidu.com/view/3c077fda6bec0975f465e290.html
위에 나타난 baidu. 필자가 첨언하면 Baidu는 중국의 百度文库(백도문고)입니다.
북경대학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北京大学
北京大学,
中国最高学府,
创办于
1898
年,
初名京师大学堂,
是中国第一所国立大学,
也是中国近代最早以
“
大学
”
身份和名称建立的学校,其成立标志着中国近代高等教育的开
端。
北大是中国近代唯一以最高学府身份创立的学校,
最初也是国家最高教育行政机关,
行
使教育部职能,
统管全国教育;
并开创了中国高校中最早的文科、
理科、
政科、
商科、
农科、
医科等学科的大学教育,
是近代以来中国高等教育的奠基者。
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
最高学府
——
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又开创了
中国近代高等教育先河,可谓
“
上承太学正统,下立大学祖庭
”
。在中国近现代史上,北大始
终与国家民族的命运紧密相连,深刻的影响了中国百年来的历史进程。
* 필자가 주안점을 두는 문구는 다음 문구임.
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
最高学府
——
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
북경대는 중국 수천년의 국가 최고학부를 전승해오고 있다. 태학(국자학, 국자감)적 학통-
중국고대 최고학부정통을 이전에 계승했었다.
2. 125교육망 중국연구생 (학생모집) 정보네트워크에 나타난 베이징대(北京大学).
http://www.125edu.com/puyan/zhinan/201508/647c98380.html
125edu.com은 중국어판 125教育网【中国研究生招生信息网입니다. 125교육망 중국연구생 (학생모집) 정보네트워크입니다.
一、北京大学
北京大学,中国最高学府,创办于1898年,初名京师大学堂,是中国第一所国立大学,也是中国近代最早以“大学”身份和名称建立的学校,其成立标志着中国近代高等教育的开端。北大是中国近代唯一以最高学府身份创立的学校,最初也是国家最高教育行政机关,行使教育部职能,统管全国教育;并开创了中国高校中最早的文科、理科、政科、商科、农科、医科等学科的大学教育,是近代以来中国高等教育的奠基者。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最高学府——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又开创了中国近代高等教育先河,可谓“上承太学正统,下立大学祖庭”。在中国近现代史上,北大始终与国家民族的命运紧密相连,深刻的影响了中国百年来的历史进程。
* 필자가 주안점을 두는 문구는 다음 문구임.
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最高学府——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
[2]. 서유럽.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 프랑스 파리대학교.
1].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교(Università di Bologna). 1088년 페포네(Pepone)와 로마 법학자 이르네리오(Irnerio)가 이 지방에서 제자들에게 교회법(Canon)과 민법을 가르침으로써 볼로냐 법학의 기초를 세움. 1158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플드맇 1세(재위 1152~1190)는 이 지역의 학생집단을 자치단체로 공인하고 칙령내림.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볼로냐 대학교.
볼로냐대학교
[ University of Bologna ]
요약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州)의 주도(州都) 볼로냐에 있는 주립 종합대학교.
원어명구분개교일소재지교훈홈페이지
Università di Bologna
주립
1088년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볼로냐
Alma mater studiorum(모든 학문이 퍼져 나간 곳)
http://www.unibo.it
1088년 페포네(Pepone)와 로마 법학자 이르네리오(Irnerio)가 이 지방에서 제자들에게 교회법(Canon)과 민법을 가르침으로써 볼로냐 법학의 기초를 세우게 되었다. 1158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1세(재위 1152~1190)는 이 지역의 학생집단을 자치단체로 공인하고 칙령을 내렸다.당시 학생들은 도시로부터 독립한 독자적인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고, 이것이 볼로냐대학의 핵심이 되었다. 13세기 후반에 이르러 교사(校舍)를 짓고, 법학뿐 아니라 신학·철학·의학도 강의하게 되었는데, 특히 의학부는 세계 최초로 해부학을 교수한 것으로 유명하다. 1802년 국립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이전까지는 프리드리히 1세가 칙령을 내린 1158년을 대학 설립일로 삼았지만, 19세기의 역사학자인 조수에 카르두치(Giosuè Carducci)가 1088년에 처음으로 교육기관이 세워졌다는 사실을 밝혔고, 2000년 세계 최초의 대학임을 강조하기 위래 ‘모든 학문이 퍼져 나간 곳(Alma Mater Studiorum)’이라는 새로운 교훈을 지었다. 주정부가 재정을 지원한다.
2010년 기준 농학부, 건축학부, 인문학부, 경제학부, 교육학부, 공학부, 운동·체육학부, 언어·문학부, 산업화학부, 법학부, 수학·물리학·자연과학부, 의학부, 약학부, 정치학부, 문화유산보존학부, 심리학부, 통계학부, 수의학부 등의 23개 학부에서 다양한 학부·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입학 후 3년 과정 라우레아(Laurea) 학위를 딴 후에 이어서 비슷한 수의 학생들이 2년 과정의 전문학위인 라우레아 스페찰리스티카(Laurea specialistica) 학위를 따게 된다. 그러나 일부 과정은 5년 기간의 한 가지 학위과정으로만 이루어지기도 하며, 의학 부문은 6년이 걸린다.
볼로냐 캠퍼스 외에 체세나(Cesena) 캠퍼스, 2001년 문을 연 포를리(Forlì) 캠퍼스, 라벤나(Ravenna) 캠퍼스, 리미니(Rimini) 캠퍼스와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도 캠퍼스가 있다. 부속시설로는 도서관, 팔라초 포지박물관, 정보공학·통신을 위한 전자체계연구센터, 암학부연구센터, 이슬람학학제연구센터 같은 연구기관 등이 있다...
출처: 볼로냐대학교 [University of Bologna] (두산백과)
2]. 프랑스. 파리대학교. 1215년 파리공교회(公敎會)의 부속학교 등을 모체로 하여 설립. 13세기에 자치권 획득을 위하여 몇 차례 투쟁을 벌인 결과 로마 교황과 프랑스 국왕으로부터 자치권 획득.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파리 대학교.
파리대학교
요약 1215년 파리에 설립되어 1968년에 해체될 때까지 프랑스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 된 대학.
파리대학교
원어명
Université de Paris
1215년 파리공교회(公敎會)의 부속학교 등을 모체로 하여 설립되었다. 설립 당초에는 모두 같은 성직자 신분을 가졌던 교수와 학생의 연구·교육을 목적으로 한 길드(동업조합)였으나, 13세기에 자치권 획득을 위하여 몇 차례 투쟁을 벌인 결과 로마 교황과 프랑스 국왕으로부터 자치권을 얻었다.
중세 전체를 통하여 학사과정(자유학부)에서는 3학(문법학, 수사학, 논리학과 4과(수학, 기하학, 천문학, 음악)를 가르쳤다. 학사학위 취득자는 다시 석사학위·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전문과정(신학부·법학부·의학부)에 진학할 수 있는 제도로 되어 있었다. 유럽 전역에서 많은 영재들이 이들 학문을 배우기 위해 파리대학교로 몰려왔으며, 특히 신학부가 유명하였다. 신학부의 중심은 13세기에 가난한 신학생들을 위하여 로베르 드 소르본(Robert de Sorbon) 신부가 세운 기숙사 겸 연구소였던 소르본 학사(學舍)였으며, 소르본이라는 이름은 그 후 파리대학교 전체를 가리키는 대명사가 되었다. 르네상스이후 파리대학교는 근대과학의 발전에 따라가는 능력을 잃고 점차 정체되었다. 프랑스 혁명후인 1790년대에는 혁명의회로부터 국권이 미치지 않는 학자와 학생들의 경직된 길드라는 비난을 받고 학부(faculté )라는 명칭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나폴레옹 1세의 '제국학제(帝國學制)'가 확립되면서 다시 학부라는 명칭이 부활되었다.
또한, 국가를 대신하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이 인정되고, 1806년에는 교회와의 관계도 완전히 단절되었다. 1893년과 1896년에 제정된 2개의 법률에 의하여 1개의 대학구(大學區)에 있는 몇 개의 대학의 집합체에 '유니베르시테(université )라는 명칭을 붙일 수 있게 되면서 법인격과 재정면에서 자치권을 가진 학부의 통합체로서 파리대학교가 성립되었다. 이와 동시에 지방에도 1개 대학구에 1개 대학교(유니베르시테)라는 시스템이 확립되어 20세기 들어 크게 발전하였다.
1966년 11월에 열린 '제2회 칸회의'(고등교육과 학술 연구 개혁을 위한 최고 전문가회의)에서는 당시 전국 대학생의 30%에 해당하는 20만 명의 재학생을 갖고 있던 파리대학교의 개혁을 중심으로 전국 23개 대학의 학생수를 적정규모(최대 2만 명)로 억제하기 위한 과제가 토의되었다. 여기에서 파리 지역에는 15개 전후의 대학을 설치하는 안이 제출되었다. 그후 '포르 개혁'이라고 불리는 교육제도 개편의 결과 1970년대 초까지 파리대학교를 비롯한 전국 23개 대학의 해체·재편작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70여 개의 신제 대학이 구제의 학부를 대신하는 새로운 교육·연구단위기관으로 발족하였다.
파리대학교가 해체되면서 파리 시내의 '파리대학구'에 파리 제1대학에서부터 파리 제9대학까지가, 시외의 '베르사유대학구'에 파리 제10대학과 파리 제11대학이, 역시 같은 시외의 '크레테유대학구'에 파리 제12대학과 파리 제13대학이 설치되어 모든 국민에게 개방된 신제 국립종합대학교로 재출발하였다.
. 출처: 파리대학교(두산백과)
IV. 한국사(韓國史,Korean History)의 대학. 성균관대(국사의 성균관 자격 승계). 성균관대학교의 연원은 1398년(태조 7)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성균관에서 시작. 성균관은 조선 최고의 국립교육기관으로서 국가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유학 교육을 실시.
한국 국사 교과서(참고서 포함)에서 가르치는,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을 승계한대학은 현재의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SungKyunKwan University)로 600년 역사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한국정부의 대통령령으로 발행한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를 적용시, Royal대는 국사 성균관 자격을 가진 600년 넘는 역사의 성균관대[한국 최고(最古,最高)대]입니다.
.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 成均館大學校 ]
이칭별칭
이칭 성균관대, 이칭 성대
유형:단체
시대:현대
목차:정의개설연원 및 변천기능과 역할현황
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개설
성균관대학교의 성균관이라는 명칭은 1398년(태조 7)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조선왕조 성균관에 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성균관의 전통을 계승하여 교시(校是)인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의 유도정신(儒道精神)을 바탕으로 바른 인성을 갖고 글로벌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를 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895년 갑오개혁과 함께 신학제가 실시되면서 성균관에 3년제 경학과(經學科)가 별도로 설치되었는데, 성균관은 제향 기능을 담당하고 경학과는 교육 기능을 담당하여 유학 경전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역사학 · 지리학 · 수학 등 근대적인 교과목도 부과되었다. 이밖에 교육의 목적, 교육과정의 운영, 입·퇴학 절차, 각종 시험 및 학생의 특전, 학기제 채택 등 전통적 교육기관에서 근대학교로의 제도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중세사회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성균관이 이로부터 근대적인 고등교육기관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국권상실 뒤 일제에 의하여 경학원(經學院)으로 개편되면서,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은 사라지고 문묘(文廟)의 제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서의 기능만 수행하게 되었다.
1946년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할 대학 설립을 위한 성균관대학기성회가 유림대회(儒林大會)를 통하여 조직되고 김창숙(金昌淑)의 주도로 종전의 명륜전문학교의 재단을 병합한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발족하면서 같은 해 9월 정규 단과대학인 성균관대학이 인가되었다. 설립에 필요한 대지는 독지가 이석구(李錫九)가 재단법인 학린사(學隣舍)의 토지를 희사하였다. 문학부와 정경학부를 설치하고, 초대 학장에 김창숙이 취임하였다.
1953년 2월 종합대학인 성균관대학교로 승격되어 문리과대학 · 법정대학 · 약학대학의 3개 단과대학과 1개 대학원의 편제를 갖추었고, 같은 해 6월 각 도의 향교재단(鄕校財團)에서 재산을 기부함에 따라 재단법인을 성균관으로 확대해 개편하였다.
.출처: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成均館大學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켜야 할 정당한 자격과 전통은, 법적 분쟁의 이해당사자가 직접지켜나가는게 사회분열을 막는 방법입니다. 2차대전 이후의 한국내 대학질서는 아주 중요합니다. 한국 대학문제는, 일제 불법 강점기로 인해, 하위법이나 대중언론으로 피해를 입어온 당사자대학인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대학이던 성균관대(성균관의 정통계승) 출신들이,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프랑스.구소련,폴란드가 승인)과, 한국사.세계사교육, 국제법.헌법등의 상위규범을 종합하여, 하위법인 미군정령과 일제잔재 대중언론들의 무분별한 주장을 바로잡는 해법을 제시하는게 유일한 해결책입니다. 미군정은 국사 성균관 교육을 재개하였고, 향교에 관한 법률로, 성균관대를 재정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였습니다. @ 국사 성균관 교육.1]. 국사 편찬위 자료중 역대 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성균관. 개화기.대한제국기,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2]. 본문. 역대 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성균관. 개화기.대한제국기,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1.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 역대 국사 교과서 >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 > 조선역사 3책 > 본조기(本朝紀) > 태조 대왕(太祖大王), 기원후 6년 정축(丁丑) 6년이다.○ 성균관(成均館)을 건립하였다.
2.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3편 근세 (이씨 조선) > 근세의 전기(국기 3725-3900년, 태조-명종 말). **초기의 관제·학제·과거 및 기타.초기의 관제, 학제, 과거 및 기타에 대하여 알기 쉽게 표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1) 관제. 동반(문관),서반(무관).(2) 학제. 성균관 태학. 이상은 유학에 관한 학교이나 또 중앙과 지방에 외국어학과 의학, 율학, 천문지리학 등을 가르치는 각 기관이 있음.[*필자주:성균관(태학)만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구이고, 개화기의 기타 교육기구는 향교.서원과 달리, 실업에 나아가려는 자들을 위한 중등교육기구들(중.고 통합 고등학교정도)입니다.]@미군정령 제 194호 6조(1948년)는, 향교재단의 재산으로 성균관과 성균관대학의 유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제6조 향교 재단의 재산으로부터 생하는 수입은 좌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함을 부득함.군정법령 제 194호. 향교재산관리에관한건[시행 1948.5.17.] [군정법령 제194호, 1948.5.17., 제정]. 따라서, 국제법,헌법,한국사, 세계사, 국가주권의 상위 기준으로 대학 학벌을 확실히 정립하는게 正道입니다.포츠담선언 제8항에서는 「카이로 선언」의 조항은 이행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일본의 주권은 혼슈(本州), 홋카이도(北海道), 큐슈(九州) 및 시코구(四國)와 함께 연합국이 결정하는 여러 작은 섬들에 한정된다고 규정했습니다. 해방이후 미군정부터,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승계로, 6백년 넘는 역사를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Royal 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두 대학만 일류.명문대임. 해방후 조선성명 복구령으로, 유교국가 조선의 한문성명.본관등록이 의무인, 행정법.관습법상 유교나라 한국. 5,000만 한국인뒤 주권없는 패전국 불교 Monkey 일본의 성씨없는 점쇠 僧(히로히토, 아키히토, 나루히토등,일본에서는 천황). 그뒤 한국에 주권.학벌없는 패전국奴隸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점쇠僧이 세운 마당쇠 불교 Monkey). 그 뒤 새로생긴 일제강점기 초급대 출신대나 기타의 비신분제 대학들.해방당시 미군정부터, 상위법은 승전국 국가원수들이 모여 발표한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이 국제법으로 상위법 역할을 하고, 미군정령은 하위법이라, 상위법 우선의 원칙으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음. 조선.대한제국에는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으로 성균관 하나밖에 없던 나라였음.@미군정령보다 상위법인 카이로선언 내용입니다. "또한 일본은 폭력과 탐욕으로 약탈한 다른 일체의 지역으로부터 구축될 것이다". 폭력과 탐욕으로 조선.대한제국을 약탈하여, 불법.강제로 경성제대를 설립하였기 때문에, 하위법인 미군정령으로, 경성제대를 서울대로 바꾸었어도, 한국 영토에 주권이 없으며, 또한 카이로선언에 따라, 한국영토에서 축출(제명,폐지)해야할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일 뿐입니다. 그리고 상위법인 카이로선언에서, 일본에 대해 잔인한 적(brutal enemies)이란 표현을 사용해서, 적국 잔재 일본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어떠한 하위법으로 포장해도,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없는, 적국 일본 잔재일뿐입니다. 미군정에 등용된, 한국내 일제 추종, 한국인 교육 정책 실무자들의,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각색작업에도 불구하고,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 영토에서 축출시켜야 될(expelled), 적국 일본 잔재일 뿐입니다. 추가적으로 설명합니다. 미군정령보다 상위법인 카이로선언 내용입니다. "또한 일본은 폭력과 탐욕으로 약탈한 다른 일체의 지역으로부터 구축될 것이다". 이 문구는, 한국에서, 불법.강제의 을사조약.한일병합이 무효라는 국제법적 합법성도, 연합국 국가원수들이 수용한것에 해당됩니다. 필자는 성균관대 1983학번 윤진한(宮 儒)입니다.고종후손 황사손(이원)을, 대한제국 복구의 정점으로 하여, 궁 성균관대 임금(成皇.윤진한. 1962년생. 1983학번. 승전국 미국 선교사가 세운 기독교 고등학교 전주 신흥고 출신)과 어서강대 임금(西王. 서강대 사학과 출신 서진교 교수. 필자의 고교 동창생. 이전에 서강대 기록보존소에서 근무)의 대학 학벌을 장기적인 법률제정의 목표로 삼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
V. 필자가 백과사전, 참고서,주요 학술서적에서 보고 익힌 세계의 대학들.
[1]. 동아시아 유교권.
1]. 중국(中華人民共和國). 베이징대(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북경대학교)외에도 칭화대학(淸華大學, Tsinghua University), 베이징 사범대학[北京師範大學, 1902년에 경사대학당사범관(京师大学堂师范馆])으로 개교]이 있음. 중국 태학이나 국자감,경사대학당은 유교권 천자가 세운 전통으로, 황제들이 황태자때 공부하고 천자(황제)가 됨.
2]. 태학에서 공부하던 천자의 아들들. 연암집 제 10권 별집. 原士편
천자의 원자(元子)와 적자(適子)가 태학에 입학하여...
.출처:한국 고전번역원/신호열 김명호 공역/2004
3]. 태학생의 선발과 출로.
태학생의 선발과 출로[편집] 太學生-選拔-出路 한대 박사의 임명 및 태학생의 선발은 태상경(太常卿)의 권한에 속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태상경이 18인 이상을 선발하여 '박사제자'로 충당하는 규정을 세웠으나, 그 뒤에는 지방의 관리들이 추천한 학생도 태학에서 면학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경(公卿) 자제들은 정식추천을 거치지 않고 입학할 수 있어 다소의 문란을 초래하였다. 그래서 태학 학생들의 출신성분은 다양했다. 공경 자제, 지방정부에서 추천한 공사비(公私費) 평민학생, 부호출신, 빈한한 가정 출신도 있었고, 외국인 흉노 유학생들도 있었다. 이들이 졸업한 뒤의 진출상도 다양하여 하급관리로부터 공경·제왕(帝王)도 있었다.
. 출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4]. 중국에서 황태자등을 가르치던 국자감 설명. 국자(國子)와 연관되어 설명하고 있음. 國子監과 國子 두가지 설명.
1. 국자감(國子監): 중국에서 황태자(皇太子)와 태자 및 귀족 자제(子弟)와 민간 수재(秀才) 들을 가르치던 대학(大學). 여기의 교수(敎授)를 국자박사(國子博士)라 했는데 당(唐)의 한유(韓愈, 자 퇴지退之)가 국자박사를 지냈음.<사물기원事物紀原><한유韓愈 진학해進學解>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성종(成宗) 때부터 유학(儒學)을 가르치던 관아로 후에 성균관(成均館)으로 명칭이 바뀌었음.
2. 국자[ 國子 ]: 공경대부(公卿大夫)의 자제.<주례周禮>
.출처: 한시어 사전, 전관수, 2007.7.9, 국학자료원
3. 주나라 천자가 건립한 벽옹.
벽옹(辟雍): 중국 주(周)나라때 천자(天子)가 도성(都城)에 건립한 대학(大學)
.출처: 벽옹(辟雍) (한국 고전용어 사전,2001.3.30,세종대왕 기념사업회)
4. 한 무제가 세운 한나라 태학.
무제는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가 사상을 국가 통치의 원리로 삼았다. 이에 따라 수도 장안(오늘날 시안)에 국립 대학인 태학을 설치하고 오경 박사를 두어 유교 경전을 가르치게 하였다.
.출처: 중국문화의 기틀을 다진 한나라(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2011.9.5, 휴머니스트)
5. 국립국어원의 국자학 설명.
국자학 國子學.
. 고려 시대에, 국자감에서 삼품관 이상 고관의 자제만 입학하던 전문 학과.
. 중국 진(晉)나라 때에, 무제가 귀족 자제나 영재를 가르치기 위하여 만든 교육 기관. 한(漢)나라 때에는, 태학이었으며, 수나라 이후 국자감으로 이름을 고쳤다.
6. 동아시아 유교권의 현대 대학들.
1). 중국. 칭화대학교. 중일전쟁 중인 1937년에 국민정부가 베이징대학, 난카이[南開]대학과 함께 후난성 창사[長沙]의 오지(奧地)로 모아서 합병하여 창샤임시대학교로 만들었다가 1938년 다시 윈난성[雲南省] 쿤밍[昆明]으로 옮겨 시난[西南]연합대학을 조직.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칭화대학교.
칭화대학교
[ Tsinghua University , 淸華大學(청화대학) ]
요약 중국의 수도 베이징[北京]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국립
1911년
중국 베이징
자강불식 후덕재물(自强不息 厚德載物:스스로 끊임없이 강하게 만들고, 덕을 쌓은 위에 물질적인 발달을 꾀한다)
3.95㎢
4,868명(2009)
대학 1만 3915명, 대학원 1만 2831명(2009)
http://www.tsinghua.edu
1911년 4월 26일, 의화단(義和團) 운동의 결과로 인해 중국 정부가 서구 열강에 대한 배상금 명목으로 미국에 조차하던 지역에 미국 유학생 양성기관인 '칭화학당[淸華學堂]'으로 설립하였다. 이후에 ‘칭화학교’로 개칭하였고 종합대학으로 바뀌었으며, 1928년 국립대학으로 개편하면서 국립칭화대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중일전쟁 중인 1937년에 국민정부가 베이징대학, 난카이[南開]대학과 함께 후난성 창사[長沙]의 오지(奧地)로 모아서 합병하여 창샤임시대학교로 만들었다가 1938년 다시 윈난성[雲南省] 쿤밍[昆明]으로 옮겨 시난[西南]연합대학을 조직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6년 연합대학은 해산되어 각각의 학교로 분리되었다.
1952년 중국 정부가 결정한 ‘전국 공학원(工學院) 조정방안’에 따라 공학부에 베이징대학과 옌징[燕京]대학의 공학계통을 통합 흡수하고, 문학·이학·법학은 베이징대학교로 옮겼다. 1978년부터 1980년대 초에 걸쳐 이과, 경제경영, 인문사회과학, 건축학, 법학, 의학 부문 등을 만들었고 다시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2010년 기준 건축, 토목수리, 기계공정, 우주항공, 마르크스주의, 정보과학기술, 이과, 경제관리, 공공관리, 인문사회과학, 법학, 신문방송, 미술, 의학의 14개 학원(단과대학)에서 학부과정과 석사·박사과정을 제공하며 1985년 설립된 칭화대학계속교육학원[淸華大學繼續敎育學院]이 있다. 특히 공학 계열은 중국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며, 대학 부설 연구소로 46개 연구소와 167개의 다양한 실험실을 보유한다.
. 출처:칭화대학교 [Tsinghua University, 淸華大學(청화대학)] (두산백과)
2. 중국. 베이징 사범대학교. 1902년에 경사대학당사범관[京师大学堂师范馆]으로 개교.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베이징사범대학교.
베이징사범대학교
[ 北京師範大學校(북경사범대학교) ]
요약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 있는 국가교육부 직속 사범대학교로, 중국에서 설립된 최초의 사범대학이다.
국립
사범대학
1902년
중국 베이징
사람의 모범이 되기 위해 배우고, 세상의 모범이 되도록 행동하라[学为人师,行为世范]
794,355㎡
http://www.bnu.edu.cn/
중국 국무원이 지정한 10대 중점 사범대학으로, 1902년에 경사대학당사범관[京师大学堂师范馆]으로 개교하였다. 1923년 베이징사범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31년에 베이핑여자사범대학[北平女子师范大学], 1952년 푸런대학[辅仁大学]과 합병하였다. 1959년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의해 최초의 전국 중점대학으로 지정되었다.
대학교 내 학부와 학과, 대학으로는 교육학부, 지리과학학부, 심리학부, 물리학과, 천문학과, 법대학, 철학대학, 경영대학, 마르크스주의 대학, 중국 사회 관리 아카데미/사회학 대학, 체육 스포츠 대학, 중국어문학대학, 중국어문화대학, 외국어문학대학,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대학, 역사대학, 수리과학대학, 화학대학, 시스템과학대학, 통계대학, 환경대학, 생명과학대학, 인공지능대학, 원자력과학기술대학, 정부대학, 사회개발 및 공공정책대학, 예술 및 커뮤니케이션대학, 평생교육 및 교사훈련대학, 일대일로(Belt and Road)대학, 미래교육대학이 있다. 이중 수학, 환경/생태, 지구과학, 농업과학, 신경과학 및 행동과학, 화학, 정신의학/심리학, 공학, 물리학, 재료과학, 사회과학총론, 식물학, 축산학, 생물학 및 생물화학, 임상의학과 같은 전공 분야는 세계 대학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연구소로는 경제자원관리연구소, 형사법률과학연구소, 물과학연구소, 재난경감방재연구소, 세계변화 및 지구시스템과학연구소, 기본교육품질평가협업혁신센터, 베이징 문화혁신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중국 정보처리 연구소, 베이징문화개발연구소, 신소재 연구소, 교재 연구소가 있다.
교훈은 “사람의 모범이 되기 위해 배우고, 세상의 모범이 되도록 행동하라[学为人师,行为世范]”이다. 본교는 베이징시 중심부에 있으며, 캠퍼스 부지 면적은 794,355㎡에 달한다. 베이징사범대학교는 약 500여 개의 대학과 국제기구, 3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900명 이상의 국제적인 교수와 학자를 수업 및 연구에 초청하고 있다. 또한 2000여 명의 장기 유학생이 있으며, 이같은 규모는 중국 대학 내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 출처: 베이징사범대학교 [北京師範大學校(북경사범대학교)] (두산백과)
3). 한국. 서강대학교. 1960년 2월 재단법인 한국예수회에서 서강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4월 개교. 1948년 한국 가톨릭교회의 발의와 교황 비오(Pio) 12세의 윤허로 대학 설립이 기획됨.
한국은 Royal대인 宮 성균관대(한국 최고대), 서강대(성대 다음 Royal 예우)가 Royal대학임. 세계사를 반영하여, 교황성하 윤허로 설립된 귀족계파 예수회에서 설립한 서강대는 宮성균관대 다음의 Royal대로 예우함. Royal대인 서강대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게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된 대학으로, 귀족계파인 예수회 산하의 대학입니다. 불법.강제의 일제강점기를 겪은 한국에서, 중국의 문화대혁명으로 한나라이후 동아시아의 세계종교 유교가 위기를 겪고 있고, 서유럽은 이탈리아.독일이 패전국이 되어서 과거의 빛나는 명성만큼 못한 상태입니다. 세계사의 자격은 그대로 유효한 상태라 다행이기는 합니다. 한국은 대중언론에서 발호하는 일제 강점기 잔재대학들의 도전에, 宮성균관대에게 꼭 필요한 대학이 서강대학교로, 공생관계를 이어가며 유교.가톨릭의 세계사적 세계종교의 기득권을 계승해야 합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 태학.국자감(베이징대로 승계), 서유럽의 볼로냐.파리대학, 한국 성균관(성균관대로 승계)의 과거 위상이 이전같지 않은 상태에서 유교.가톨릭 그리고 오랜 대학역사를 계승하기 위해 공생관계로 이어져야 할 동아시아의 중요한 대학이 서강대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불교 Monkey일본 항복후, 미군정 때, 조선성명복구령을 발효, 전국민이 의무적으로 주민등록(이전에는 호적 포함)에 조선 유교 성명과 본관을 의무등록해야 하는 행정법.관습법상 유교국으로 복귀하였습니다. 5,000만이 유교도입니다. 그러므로 서강대는 한국 유교의 틀 내에서, 학내에서만 자치성격의 가톨릭 예수회 학교로 존재하며 일제 강점기 잔재를 극복해야 하겠습니다.
.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에 나타나는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 Sogang University , 西江大學校 ]
서울시 마포구 신수동에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1960년 4월에 개교하였다.
서강대
단체
현대
대학교, 사립종합대학교
1960년 4월
게페르트(Theodor Geppert)
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신수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60년 2월 재단법인 한국예수회에서 서강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4월 개교하였다. 1948년 한국 가톨릭교회의 발의와 교황 비오(Pio) 12세의 윤허로 대학 설립이 기획되었고, 예수회 게페르트(Theodor Geppert) 신부의 주도로 1956년 재단법인 한국예수회가 발족되면서 대학의 설립에 이르게 되었다.
초대 학장에 킬로렌(K. E. Killoren) 신부가 취임하였으며, 영어영문학과·사학과·철학과·수학과·물리학과·경제학과를 두었다. 1963년 독어독문학과·생물학과·경영학과를 신설하였다. 1964년 국어국문학과·화학과를 설치하고 제1회 졸업생 62명을 배출하였으며, 같은 해 4월 「사립학교법」에 따라 재단법인 한국예수회가 학교법인 서강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66년 무역학과, 1967년 대학원, 1968년 신문방송학과, 1969년 전자공학과를 신설하였고, 1970년 3월 종합대학인 서강대학교로 개편하여 초대 총장에 데일리(J. P. Daly) 신부가 취임하였다.
1973년 대학원에 박사과정을 설치하고 1980년 경영대학원, 1988년 공공정책대학원, 1997년 국제대학원·정보통신첨단기술대학원을 개원하였다. 1999년 학생설계 전공제도를 시행하였고, 벤처산업 육성을 위한 서강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하였다. 2001년 8월 경영관 마태오관을 건립하고, 2002년 예비대학을 신설하였다...
2017년 현재 12개 대학원, 8개 학부에 학부생은 8,119명, 전임교원은 424명이다.
표어는 ‘그대 서강의 자랑이듯, 서강 그대의 자랑이어라’이다. 가톨릭 예수회 세계관에 입각하여 학문을 탐구하고 진리를 추구하면서 인간의 생명가치를 존중하는 인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6년 이상 근무한 전임교원에게 1년간 강의나 기타 학교업무를 일체 맡기지 않고 휴식기간을 제공하는 교수안식년제를 국내 최초로 채택하여 현재까지 실시해오고 있다.
또한 개교 당시부터 결석 초과로 인한 과목낙제제도로 대표되는 출결석 관리를 철저하게 시행하였고, 지금도 강의실 좌석을 지정해서 앉게끔 하는 등 철저한 학사관리 전통을 지켜오고 있다...
. 출처: 서강대학교 [Sogang University, 西江大學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기독교권(基督敎圈,Christian Culture).
1]. 서유럽(Western Europe).
1. 이탈리아. 로마대학. 이탈리아는 세계사의 볼로냐대학이 대표적이지만, 교황이 설립한 로마대학도 있습니다. 로마대학은 1303년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가 스투디움 오르비스(studium urbis:도시대학)라는 이름의 문과와 법학과를 가진 일반 대학으로 세움.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로마대학교.
로마대학교
[ University of Rome ]
요약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Università Degli Studi di Roma
국립
1303년
보니파키우스 8세
이탈리아 로마
볼로냐대학교에 이어 이탈리아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대학이다. 1303년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가 스투디움 오르비스(studium urbis:도시대학)라는 이름의 문과와 법학과를 가진 일반 대학으로 세웠으나, 얼마 못 가서 교황의 아비뇽 유수(幽囚)와 교회분열로 말미암아 쇠퇴하였다.
1431년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재건에 착수한 이래, 교황 레오 10세와 식스토 4세·알렉산데르 7세의 손을 거쳐 학부(學府:palazzo della sapienza)가 완성되었으며, 1871년 이탈리아 왕국이 수립된 후부터 국가의 중심적인 대학으로 발전하였다. 1935년 국립대학이 되었으며, 새로이 건설된 대학도시(cita universitaria)로 이전하였다. 법학·정치학.경제학.문학.교육학.의학.약학.공학.건축학.사서학등의 학부가 있다.
부속시설로 개발도상국 연구 센터, 인간자동화 센터(CISADU), 생물의학 시스템 모델·정보분석 종합연구 센터(CISB), 역사적 건축 보존 기술과학 종합연구 센터(CISTEC), 자연·인공 시스템 인식 프로세싱 연구 센터(ECONA), 국제 상대론적 천체물리학 센터(ICRA), '산 마르코 프로젝트' 연구 센터 등이 있다.
. 출처: 로마대학교 [University of Rome] (두산백과)
2. 바티칸시티. 이탈리아의 로마 북서부에 있는 가톨릭 교황국. 교황이 원수(元首)로서 절대적인 주권을 가지는 국가. 그레고리오 대학이 대표적[전 세계 추기경(195명)의 3분의 1, 주교(약 4700명)의 4분의 1, 성인 21명, 교황 16명을 배출한 대학].
. 가톨릭 평화신문에 나타나는 그레고리오 대학교.
가톨릭 평화신문
<가톨릭대학교-평화신문 공동기획>
로마 그레고리오대학
수많은 인재 배출한 예수회 교육사업 '심장부'
2003.12.07발행 [751호]
전 세계 추기경(195명)의 3분의 1, 주교(약 4700명)의 4분의 1, 성인 21명, 교황 16명을 배출한 대학….
올해로 설립 452돌을 맞는 로마 그레고리오대학(Pontifica Universita Gregorina, 총장 프랑코 이모다 신부)의 외형적 업적이다.
신학대학에서까지 서열을 따지는 것이 우습기는 하지만 그레고리오대학이 가톨릭 최고 신학대학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부인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227개 고등교육기관을 설립, 운영하고 있는 예수회가 교육사업의 '마지막 보루', 또는 '심장부'라고 공공연히 말하는 대학이 그레고리오대학이다.
하지만 명성에 비하면 대학 건물과 규모는 실망스러울 정도로 왜소하다. 로마 시내 필로타 광장 부근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석조건물에는 세월의 흔적 같은 더께가 두껍게 덥혀 있다. 장서 500만권을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은 책을 얼마나 층층이 빽빽하게 쌓아놓았는지 출구가 헷갈릴 정도다. 이런 곳에서 신학계 거장들이 신학흐름을 주도해오고, 세계 각국에서 젊은 인재들이 모여들어 신학탐구에 몰두한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그레고리오대학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신학연구의 중심축이 독일권에서 로마권으로 완전히 기울었다는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신학 학풍과 흐름은 칼 라너·라칭거·발터 카스퍼·한스 큉·이브 콩가르 등 쟁쟁한 신학자들이 독일과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지에서 주도했다. 한스 큉 박사가 교황 무류권 논쟁을 촉발시켰듯이 이들 신학자들의 진보적 학설과 주장은 때로 로마 교황청과 심각한 갈등을 빚기도 했다.
그러나 독일과 오스트리아 신학대학들이 성소와 재정 부족으로 침체되자 교황청은 유명 신학자들을 로마로 집결시키고 있다. 한때 독일에서 튀빙겐학파를 이끌었던 발터 카스퍼 추기경이 교황청 일치평의회 의장, 독일 교의신학의 거장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이 신앙교리성장관을 맡고 있는 것이 이같은 분위기를 포착할 수 있는 사례다. 교황청은 그레고리오대학과 라테라노대학(로마교구 설립)을 신학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모다 프란치스코 총장 신부는 "사회변화가 심하고, 사상 문화의 흐름이 워낙 빠르기 때문에 몇년 전 강의한 내용으로는 오늘날의 학생들을 가르칠 수가 없다"며 "예를 들어 한 교수는 동성애 윤리를 연구, 강의하다 그걸 접고 최근 AIDS 윤리로 방향을 바꿨다"고 말했다.
대학을 명문(名門)으로 만드는 주인공이 교수인가, 아니면 학생인가 하는 문제는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라는 질문과 같다. 그러나 고레고리오대학만큼은 교수가 전통과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대학측이 유명 신학자, 특히 기초·교의 신학 거장들을 강단에 세우기 위해 쏟는 열정은 대단하다. 예수회 회원 가운데 그 분야 최고 전문가가 없다면 타수도회와 타대학에서 전문가를 데려오는 데 조금도 머뭇거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독일 강단의 신학자들이 초빙교수 자격으로 와서 한 학기 강의를 하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다. 그러면 그 교수 밑에서 공부하는 독일 학생들도 로마로 따라 내려온다. '그리스도 은총론'의 기스펠트 그레사케, 신약성서 주석학의 대가 마틴 헹엘 같은 독일 신학자들이 현재 이 대학에서 열강하고 있다.
신학자 입장에서도 대학측 강의 제의는 그 분야의 손꼽히는 교수로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미국 대학은 '돈'으로 교수를 끌어오지만 그레고리오는 '명성'으로 끌어온다"는 말이 회자된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두뇌' 역할을 한 것은 물론 지금도 교황청에 다양한 신학적 조언을 하는 집단이 바로 이 대학 교수진이다.
그레고리오대학의 명성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요소는 전통과 실험정신의 조화다. 전통은 교황 최측근에서 16~17세기 종교개혁자들의 거센 도전을 신학적으로 반박한 역사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레고리오대학이 문을 연 1551년은 종교개혁 바람이 점점 거세지고, 이에 따른 교회분열을 수습할 목적으로 소집된 트리엔트공의회가 한창 열리고 있던 때이다. 유럽 중심의 정통신학(제1세계 신학)에 집중하는 전통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이로 인해 강의시간에 호기심많은 학생들이 남미나 아프리카 신학과 관련된 얄궂은 질문을 던지면 교수들은 "우리는 1세계 신학만 다루기 때문에 답변할 수 없다"는 농담으로 받아넘긴다고 한다.
실험정신은 예수회의 개방적 교육전통과 맞물려 있다. 1990년대 후반까지 이 대학에서 강의한 자크 뒤퓌 교수는 인도선교 중 체득한 힌두사상을 기초로 '그리스도교 종교 다원주의 신학을 향하여'(1998년, 국내 미번역)라는 저서를 출간했다. 서구교회에서 큰 화제가 됐던 이 책은 종교 다원주의의 오류가 발견되는 책이라는 평이다. 교황청 신앙교리성이 '주님이신 예수님'(2000년)이라는 선언을 통해 그리스도 및 교회에 관한 진리를 재천명한 것은 그의 저서와 무관하지 않다는 게 로마 신학자들의 얘기다.
유럽 대학에서는 드물게 영어·불어·스페인어 등 6개 언어가 대학 공식언어라는 점에서도 실험성과 개방성을 엿볼 수 있다.
그레고리오대학은 1930년 이전까지 볼로메오 궁(현 콜레지오 벨라르미노) 근처에 있었다. '콜레지오 로마눔'이라는 19세기 유명 학파는 당시 예수회 신학자인 벨라르미노 신부가 동료 신학자들과 그곳에서 태동시킨 학파다.
현재 박준양(서울)·조학균(예수회)·노우재(부산)·김종강(청주)·김주영(춘천)·옥현진(광주)·고태훈(수원)·노연호(서울)·이호봉(대구) 신부 등 한국신부 14명이 수학 중이다. 로마=김원철 기자 wckim@pbc.co.kr
가톨릭평화방송 (cpbc.co.kr)
3. 영국. 옥스포드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이 대표적. 1167년 헨리 2세가 영국 학생들이 파리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을 금지한 것을 계기로 급속히 발전.
1). 옥스포드 대학교.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옥스포드 대학교.
옥스퍼드대학교
[ University of Oxford ]
요약 영국 잉글랜드 옥스퍼드셔카운티(Oxfordshire county) 옥스퍼드시(市)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 영어권 국가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서 30여 개의 칼리지와 상설사설학당(PPH)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언 도서관
공립
미상(1096년 강의 기록)
헨리 2세
영국 잉글랜드 옥스퍼드셔카운티 옥스퍼드시
Dominus Illuminatio Mea(The Lord is my Light;주는 나의 빛)
대학 1만 1772명, 대학원 9850명(2013)
http://www.ox.ac.uk
영국은 물론 영어권에서는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설립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1096년에 이미 강의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167년 헨리 2세가 영국 학생들이 파리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을 금지한 것을 계기로 급속히 발전하였으며, 1209년 옥스퍼드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 간에 발생한 분쟁을 계기로 일부 학생들이 케임브리지로 이동하여 케임브리지대학교가 태동하게 되었다. 13세기에 대학을 구성하는 칼리지(유니버시티칼리지·베일리얼칼리지·머턴칼리지)들이 구체적으로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설립 초기에는 학생과 시민 간에 과격한 충돌이 자주 일어났는데, 1354년 충돌이 있은 다음해에 에드워드 3세가 학생 편을 지지하여 그들에게 특허장(特許狀)을 줌으로써 대학의 지위가 견고해졌다.
교육 내용은 자연철학·도덕철학·형이상학 등을 강의하였는데, 모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기본으로 삼았다. 14세기에는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교수가 교회의 악폐를 비판함으로써 영국의 종교개혁 운동에 선구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15세기에 와서는 종교적 기초가 동요하면서 침체 경향을 보였으나,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사이에 이탈리아에서 신학문을 배우고 돌아온 토머스 리너커(Thomas Linacre), 존 콜렛(John Colet), 휴 래티머(Hugh Latimer)를 위시하여 토머스 모어(Thomas More),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Desiderius Erasmus) 등을 포용함으로써 영국 문예부흥의 중심이 되었다.
19세기에는 존 헨리 뉴먼(John Henry Newman) 교수를 중심으로 하여 가톨릭 전통 회복을 통한 영국 국교회 쇄신을 주장하는 옥스퍼드운동이 일어났다. 그리고 근대적 학과목도 추가하여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여자를 위한 학교도 설립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는 세틀먼트, 대학확장 운동을 통하여 교외교육(校外敎育)에도 힘을 기울여 민중교육의 진흥에 기여하였다...
재학생의 3분의 1 이상이 유학생이며, 수업은 튜터(Tutor)에게 지도를 받는 면담수업(Tutorial Class)으로 이루어진다. 캠퍼스는 옥스퍼드 시내 중심지와 외곽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이밖에 부속기관으로 1602년에 설립된 보들리언도서관과 보들리언법학도서관·인디언학도서관·래드클리프과학도서관·동양학도서관을 비롯한 100개 이상의 도서관,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박물관인 애슈몰린박물관(1683년)과 피트리버스박물관(1884년), 자연사박물관, 식물원, 크라이스트처치미술관 등이 있다...
. 출처: 옥스포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두산백과)
2). 케임브리지 대학교. 1284년 최초의 칼리지인 피터하우스를 설립하였으며, 그 후 프랑스의 파리대학교와 옥스퍼드대학교를 모방하여 대학 조직을 개편하다가, 1318년에 교황 요한 22세로부터 일반연구소(studium generale)로 인가.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
[ University of Cambridge ]
요약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카운티의 케임브리지 카운티 타운(county town)에 있는 종합대학교.
국립
1284년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카운티의 케임브리지 카운티 타운
Hinc lucem et pocula sacra(From here, light and sacred draughts)
8,614명(2008)
대학 1만 2018명, 대학원 6,378명(2008)
http://www.cam.ac.uk
옥스포드대학교와 함께 영국에서 가장 오랜 전통과 유서를 자랑하는 대학교이다. 이 대학교의 기원은 1209년 옥스퍼드시(市)에서 학자와 시민 간에 일어난 분쟁을 계기로 여러 학자들이 케임브리지로 이주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기 시작한 데서 비롯된다. 1284년 최초의 칼리지인 피터하우스를 설립하였으며, 그 후 프랑스의 파리대학교와 옥스퍼드대학교를 모방하여 대학 조직을 개편하다가, 1318년에 교황 요한 22세로부터 일반연구소(studium generale)로 인가되었다.
. 출처: 케임브리지대학교 [University of Cambridge] (두산백과)
4. 독일. 필자는 교황성하께서 윤허하신 하이델베르크대학등의 역사와 전통은 인정하되, 고통당한 나라와 민족이 많아 일본, 독일등의 UN적국 해제는 힘들다는 지론가짐.
1). 하이델베르크 대학교(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1385년 교황의 인가를 얻은 후 1386년 선제후 루프레히트 1세가 세워서 대학 명칭에 그 이름이 포함.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University of Heidelberg ]
요약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주(州)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국립
1386년
루프레히트 1세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하이델베르크
Semper apertus(The book of learning is)
4,196명(2008)
26,741명(2008)
http://www.uni-heidelberg.de
정식 명칭은 ‘루프레히트 카를스 하이델베르크대학교(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이다.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1385년 교황의 인가를 얻은 후 1386년 선제후 루프레히트 1세가 세워서 대학 명칭에 그 이름이 포함되었다. 설립 당시 철학부,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를 갖춘 가톨릭계 대학으로 출발하였으나, 하인리히 선제후의 종교개혁(1556)으로 인문주의적 신교대학으로 전환하여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신교(프로테스탄트)와 구교(가톨릭) 간에 벌어진 30년전쟁(1618∼1648)의 영향으로 폐쇄와 개교를 반복하다가 1803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칙령으로 자치권이 인정되면서 근대대학으로 개편하고, 교수어도 라틴어에서 독일어로 바꾸었다. 이때 옛 바덴주(州)의 공작인 카를 프리드리히의 이름이 교명에 더해졌다. 1899년에는 남녀공학이 되었다.
2010년 기준 신학대학, 법과대학, 기초의과대학, 이론의과대학, 철학대학, 현대언어대학, 경제·사회학대학, 행동·문화학대학, 수학·컴퓨터학대학, 화학·지구과학대학, 물리·천문학대학, 생명과학대학의 12개 단과대학에서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또한 중국의 베이징대학교[北京大學校], 일본의 교토대학[京都大學] 등 세계 여러 대학들과 자매결연을 맺었고 미국·일본·남미의 대학과도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캠퍼스는 세 곳이 있는데, 인문·사회과학 관련 대학과 연구소들이 있는 하이델베르크 구 시가지 캠퍼스, 과학·의학 대학, 부속병원이 있는 시 외곽의 노이엔하이머 펠드(Neuenheimer Feld) 캠퍼스,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캠퍼스가 있다.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캠퍼스에는 2009년 3월 경제·사회학대학과 경제·정치·사회학 연구소, 도서관이 들어섰다.
부설기관으로 도서관, 동물센터, 대학병원, 식물원, 박물관, 생화학센터, 남아시아연구소, 과학연산협동센터, 신경과학연구소, 하이델베르크분자생물연구소, 미국학연구소, 천문학센터, 사회개발센터 등이 있다...
. 출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University of Heidelberg] (두산백과)
2). 쾰른대학교(Universität zu Köln). 1388년 우르바노 6세의 칙서를 얻어 설립. 독일은 학문의 나라이므로 하이델베르크 대학에 이어 이번에 별도로 쾰른대학 추가함.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쾰른 대학교.
쾰른대학교
[ University of Cologne ]
요약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州) 쾰른시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교. 독일에서 하이델베르크대학교 다음으로 오래된 대학이다.
Universität zu Köln
공립
1388년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쾰른시
http://www.uni-koeln.de
1388년 우르바노 6세의 칙서를 얻어 설립되었고 1389년 1월부터 수업을 시작하였다. 1794년 프랑스군(軍)이 쾰른을 점령한 후 1798년 대학의 교수들이 프랑스공화국에 대한 충성서약을 거부하고 대학의 독립을 원하였다는 이유로 폐쇄하였다. 1919년 3월 19일 프로이센 정부가 쾰른 시의회의 청원을 받아들여 현대식 종합대학으로 재건하였다. 당시 상학·경제학·사회과학부, 의학부가 있었으며 1920년 법학부와 예술학부를 설치하였다. 1980년에는 라인란트교육학교(Rhineland School of Education)의 2개 학과를 병합하여 교육·특별교육학부로 만들었다. 독일에서 하이델베르크대학교 다음으로 오래된 대학으로, 현재 독일에서 몇 안 되는 캠퍼스 중심 대학교이기도 하다.
경영·경제·사회과학부, 법학부, 의학부, 예술·인문학부, 수학·자연과학부, 인문과학부의 6개 학부에서 다양한 학부·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주요 연구대상은 아프리카, 컴퓨터과학, 라틴아메리카, 유럽 및 동유럽 부문이며 생명과학, 환경 및 우주항공 연구에도 힘쓴다.
캠퍼스가 있는 쾰른이 미디어 중심지라는 입지적 여건 탓에 대학에도 연극연구소, 영화·텔레비전연구소, 방송법연구소, 유전학연구소, 1992년에 설립한 방송경제연구소 같은 미디어연구 관련 부설연구소가 많다. 프랑스의 클레몽페르낭트대학, 파리소르본대학교,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학교와 캘리포니아대학교, 일본의 게이오대학[慶應大學] 등 세계 여러 대학과 학술교류 및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출처: 쾰른대학교 [University of Cologne] (두산백과)
5. 스페인.
1). 살라망카 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중세시대인 1218년에 레온 왕국의 국왕 알폰소 9세(Alfonso IX)의 칙령으로 설립했으며 에스파냐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대학교 중 하나로 손꼽힌다. 1225년 유럽에서 최초로 대학교(Universidad) 자격 취득.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살라망카 대학교.
살라망카대학교
요약 에스파냐 카스티야이레온 자치지역(Comunidad Autónoma de Castilla y León) 남서부 살라망카주(Provincia de Salamanca)의 주도 살라망카에 있는 대학교.
원어명구분개교일소재지전임 교원수(명)학생수
Universidad de Salamanca
공립
1218년
에스파냐 카스티야이레온 자치지역 살라망카주 살라망카
1252명
약 2만 8000명
살라망카주 중앙부에 위치한 주도 살라망카의 파티오데에스쿠엘라스 거리(Calle de Patio de Escuelas)에 있다. 중세시대인 1218년에 레온 왕국의 국왕 알폰소 9세(Alfonso IX)의 칙령으로 설립했으며 에스파냐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대학교 중 하나로 손꼽힌다. 1225년 유럽에서 최초로 대학교(Universidad) 자격을 취득했다. 오늘날 에스파냐에서 최상위권 대학교로 명성을 떨치고 있어 외국에서도 우수한 학생들이 많이 몰려들고 있다.
거의 전 학문 분야에 걸쳐 총 2,453개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 비에스파냐어권 재학생을 위해 특별히 마련한 에스파냐어 강좌가 훌륭한 것으로 유명하며, 매년 평균 2000명 이상의 외국 학생들이 이곳에서 공부한다. 교내에 풍부한 장서량을 갖춘 여러 개의 도서관이 있는데 자료 중에는 매우 귀중한 고문헌과 고문서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교내에 있는 많은 고풍스러운 건물은 대부분 중요한 역사적·건축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출처:살라망카대학교(두산백과)
2). 마드리드 대학교. 살라망카 대학교와 함께 마드리드 대학교도 소개합니다. 1293년 카스티야 왕국의 산초 4세(Sancho IV)가 설립한 알칼라 일반 학교(Estudio de Escuelas Generales de Alcalá)가 그 시초. 1499년에 교황 알렉산데르 6세(Alexander VI)에 의해 정식 대학교로 문을 열었다고 합니다.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마드리드콤플루텐세대학교
요약 에스파냐의 수도 마드리드에 있는 국립 대학교. 세계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자 에스파냐에서 가장 규모가 큰 대학교이다.
원어명구분개교일소재지전임 교원수(명)학생수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국립
1293년
에스파냐 마드리드
9731명(2009)
9만 1251명(2009)
마드리드 중심가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지역에 광대한 규모로 자리 잡고 있는 에스파냐 최대의 국립 대학교이다. 세계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로, 1293년 카스티야 왕국의 산초 4세(Sancho IV)가 설립한 알칼라 일반 학교(Estudio de Escuelas Generales de Alcalá)가 그 시초이다. 1499년에 교황 알렉산데르 6세(Alexander VI)에 의해 정식 대학교로 문을 열었다. 현재 에스파냐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명문 대학교로, 2009년 기준 학부생 6만 1598명과 대학원생 2만 9653명을 합쳐 총 9만 1251명이 재학하고 있다. 그중 외국 유학생 수가 5000여 명이다. 교수를 포함한 교직원 수는 2009년 현재 총 9731명에 달한다.
오랜 역사만큼이나 설립 이래 각 방면에 걸쳐 수많은 인물을 배출, 에스파냐 국가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대학교로 평가받는다. 학문의 거의 전 분야에 걸쳐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법학, 문헌학, 지리학, 역사학, 고고학, 의학, 교육학, 경제학, 문학, 정치학 등의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교내에 30개가 넘는 도서관이 있다.
. 출처: 마드리드콤플루텐세대학교(두산백과)
6. 포르투갈. 코임브라대학(Universidade de Coimbra). 1290년 문학에 예술에 관심이 많았던 포르투갈의 6대왕 디니스(D. Dinis)가 교황 니콜라스 4세의 허가를 얻어 리스본에 ‘에스투두 제랄(Estudo Geral:Studium Generale)’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포르투갈 최초의 대학교이다.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코임브라 대학교.
코임브라대학교
[ Coimbra University ]
요약 포르투갈 중부 코임브라주(州)의 주도(州都)이자 고대도시인 코임브라에 위치한 포르투갈 최초의 대학교. 세계적으로도 매우 오래된 대학으로 꼽힌다.
공립
1290년
포르투갈 6대왕 디니스
포르투갈 중부 코임브라주 코임브라
1,663명
1만 9921명(2008)
http://www.uc.pt
약칭은 ‘UC’이다. 1290년 문학에 예술에 관심이 많았던 포르투갈의 6대왕 디니스(D. Dinis)가 교황 니콜라스 4세의 허가를 얻어 리스본에 ‘에스투두 제랄(Estudo Geral:Studium Generale)’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포르투갈 최초의 대학교이다. 설립 당시 예술학부, 교회법학부, 시민법학부, 의학부가 있었고 이후 수준 높은 교육과 연구를 통해 사회 지배세력을 양성하고 정치·사회적으로 포르투갈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2010년 기준 인문학부, 법학부, 의학부, 과학·기술학부, 약학부, 경제학부, 심리학·교육학부, 스포츠학·체육학부의 8개 학부에서 다양한 학부·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캠퍼스는 교회로부터의 자유 문제로 1307년 코임브라로 이전했다가 1338년 가 아폰수 5세가 다시 리스본으로 옮겼고 이후에도 도 도시 간으로 이전을 반복했다. 1537년 주앙 3세(Joao III) 때 리스본에서 코임브라로 완전히 이전하였다. 주 캠퍼스는 몬데고강(Rio Mondego)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자리한 오래된 교회와 좁은 도로들 사이에 있다.
부속기관·시설로는 중앙도서관, 과학박물관, 아카데믹박물관, 과학입문센터, 식물원, 학술원, 운동장, 종합경기장, 천문대, 출판사, 1500년대 초에 건축된 상미겔교회(Sao Miguel Chapel) 등이 있다. 1985년 설립된 유럽의 선도적 대학연합회 '코임브라그룹(Coimbra Group)' 소속이다...
. 출처: 코임브라대학교 [Coimbra University] (두산백과)
7. 오스트리아. 빈대학교. 1384년 신학부가 부설되면서 파리에서 초청한 신학자 앙리 드 강이 파리대학을 모델로 대학을 재조직. 1623년에 예수회에서 인수.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빈 대학교.
빈 대학교
[ University of Vienna ]
요약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Universität Wien
국립
1365년
루돌프 4세
오스트리아 빈
6,408명(2009)
약 8만 5000명(2009)
http://www.univie.ac.at
1365년 3월 12일 오스트리아 대공인 합스부르크왕가(王家)의 루돌프 4세가 형제인 알베르트 3세, 레오폴트 3세와 함께 프라하대학에 대항하여 독일 문화권 제2의 대학으로서 빈에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법학·의학·문학의 3학부로 출발하였으나 1384년 신학부가 부설되면서 파리에서 초청한 신학자 앙리 드 강이 파리대학을 모델로 대학을 재조직하였다. 1520년에는 독일어권 대학 중에서 가장 많은 학생을 수용하기에 이르렀으나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급격히 쇠퇴하여 1623년에 예수회에서 인수하였다.
18세기 신성로마제국의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의 교육개혁에 의해 부활되고, 의학·법학·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빈학파를 형성하여 그 이름을 떨쳤으며, 1848∼1850년 문교부장관 L.튤의 적극적인 노력에 힘입어 많은 개혁을 단행하였다. 전세계의 독일어권 지역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대학교이며 중앙 유럽에서 3번째로 오래된 대학이다. 또한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교육·연구기관이기도 하다.
2010년 기준 가톨릭 신학, 프로테스탄트 신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학부, 철학·문화학부, 철학·교육학부, 수학부, 지구과학·지리학·천문학부 등 15개 학부에서 170개 이상의 다양한 학위과정을 제공한다. 학위과정은 학사학위 52개, 석사학위 108개, 박사학위 10개 외에 7개의 수료과정과 많은 교사 훈련과정이 있다.
캠퍼스는 따로 정해지지 않고 빈 전체적으로 60여 군데에 흩어져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비엔나 역사지구’의 링슈트라세(Ringstraße)에 위치한 메인 건물은 1877~1884년에 지었으며 대학의 주요 행정·실무 사무소들이 자리 잡았다. 부설시설로는 도서관, 식물원, 통역학센터, 스포츠학·대학스포츠센터, 분자생물학센터 등이 있다.
. 출처: 빈 대학교 [University of Vienna] (두산백과)
8. 벨기에. 루뱅가톨릭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Louvain ). 1425년 교황 마르티노 5세(Martinus V)와 브라반트(Brabant)의 요한 4세가 처음 설립.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루뱅 가톨릭대학교.
루뱅가톨릭대학교
[ Catholic University of Louvain ]
요약 벨기에 브라반트주(州) 루뱅라너브(Louvain-la-Neuve)에 위치한 벨기에 최고(最古) 대학교.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자유대학교
1425년
벨기에 루뱅라너브, 브뤼쉘, 몽스, 샤를루아, 나뮈르 등
30,957명(2018년)
https://uclouvain.be/
1425년 교황 마르티노 5세(Martinus V)와 브라반트(Brabant)의 요한 4세가 처음 설립했다. 이듬해 1426년 강의가 개설되었으며 설립 초기 신학과 민법, 교회법, 의학, 인문학의 5개 학부를 두었다. 1516년 대학교 내 콜레기움 트릴링궤(Collegium Trilingue)가 설립된 후 유럽 전역에서 학생들과 학자들이 모이면서 유럽 르네상스 인본주의의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가톨릭대학으로 1519년 쾰른대학교(Universität zu Köln)와 더불어 루터(Martin Luther)의 사상을 최초로 비판하는 등 16세기 있었던 종교개혁에 학문적으로 대항하였다. 1755년 응용수학과 응용과학 과목이 신설되었다. 1794년 벨기에가 프랑스에 병합된 후 1797년 폐교되었다가 1816년 다시 개교하였으며, 당시에는 수리자연과학부 1개 학부를 갖추고 있었다.
학교의 공식 언어는 네덜란드와 프랑스어 두 가지였는데, 1960년대 말 두 언어를 사용하는 그룹 간 문화 갈등이 심화되었고 결국 폭동으로 이어졌다. 이에 1966년 가톨릭 교계의 회의를 거쳐 1968년 학교는 네덜란드어 사용 학교와 프랑스어 사용 학교로 분리되었다. 네덜란드어 대학교는 루뱅에 남아 1970년 교명을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라 하였으며, 프랑스어 사용 학생 및 교수들은 루뱅에서 약 25km 떨어진 곳에 대학 도시인 루뱅라너브(Louvain-la-Neuve : 신 루뱅)를 조성하고 1971년 2월 교명을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이라 하였다.
2020년 기준 학부는 보건과학, 과학기술학, 인문학의 3개로 구분된다. 보건과학부 내에는 의학·치의학부와 약학·바이오의학부, 공공보건학부 등 4개 학부, 과학기술학부에는 과학부와 생물공학부 등 4개 학부, 인문학부에는 법학부와 신학부 등 6개 학부로 총 14개 학부를 갖추고 있다. 학부와 석사, 박사과정이 제공된다. 캠퍼스는 총 7개로 루뱅라너브가 메인캠퍼스며, 다른 캠퍼스는 브뤼쉘(Brussels)을 비롯해 에노주(州)의 몽스(Mons)와 샤를루아(Charleroi), 투르네(Tournai), 나뮈르주(州)의 나뮈르(Namur) 등에 위치한다.
교내에는 2개의 대학병원, 19개의 도서관 등이 있다. 대학도서관은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고딕 및 르네상스 시기 필사본을 포함한 수십만점의 자료가 소실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었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은 전쟁 후 미국과 다른 유럽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1928년 재건되고 자료들도 채워졌으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화재가 발생해 많은 자료들이 소실되었다. 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었던 기록물은 현재 대학기록관에 보존되고 있으며 벨기에 국립기록보관소의 자료들과 함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있다...
. 출처: 루뱅가톨릭대학교 [Catholic University of Louvain] (두산백과)
9. 스웨덴. 웁살라대학(Uppsala universitet). 1477년에 웁살라 대주교 야코브 울브손(Jakob Ulvsson)의 주도로 북유럽 최초의 대학으로 설립.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웁살라 대학교.
웁살라대학교
[ Uppsala University ]
요약 스웨덴 중동부 웁살라주(州)의 주도(州都) 웁살라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교. 북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Uppsala Universitet
공립
1477년
스웨덴 중동부 웁살라주 웁살라
Gratiae veritas naturae(Truth through God's mercy and nature)
6,000명
대학 19,900명, 대학원 2,000명(2008)
http://www.uu.se
1477년에 웁살라 대주교 야코브 울브손(Jakob Ulvsson)의 주도로 북유럽 최초의 대학으로 설립하였다. 50여 명의 학생으로 개교하였으며 설립 당시 덴마크 지배하의 연합왕국이던 스웨덴의 문화적 독립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설립 후 얼마 동안 재정 빈곤과 학교 내외의 분쟁으로 자주 운영이 침체되었으나, 구스타브 2세(1611~1632)가 강국 스웨덴의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에도 다양한 개혁을 실시하면서 능력 있는 관리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스타브 2세가 1624년 대학 설립을 위해 넓은 토지를 기증하였고 1626년 대학헌장을 선포함으로써 대학으로서의 기초가 확립되었고 코펜하겐대학과 함께 북유럽의 학문적 중심이 되었다.
2010년 기준 문리·사회과학, 의학·약학, 과학·기술의 3개 부문에 신학·법학·예술·언어학·사회과학·교육학·의학·약학·과학기술의 9개 학부가 있다. 각 학부에서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캠퍼스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웁살라 곳곳에 대학 건물이 산재한다. 대학 본관을 비롯한 주요 건물은 퓌리스강(River Fyris) 서쪽 연안의 대성당 주변에 위치한다. 네오클래식 양식의 대학 본관은 1880년에 세워졌고 대성당의 첨탑 건너편에 북유럽 고대 문자인 룬(Rune)이 새겨진 바위들이 있다. 대학 도서관인 카롤리나 레디비바(Carolina Rediviva)에는 4세기 울필라 주교가 성서복음을 고트어로 번역한 것 중 유일한 필사본을 소장하고 있다.
부설시설로는 역사박물관인 구스타비아눔(Gustavianum), 국제적으로 알려진 지진연구소, 부속병원, 식물원, 린네정원, 관측소, 생물학연구소, 정보기술센터 등이 있다...
. 출처: 웁살라대학교 [Uppsala University] (두산백과)
10. 스위스. 바젤대학교. 1459년 11월 12일 바젤 시민이 세워 교황 비오 2세의 허가를 받아 설립.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바젤대학교.
바젤대학교
[ University of Basel ]
요약 스위스 바젤슈타트주(州) 주도(州都) 바젤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교.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Universität Basel
공립
1460년
스위스 바젤슈타트주 바젤
1만 1360명
http://www.unibas.ch
1459년 11월 12일 바젤 시민이 세워 교황 비오 2세의 허가를 받아 설립하였고 1460년 4월 4일 바젤대성당에서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처음부터 신학부·법학부·의학부·예술기능부의 4개 학부로 구성된 종합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스위스에서는 역사가 가장 오래된 독일어권 대학이다. 설립 이후 몇 세기 동안 많은 학자들이 대학교로 오면서 바젤시(市)는 일찍이 도서 인쇄, 휴머니즘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50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몇 차례 존폐 위기를 맞았지만,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곧바로 위기를 극복하고 전통을 이어왔다. 예술기능부에 1818년 역사학부, 1937년 과학부 과정을 두었다.
2010년 기준 신학부·법학부·의학부·인문학부·과학부·경제경영학부·심리학부의 7개 학부로 구성된다. 6개의 학제연구기관, 스위스열대연구소, 프리드리히 미셔 생명의학연구소 같은 연계 연구소가 있다. 1971년 설립한 생명과학센터(Biozentrum)에서는 의학부의 약리학, 신경생물학은 물론, 과학부의 생화학, 생물물리학적 화학, 미생물학, 구조생물학, 세포생물학에 관한 수준 높은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부설시설로 스위스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서관을 비롯해, 매스터전자현미경연구소(REM)를 비롯하여 해부학박물관, 생체기계정형외과연구소, 분자미생물학이론 연구센터, 경제연구센터, 식물원 등이 있다.
. 출처: 바젤대학교 [University of Basel] (두산백과)
2]. 동유럽(Eastern Europe).
1. 체코. 프라하대학교( University of Prague). 1348년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룩셈부르크가의 카를 4세가 세운 중부 유럽 최초의 대학. 설립 당시에는 파리대학교를 모방.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프라하 대학교.
프라하대학교
[ University of Prague ]
요약 체코의 수도 프라하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Universita Karlova
국립
종합대학
1348년
룩셈부르크가 카를 4세
체코 프라하
카를로바대학교라고도 한다. 체코 교육부가 직접 운영하는 국립대학이다. 1348년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룩셈부르크가의 카를 4세가 세운 중부 유럽 최초의 대학으로서, 프라하 시내 곳곳에 산재한 대학 건물 중 카롤리눔(Carolinum)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건물로 손꼽힌다. 설립 당시에는 설립 당시에는 파리대학교를 모방하여 신학.법학·의학·철학의 4분과제를 도입하였고, 보헤미아·바이에른·폴란드·작센에서 모인 4개 교사조합을 중심으로 자치적으로 운영되었다.
15세기 이 대학 강단에 섰던 종교개혁가 요하네스 후스의 영향으로 종교와 사회개혁을 요구하는 중세 지성들의 요람 역할을 했으나 1419년부터 시작된 후스전쟁의 여파로 독일인 교사와 학생 일부가 라이프치히로 옮겨감으로써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후 30년전쟁의 결과 다시 가톨릭 교단의 관장 아래 놓였다. 1882년 체코대학과 독일대학으로 분리되었고, 1920년에는 체코대학이 카를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나치스 지배 때 폐쇄되었다가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 뒤 부활하면서 독일대학은 폐지되었다.
수학·물리학, 철학, 법학, 가톨릭신학, 사회·정치과학 등 인문·사회·자연과학을 망라하는 16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위과정은 3년 과정의 학사학위[Bakalar], 5년 과정의 석사학위[Magister]와 추가로 3년 이상을 공부하면 얻을 수 있는 박사학위로 구성되어 있다. 의학부에서는 일반의학 박사학위가 6년 과정이다.
부설연구소로 신학연구센터(CTS), 경제연구센터(CERGE), 대학사연구소, 천문연구소가 있으며 그밖에 컴퓨터사이언스센터(CUCC), 유럽정보센터, 언어직업훈련센터, 환경센터, 기초과학연구소, 중앙도서관 등의 시설이 있다. 각 단과대학은 교외지역인 펄체오에 1개, 흐라데츠 크랄로베(Hradec Králové)에 두개의 단과대학이 있고 나머지는 프라하 시내에 있다.
. 출처: 프라하대학교 [University of Prague] (두산백과)
2.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Jagiellonian University). 1364년 5월 12일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3세(Kazimierz III)에 의해 일반 대학(Studium Generale)으로 처음 설립된 것으로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1400년 7월 야기에워 왕(King Vladislaus Jagiełło)에 의해 다시 설립되면서 신학부 신설.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야기엘론스키대학교
[ Jagiellonian University ]
요약 폴란드 마우폴스키에주(州) 크라쿠프(Kraków)에 위치한 폴란드 최고(最古)의 연구 중심 공립대학교.
Uniwersytet Jagielloński
공립대학교
1364년
폴란드 마우폴스키에주(州) 크라쿠프(Kraków)
39,552명(2019년)
https://www.uj.edu.pl/
1364년 5월 12일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3세(Kazimierz III)에 의해 일반 대학(Studium Generale)으로 처음 설립된 것으로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설립 당시 인문학, 의학, 법학 3개 학부를 갖추었다. 카지미에시 3세가 사망하자 1390년대까지 문을 닫았고 1400년 7월 야기에워 왕(King Vladislaus Jagiełło)에 의해 다시 설립되면서 신학부가 신설되었다. 이후 대학은 왕립야기엘론스키대학(Royal Jagiellonian College)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5세기에는 유럽 각지에서 200명 이상의 학생이 매년 입학했고 특히 법학, 수학, 천문학 분야 교육에 명성이 높았다. 종교개혁 이후 유럽지역이 종교에 따라 나눠지고 16세기 후반 유럽 내 대학 수가 증가하면서 외국인 학생의 입학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학교는 계속 유지되었고, 16세기 말 교명이 크라쿠프대학(Kraków Academy)으로 바뀌었다.
1773년 국립교육위원회가 조직되고 휴고 코원타이(Hugo Kołłątaj)가 개혁을 주도하면서 1777년부터 1786년 사이 대학 조직을 개편하였다. 또한 천문대와 식물원, 대학클리닉 등의 설립이 시작되었다. 1795년 크라쿠프지역이 오스트리아로 병합되면서 1805년에는 리비우대학교(Lviv University)에 통합되기도 하였다. 1817년에는 오늘날과 같은 교명으로 바뀌었다. 1846년 크라쿠프가 다시 오스트리아에 점령된 후 대학 구조는 오스트리아식으로 개편되고 독일어가 주요 언어가 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갈리지아(Galicia)에 자치권이 부여되면서 다시 학내에서 폴란드어를 사용했고 건물이 새로 설립되는 등 인문학과 과학분야의 프로그램이 모두 확대됐다. 1923년에는 농학부가 개설되고 1939년에는 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기간 동안 나치 점령을 받으면서 폐교되었으나 1942년부터 비밀리에 교육은 다시 재개되었다. 이후 신학과 농업학, 의학부가 폐쇄되는 등 대학구조에 큰 변화를 겪었으며, 일부 학자들의 연구활동이 금지되기도 하였다.
2020년 현재 법·행정학, 의학, 보건학, 물리·천문·응용컴퓨터학, 생물학 등 16개 학부 아래 학부와 석사, 박사과정을 두고 있다. 대학중앙도서관은 많은 소장 자료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의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등 중세시기 작성된 원고 등을 보관하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약 4만 명의 학생이 재학중이고 교직원 수도 약 4천 명에 이른다...
. 출처: 야기엘론스키대학교 [Jagiellonian University] (두산백과)
3]. 미국. 하버드 대학. 현대 미국은 여러 인종과 종교가 혼합된 이민자들의 나라입니다. 2차대전 이전에는 교황중심 가톨릭의 서유럽국가들이 세계의 지배세력이었는데, 2차대전 이후에는 미국내에서 역사가 오래 된 하버드가 대표적인 대학이 되었습니다. 현대 미국은 예일(Yale), 가톨릭계 조지타운(Georgetown)이 하버드와 함께 미국의 중요한 대학들로 판단되어 언급합니다. 미국은 2차대전 이후의 강대국이므로 대학역사가 동아시아.서유럽 대학에 비해 짧아도 하버드, 예일과 카톨릭계 조지타운 같은 대학들의 역사는 중요합니다.
1. 하버드대학교. 1636년 매사추세츠 식민지 일반의회(General Court)의 결의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1639년 도서와 유산을 기증한 J.하버드 목사의 이름을 따서 하버드대학이라 명명.영국의 옥스포드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의 학료(學寮) 제도를 모방한 조직으로 출발.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대학교
[ Harvard University ]
요약 미국 매사추세츠주(州) 케임브리지시(市)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미국 동부 8개 명문 사립대학인 아이비리그에 속한다.
사립
1636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시
Veritas(진리)
2,110명(2008)
대학 6,700명, 대학원 1만 3600명(2008)
http://www.harvard.edu
1636년 매사추세츠 식민지 일반의회(General Court)의 결의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1639년 도서와 유산을 기증한 J.하버드 목사의 이름을 따서 하버드대학이라 명명하였다.
영국의 옥스포드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의 학료(學寮) 제도를 모방한 조직으로 출발하여, 식민지시대에는 목사 양성에 필요한 종교교육을 의무화했다. 그러나 1869년부터 40년간 학장을 지낸 C.W.엘리엇은 독일 유학의 경험을 살려 전문적 학문연구기관으로 개혁하고 선택과목제를 도입하였는데, 이 제도는 뒤의 개인지도제 및 전원학료제 실시와 함께 미국 대학 커리큘럼(교육과정)의 원형이 되었다. 미국 동부 8개 명문 사립대학인 아이비리그에 속한다.
대학 운영과 관리는 학장과 5인의 평의원·회계주임으로 구성된 하버드 법인(法人)과, 졸업생이 우편으로 선출하는 이사회라는 2개의 의결기관이 맡고 있다. 전자는 재정과 집행 운영을 책임지고, 후자는 조언과 자문 기능을 맡는다.
기본적으로 11개 주요 학문 조직(10개 대학과 1개 연구소)으로 구성된다. 10개 대학은 문리·의과·치의과·신학·법학·경영·디자인·교육·보건·행정이며, 각 대학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학위를 수여하는 전문대학원과 분과(division)를 관장한다. 1개 연구소는 래드클리프고등연구소(Radcliff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로, 1999년 래드클리프칼리지를 개편한 것이다. 문리대학에 학부대학인 하버드칼리지(Harvard College)과 일반대학원, 공학·응용과학대학원, 평생교육부(Harvard Division of Continuing Education)가 있다. 일반대학원은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 중심이며, 전문대학원은 현장실무교육과 연구 중심이다.
대학 1학년생은 전원 올드야드 기숙사에 수용되어 대학생활 오리엔테이션을 받게 되며, 2학년에서 4학년까지는 하우스라고 일컫는 각 학료에 배치되어 교양과목(liberal art)을 중심으로 각 전공분야의 교육을 받는다.
와이드너도서관을 비롯한 부속도서관에 정기간행물을 비롯한 각종 도서가 소장되어 있다. 그밖에 유명 부속시설로 하버드 미술박물관, 하버드대학교 허배리아(Harvard University Herbaria), 하버드 광물학박물관, 루이스 애거시즈 비교동물박물관, 하버드 셈족박물관 같은 박물관과 포그미술관·푸슈라이징거미술관·하버드천문대 등이 있다.
캠퍼스는 보스턴 중심에서 찰스강(江) 건너 연안의 케임브리지 시가지 하버드 야드(Harvard Yard)에 있으며, 하버드 스퀘어(Harvard Square)를 둘러싼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과 하버드 스타디움을 비롯한 여러 체육시설이 찰스강의 또 다른 쪽 연안인 보스턴 인근의 올스턴(Allston)에 있다. 또한 의과대학원, 치과대학원, 보건대학원이 보스턴의 롱우드 메디컬아카데미 지구(Longwood Medical and Academic Area)에 있다...
. 출처: 하버드대학교 [Harvard University] (두산백과)
2. 예일대학교. 1701년 10월 9일 제임스 피어폰트(James Pierpont)가 이끄는 독립파(獨立派) 목사들이 킬링워스(Killingworth)에 세운 칼리지어트 스쿨(Collegiate School)에서 비롯. 이후 세이브룩과 웨더스필드를 거쳐 1718년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대학에 많은 기부를 한 E.예일을 기념하여 학교명을 예일대학으로 바꿈.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예일대학교.
예일대학교
[ Yale University ]
요약 미국 코네티컷주(州) 뉴헤이븐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미국 동부 8개 명문 사립대학인 아이비리그에 속한다.
사립
1701년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번
Lux et veritas(빛과 진실)
339ha
3,619명(2009)
대학 5,247명, 대학원 6,169명(2009)
http://www.yale.edu
1701년 10월 9일 제임스 피어폰트(James Pierpont)가 이끄는 독립파(獨立派) 목사들이 킬링워스(Killingworth)에 세운 칼리지어트 스쿨(Collegiate School)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세이브룩과 웨더스필드를 거쳐 1718년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대학에 많은 기부를 한 E.예일을 기념하여 학교명을 예일대학으로 바꾸었다. 1787년 종합대학이 되었고, 1847년에는 미국 최초로 박사과정을 두고 학위를 수여하였다. 1930년대부터 학생들이 캠퍼스 안에서 생활하는 기숙형 칼리지를 설립하였으며 창립 이래 영국식 교육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동부 8개 명문 사립대학인 아이비리그에 속한다. 미국에서 3번째로 오래된 대학교이다.
대학교 조직은 크게 학부과정인 예일칼리지, 문리과대학원, 전문대학원의 3가지로 구성된다. 예일칼리지는 대학교의 중심을 이루며 2009년 기준으로 2,000개 이상의 학부과정이 있고, 건축학, 예술, 신학, 연극, 공학·응용과학, 삼림·환경학, 법학, 경영학, 의학, 음악, 간호학, 보건학, 종교음악의 13개 전문대학원 과정이 운영된다. 부설시설로는 베이네케 희귀본·필사본 도서관, 스털링기념도서관, 하비커싱 의학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도서관, 미술관, 예일영국미술센터, 피바디자연사박물관, 예일악기컬렉션(Yale University Collection of Musical Instruments), 라디오방송국, 마시식물원, 예일 자연보존지역, 골프코스를 비롯하여 많은 연구센터가 있다.
캠퍼스는 뉴욕에서 동북쪽으로 약 120km 떨어진 뉴헤이븐의 시가지에 있다. 건물 대부분은 1917~1931에 지은 신고딕풍 건물이며 그밖에 고딕풍 학부 건물, 조지아풍으로 지은 코네티컷홀(1750)을 비롯하여 대학의 상징물이 된 건물이 많이 있다. 또한 남녀공용 기숙사, 아파트 등 여러 건물이 들어서 있고, 캠퍼스 부근은 '느릅나무의 거리'라고 불릴 정도로 조용하고 쾌적하다. 많은 학생들이 캠퍼스 안의 12개 기숙형 칼리지에서 생활한다. 학문, 스포츠를 비롯한 대부분의 부분에서 하버드대학교와 경쟁관계에 있다...
. 출처: 예일대학교 [Yale University] (두산백과)
3. 조지타운대학교. 예수회에 소속된 대학으로, 1789년 1월 미국 최초의 로마가톨릭 대주교 존 캐럴(1735~1815)에 의해 미국에서 첫 번째로 설립된 로마가톨릭대학.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조지타운 대학교.
조지타운대학교
[ Georgetown University ]
요약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사립
1791년
존 캐럴
미국 워싱턴 D.C.
Utraque Unum(Both into One)
0.4㎢(주 캠퍼스)
1,268명(2008)
대학 1만 8696명, 대학원 9,676명(2008)
http://www.georgetown.edu
예수회에 소속된 대학으로, 1789년 1월 미국 최초의 로마가톨릭 대주교 존 캐럴(1735~1815)에 의해 미국에서 첫 번째로 설립된 로마가톨릭대학이다. 1791년 11월 22일 12명의 학생과 몇 명의 교수로 조지타운칼리지(Georgetown College)라는 교명으로 설립하였다. 1851년 의과대학과 1870년 법학대학이 각각 설립되었다.
2010년 기준 4년제 학사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으로 조지타운칼리지(1789), 간호·보건대학(1903), 로버트 에멋 맥도너 경영대학(1957), 평생대학(1956), 에드먼드 A.월시 국제·외교대학(1919)이 있고 대학원은 문리대학원(1820), 의과대학원(1851), 법학대학원(1870)이 있다. 학위과정은 학사·석사·박사 및 전문학위로 편성되며 에드먼드 A.월시 국제·외교대학, 로버트 에멋 맥도너 경영대학, 평생대학에서는 석사학위도 수여한다. 학생들에게 해외에 나가 공부할 기회가 많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고 특히 외교 부문 전공은 저명인사들로 구성된 교수진으로 유명하다.
워싱턴D.C.에 학부 캠퍼스, 메디컬센터, 법학대학의 세 곳의 캠퍼스가 있다. 도심에서 북서쪽으로 2㎞ 떨어진 번화가에 위치한 학부 캠퍼스와 메디컬센터가 주 캠퍼스를 이루며, 대학 상징이자 문화유산 건물로 지정된 힐리 홀(Healy Hall)이 있다. 수도에 자리를 잡은 덕분에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정부·비정부기관에서 인턴으로 일한다. 버지니아주 알링턴 카운티와 카타르, 터키, 이탈리아에도 교육기관이 있다.
부설기관으로 도서관, 지진관측소, 우주 천문대, 언어실습실, 우드스톡신학센터(Woodstock Theological Center), 이탈리아의 피렌체 근처에 있는 찰스아우구스투스 스트롱센터(Charles Augustus Strong Center)가 있다...
. 출처: 조지타운대학교 [Georgetown University] (두산백과)
4]. 러시아. 모스크바 대학교와 샹트페테르부르크 대학. 러시아는 동아시아 중국.한국이나, 서유럽.동유럽에 비해 대학역사가 길지 않은 나라지만, 2차대전 승전국이며 군사강대국입니다.
1. 모스크바 대학교. 1755년 1월 25일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Elizaveta Petrovna) 여제가 시인·과학자·언어학자·계몽사상가인 미하일 로모노소프의 대학 설립 제안을 받아들여 칙령을 내린데서 출발.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모스크바 대학교.
모스크바대학교
[ M.V. 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
요약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국립
1755년
M.V.로모노소프
러시아 모스크바
Наука есть ясное познание истины, просвещение разума(Science is clear truth and the education of reason)
약 2.1㎢
약 4,000명(2009)
대학 약 4만 명, 대학원 7,000명(2009)
http://www.msu.ru
정식 명칭은 'M.V.로모노소프 모스크바국립대학교'이고 약칭은 ‘MSU’이다. 줄여서 ‘로모노소프대학교’라고도 한다. 1755년 1월 25일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Elizaveta Petrovna) 여제가 시인·과학자·언어학자·계몽사상가인 미하일 로모노소프의 대학 설립 제안을 받아들여 칙령을 내렸고 같은 해 4월 26일 개교하였다. 1940년 미하일 로모노소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붙인 현재의 정식 명칭으로 바꾸었다.
1804년의 대학법에 의해 인문, 물리·수학, 의학, 윤리·정치학의 4학부를 설치하였다. 19세기에는 러시아 문화의 중심부를 이루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많은 학자가 활동하였으며, 출신계급을 망라하는 교육·연구의 전통을 세웠다. 1917년 러시아혁혁명 이후 크게 발전하였다.
2010년 기준 기계학·수학학부, 물리학부, 화학부, 생물학부, 토양과학부, 지리학부, 지학부, 재료공학부, 역사학부, 철학부, 언어학부, 법학부, 경제학부, 언론학부, 아시아·아프리카학부 등의 29개 학부, 350개 학과, 야간부·통신교육부 및 대학원에서 57개의 학부과정, 168개의 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캠퍼스는 모호바야 거리에 있으며 면적 100만㎡의 레닌 힐스(Lenin Hills)를 비롯해 유서 깊은 건물들이 많다. 부설시설로는 도서관, 4개 박물관, 식물원, 핵물리연구소·역학연구소·천문연구소를 비롯한 10여 개의 연구소, 미디어센터·국제교육센터·국제레이저센터·사회학연구센터를 비롯한 20여 개의 연구센터, 과학파크, 출판국, 레크리에이션 센터, 영재기숙학교 등이 있다...
. 출처: 모스크바대학교 [M.V. 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두산백과)
2.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으로, 1724년 1월 28일에 표트르 1세가 세운 상트페테르부르크 중앙사범학교를 모체로 1819년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으로 설립.
. 두산백과에 나타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국립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
[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
요약 러시아 북서부, 핀란드만(灣) 안쪽에 있는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국립대학교.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다.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국립
1724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Hic tuta perennat(Here we stay in safety)
약 6,000명(2009)
대학 약 3만 2000명, 대학원 약 4,000명
http://www.spbu.ru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으로, 1724년 1월 28일에 표트르 1세가 세운 상트페테르부르크 중앙사범학교를 모체로 1819년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으로 설립하였다. 19세기 중엽 혁명적 민주주의자 N.G.체르니솁스키 등의 활약으로 러시아의 자연과학사상의 중심이 되었다. 사회과학 연구를 탄압하던 제정러시아의 사회정세 때문에 주로 자연과학 분야에서 빛나는 전통을 세웠으며, 지금도 그 경향이 남아 있다.
수학(數學)의 페테르부르크 학파로 불리는 P.L.체비쇼프, A.M.랴푸노프를 비롯하여 화학분야의 D.I.멘델레예프, 물리학의 E.K.렌츠, 생물학의 I.I.메치니코프, I.P.파블로프, 토양학(土壤學)의 V.V.도쿠차예프 등은 모두가 이 대학과 관련을 맺은 사람들이다. 1924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가 레닌그라드로 변경됨에 따라 교명을 레닌그라드대학(정식 명칭은 A.A.즈다노프 기념 국립 레닌그라드대학:Leningradskii gosudarstvennyi universitet imeni A.A.Zhdanov)으로 개칭하였다가 1991년 다시 원래의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2010년 기준 생물학·토양학부, 아시아·아프리카학부, 경영학부, 지리학·지구생태학부, 지질학부, 언론학부, 역사학부, 수학·역학부, 의학부, 국제관계학부, 응용수학부, 물리학부, 문헌학부, 철학·정치학부, 화학부, 경제학부, 법학부, 군사학부의 20개 학부와 스포츠·체육학과에서 학부·대학원과정을 제공한다.
역사 지구 내에 있는 바실리에프스키섬(Vasilievsky Island) 캠퍼스와 페테르호프(Peterhof) 캠퍼스의 2개 주(主) 캠퍼스가 있으며 부속시설로는 도서관, 박물관, 출판부 등이 있다...
. 출처: 국립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두산백과)
VI. 한국의 성균관대는 國史에 나오는 조선(대한제국) 성균관에서 이어진 600년 전통의 대학으로 현재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입니다.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학 중앙연구원의 백과사전(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출판사 백과사전(두산백과, 종교학 대사전, 교육학사전, 중고생 학습사전) 및 성균관대 학교당국의 학술적 의견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성균관대학교가 일본 강점기에 교육기능을 폐지당하고 전문학교등으로 격하되는 과정을 서술하며, 國史영역(교과서 및 참고서 포함)에 나오는 조선 성균관에서 이어진 대학임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필자의 World Class Universities 기준은 Historic, Royal임. 왕정전통이 없는 국가는 역사가 오래된 대학들[미국의 Harvard처럼]입니다. 미국은 왕정전통의 영국 식민지였지만, 독립전쟁을 거치고 미국인들이 역사가 오래되었다고 인정하는 Harvard. 왕정전통을 가진 다른대학이 있어도 필자는 Harvard를 선택하겠습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하버드대학을 이렇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하버드대학:미국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1636 설립) 일류 고등교육기관 가운데 하나.
성균관대와 학술교류를 맺는 대학은 많지만 큰 나라는 세개 정도, 강대국은 두개 정도, 대부분의 국가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오래되고 Royal전통이 있는 대학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강대국이거나 그런 나라는 아니지만 조선이란 나라가 기록문화를 가진 문화강국이었고, 불법.강제의 일제 강점기를 거친 후, 과도기에 Royal대인 국사 성균관 자격 宮성균관대(한국 최고대)와 교황 윤허 대학인 Royal 서강대(성대 다음)의 공생관계로 필요한 측면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2차대전 패전국이자, 전쟁범죄국가, UN적국인 일본의 강제 불법 점령기로 수난을 겪었던 나라기 때문에, 대중언론에서는 대학이나 종교 관련, 일본 강점기 잔재나 그 추종세력들의 거센 저항을 받으며, 갈등을 겪고 있는 나라입니다.
한국에서는 Royal대인 성균관대와 교황윤허 Royal서강대(성대 다음)가 가장 학벌이 높습니다. 사설 입시지나 입시학원 배치표는 교과서나 법률,백과사전과 비교할 바 아닙니다. 주권.학벌없는 패전국 일본잔재 서울대 뒤에서 마음대로 등록하던 해방당시 신문을 이용, 국사 성균관(성균관대)에 덤벼온 왜구 서울대 카르텔은 일본으로 축출하기 전에는 끝까지 성균관대에 덤빌 운명으로 보여집니다. 불교 Monkey라 하느님에게도 덤빔. 유교도 인정않았음(해방후 한국은 조선성명 복구령으로 전국민이 조선성명 유교 한문성씨.본관 의무등록하는유교국으로 복구). 일제강점기 유교를 인정 않으며 강제 포교한 일본 신도(불교),불교, 기독교중 기독교 하느님.예수도 인정않던 일본 신도.불교Monkey나라(자기들이 강제 포교 종교로 들여와 놓고 신부를 겁주고 목사를 고문.구타하며 점쇠천황이 하느님.예수보다 높다고 압박). 일본 신도(불교).일본불교 수장인 성씨없는 점쇠 賤民천황이 마당쇠賤民 서울대(불교Monkey) 전신 경성제대를 설립함. 성균관은 격하.폐지하여 해방후 미군정법령으로 성균관 복구하는 법률을 만들어, 성균관대가 그 성균관 자격으로 지금까지 이어지며, 6백년 넘는 역사 인정받고 있음. 대중언론에서는 왜구잔재를 청산하지 못해 왜구 서울대 카르텔에 공략당해옴.
여하튼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성균관대학.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성균관대입니다. 일제가 격하.폐지하여,해방후 미군정때,법률로 성균관을 복구시키기로 하여, 그 당시 해방한국에서 가장 신분이 높던 남.북 유림(그때는 미.소군정 시대로 남북왕래 가능) 1천여명이 모여, 독립투사이신 이승만.김구선생을 고문으로, 독립투사 김창숙 선생을 위원장으로 하여, 성균관에 대자를 더붙여 성균관대를 설치(복구형식)키로 결의하여,향교에 관한 법률로 성균관대 재정에 기여토록 법률을 만들었습니다.그렇게 이어져,6백주년 기념행사때는 세계사에 나오는 자격좋은 교과서 대학인 볼로냐.파리대학 총장과, 별도로 영국 옥스포드대.독일 하이델베르크대(교황 윤허대학) 총장등 세계적으로 유서깊은 대학 총장들이 성대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 예수회 창립자인 이냐시오 데 로욜라에 대한 설명.
예수회의 창립자. 세례명은 이니고. 스페인 북부 바스크의 기프스코아에 있는 로욜라성에서 태어나고... 그는 야곱스 데 워라기네의 『황금전설』과 루돌프 폰 작센의 『그리스도의 생애』에 감동해서 회심의 빛을 보았다. 그는 죽음의 위기를 맞이했으나, 21년 가을에 회복, 이듬해 3월 몬세라트의 분도 수도원을 방문해서 죄의 고백을 하고, 그 근처의 만레사에서 묵상과 고행의 생활(1522~23)을 보냈다. 이는 그의 저작 『영신수련』(1548)의 기본이 되었다. 예루살렘 순례(1523~24) 후, 바르셀로나에서 라틴어(1524~26), 알칼라와 살라망카에서 고등교육(1526~27), 파리에서 철학과 신학(1528~35)을 배우고, 36년 베네치아에서 신학을 수료해서 이듬해 6월 24일 사제로 임명받았다. 이 무렵 그는 그의 이름 이니고 대신에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37년 말부터 로마에 정주해서 『회칙초안』을 쓰고, 40년 9월 교황 바오로 3세에 의해서 예수회 창립이 인가되어 41년 4월 8일 총장으로 선발되고, 죽을 때까지 그 직에 헌신했으며 로마학원의 창립(1551)자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중심사상은 <그리스도에 대한 복종>과 <교회봉사>의 영성에 있다.
.출처:이냐시오 데 로욜라[Ignatius de Loyola] (종교학대사전, 1998.8.20, 한국사전연구사)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로 세계의 역사와 문화, 대학들을 잘 이해하기 위하여, 관련자료를 인용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