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문화권의 24절기인 소설(小雪). 양력 2020년 11월 22일(음력 10월 8일)은 소설입니다. 태음태양력의 겨울은 입동이후 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까지를 겨울로 봅니다.유교 경전 예기는 겨울철인 음력 10월, 11월에 저장하고 쌓아두는것(收藏, 積聚)을 중요하게 언급하는데, 중국은 벼를 저장하면서 술도 만들게 되고, 한국은 수확한 채소나 과일로 김치(김장), 곶감, 무말랭이, 호박오고리등 저장식품을 만드는 전통이 생겨난것으로 판단됩니다. 입동(立冬)에 마치지 못한 김장을 지속하는 시기로, 겨울에 먹을 곡식과 반찬을 대대적으로 저장해두는 절기입니다.
1]. 개략적 설명.
유교 경전인 예기에서는 입동.소설이 낀 음력 10월의 맹동지월(孟冬之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 다 음 -
그리하여 백관에게 명하여 삼가 창릉과 부고를 수리하여 저장시키고, 사도(司徒)에게 명하여 읍리(邑里)를 순행하게 하여 노적가리를 살펴서 창고에 거둬들이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한다.
한편, 두산 백과는 한국의 소설(小雪)풍속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이 무렵이 되면 모든 농사일도 끝난다. 타작한 벼를 말려 곳간에 쌓아 두는가 하면, 멍석에 무말랭이를 널거나 호박을 가늘고 길게 썰어 오가리를 만들기도 하고, 중부 이남 지역에서는 줄줄이 곶감을 매달아 말리느라 처마 밑이 온통 곶감으로 출렁이기도 한다. 소설 무렵에는 김장을 담그는 철이다.
유교문화권의 24절기 중, 겨울 절기인 소설(小雪)에는 한국의 경우, 앞선 겨울 절기 입동(立冬)에 마치지 못한 김장을 지속하는 시기로, 겨울에 먹을 곡식과 반찬을 대대적으로 저장해두는 절기입니다. 입동과 마찬가지로, 벼를 곳간에 쌓고, 김장을 하고, 무말랭이를 널고, 호박으로 오가리를 만들고, 거두어 들인 감으로 곶감을 만드는 때입니다.
음력 10월은 24절기의 첫 겨울에 해당하는 달인데, 소설(小雪)즈음, 산간지방등을 통하여 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첫 눈이 내리는 등 첫 겨울의 징후가 보인다고 할 수 있는 절기입니다. 땅도 얼기 시작하여 겨울로 접어드는 절기입니다.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의 겨울은 입동이후 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까지를 겨울로 봅니다. 중국등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의 음력은 중국의 특정지방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북반구와 반대편에 위치한 남반구의 남아메리카 일부지방과 맞지 않고, 타 지역과도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강합니다. 중국은 태음태양력을 사용하는 나라인데,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하면 관찰하기 편하기 때문에 음력기준으로 역법을 발전시켜온 것으로 판단되며, 태양의 운행도 어느정도 반영하기는 합니다.
2]. 유교 경전인 예기 월령에서 언급하는 맹동지월(孟冬之月)인 음력 10월에 겨울대비, 저장하고, 쌓아놓고, 거두어들이는 내용(命百官謹蓋藏, 命司徒 循行積聚 無有不斂)은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 다 음 -
命有司曰 天氣上騰 地氣下降 天地不通 閉塞而成冬 命百官謹蓋藏 命司徒 循行積聚
無有不斂
또 유사에게 명하기를, "지금은 하늘의 양기가 위로 올라가버리고 땅의 음기가 아래로 내려가 천지가 서로 통하지 않고 폐색(閉塞)되어 겨울철을 이루었다(그러니 삼가 추위를 막는 준비를 하라)."고 한다. 그리하여 백관에게 명하여 삼가 창릉과 부고를 수리하여 저장시키고, 사도(司徒)에게 명하여 읍리(邑里)를 순행하게 하여 노적가리를 살펴서 창고에 거둬들이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한다.
.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발행
예기(禮記)에서 설명하는 맹동(孟冬)의 첫 겨울 현상입니다. 물과 땅이 비로소 얼고(水始氷地始凍), 천지가 폐색되어 겨울철을 이루었다(天地不通 閉塞而成冬)고 유교 경전인 예기에서는 서술하고 있습니다.
...水始氷地始凍(물과 땅이 비로소 언다)...
...天地不通 閉塞而成冬(천지가 서로 통하지 않고 폐색되어 겨울철을 이루었다(그러니 삼가 추위를 막는 준비를 하라)...
飭喪紀 辨衣裳 審棺槨之厚薄 塋丘壟之大小高卑 厚薄之度 貴賤之等級
是月也 大飮烝 天子乃祈來年于天宗 大割祠于公社及門閭 臘先祖五祀 勞農以
休息之 天子乃命將帥 講武習射御角力
飭喪紀 辨衣裳 審棺槨之厚薄 塋丘壟之大小高卑 厚薄之度 貴賤之等級
是月也 大飮烝 天子乃祈來年于天宗 大割祠于公社及門閭 臘先祖五祀 勞農以
休息之 天子乃命將帥 講武習射御角力
상례(喪禮)의 기율을 갖추도록 한다. 즉 의상의 다소를 구별시키고 관곽의 후박(厚薄)과 묘역의 크고 작음, 구롱의 높고 낮음과 의식의 후한것과 박한 정도, 귀천의 등급을 밝혀서 바로 잡는다(상은 사람의 종말이고 겨울은 그 해의 종말이다. 따라서 이때를 맞아 상례를 바로 잡는 것이다).
이 달에 증제를 올린 뒤 연회를 열어 크게 신하들과 마신다. 천자는 또 납제를 올린다. 즉 희생을 각뜨고, 일월성신의 신을 성대하게 제사지내서 내년의 풍작을 빌며. 또 지신(地神), 문려(門閭)의 신, 선조의 혼백, 5사(五祀)의 신을 제사드린후에 농부를 위로하여 휴식하도록 한다.
그리고 천자는 장수에게 명하여 무기(武技)를 강습시키고 사어(射御:활쏘기와 말 달리기)의 법을 연습시켜서 서로 힘을 겨루도록 한다.
.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발행
3]. 소설(小雪)이후로는 무언가를 저장하는 겨울대비 시기입니다. 한국에서는 입동즈음 시작된 김장철이 소설때까지 이어집니다. 소설(小雪)이후로는 벼를 곳간에 쌓고, 곶감등을 만드는 철이며, 멍석에 무말랭이를 널거나 호박을 가늘고 길게 썰어 오가리를 만들기도 하는 시기입니다.
. 필자 주 1). 오가리: 표준 국어대사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 다 음 -
무나 호박 따위의 살을 길게 오리거나 썰어서 말린 것. ≒고자리
비슷한 말로 고자리가 있습니다.
4]. 한국의 백과사전들에서 설명하는 소설(小雪).
1.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에서 설명하는 소설(小雪).
정의
24절기의 하나.
내용
입동과 대설 사이에 들며, 음력 10월, 양력 11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240°에 오는 때이다. 이 때부터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하여 점차 겨울 기분이 든다고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아직 따뜻한 햇볕이 간간이 내리쬐어 소춘(小春)이라고도 불린다.
옛날부터 중국사람들은 소설로부터 대설까지의 기간을 5일씩 삼후(三候)로 구분하여, 초후(初候)에는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말후(末候)에는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소설 무렵, 대개 음력 10월 20일께는 관례적으로 심한 바람이 불고 날씨가 차갑다. 이 날은 손돌(孫乭)이 죽던 날이라 하고 그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해서, 외출을 삼가고 특히 뱃길을 조심한다.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고려시대에 왕이 배를 타고 통진과 강화 사이를 지나는데 갑자기 풍랑이 일어 배가 심하게 흔들렸다. 왕은 사공이 고의로 배를 흔들어 그런 것이라고 호령을 하고 사공의 목을 베었다. 사공은 아무 죄도 없이 억울하게 죽어버린 것이다. 그 사공의 이름이 손돌이었다.
그래서 그 손돌이 죽은 곳을 손돌목이라 하고 지나갈 때 조심한다. 해마다 그 날이면 강풍이 불고 날씨가 찬데, 이는 손돌의 억울하게 죽은 원혼 때문이라고 한다. 특히, 강화에서는 이 날 뱃길을 금한다.
. 출처: 소설 [小雪]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에서 설명하는 소설(小雪)
소설
[ 小雪 ]
요약 24절기 중에서 20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이 무렵이 되면 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첫 눈이 내리는 등 첫겨울의 징후가 보인다. 또한 이 시기 쯤에 모든 농사일도 끝내고 김장을 담근다.
24절기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스무번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11월 22일경부터 15일 간, 음력으로는 10월 중순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240°에 놓이는 때이다. 입동이 지나면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즉 첫겨울의 징후가 보이는 시기로, 옛사람들은 이 기간을 5일씩 3후(三侯)로 구분하여, ①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②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③ 하늘과 땅이 막혀서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말 그대로 첫얼음이 얼고, 첫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때이다.
이 무렵이 되면 모든 농사일도 끝난다. 타작한 벼를 말려 곳간에 쌓아 두는가 하면, 멍석에 무말랭이를 널거나 호박을 가늘고 길게 썰어 오가리를 만들기도 하고, 중부 이남 지역에서는 줄줄이 곶감을 매달아 말리느라 처마 밑이 온통 곶감으로 출렁이기도 한다.
소설 무렵에는 김장을 담그는 철이다. 소설에 해당하는 음력 시월 스무날 무렵에는 해마다 강하고 매서운 바람이 일면서 날씨가 추워지는데, 이 때 부는 강한 바람을 '손돌바람', 이 때의 강한 추위를 '손돌이추위'라고 한다. 이는 고려시대에 '손돌'이라는 사공이 배를 몰던 중 갑자기 풍랑이 일어 배가 흔들리자, 배에 타고 있던 왕이 고의로 배를 흔든 것이라 하여 사공의 목을 베었다는 강화(江華) 지역의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 출처: 소설 [小雪] (두산백과)
3. 한국 세시 풍속사전에서 설명하는 소설(小雪).
소설
[ 小雪 ]
분야계절날짜관련속담관련풍속
절기 |
겨울(음력 10월) |
양력 11월 22~23일경 |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 |
김장 |
정의
24절기 중 스무 번째 절기.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小雪)이라고 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40도일 때이며, 양력으로 11월 22일 또는 23일 무렵, 음력으로는 10월에 든다.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立冬) 후 15일, 큰 눈이 내린다는 대설(大雪) 전 약 15일에 든다.
내용
중국에서는 소설 후 5일씩을 묶어 3후(三候)로 삼았다. 초후(初候), 중후(中候), 말후(末候)가 그것으로 초후에는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에는 천기(天氣)는 오르고 지기(地氣)는 내리며, 말후에는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소설을 명절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눈이 내릴 정도로 추위가 시작되기 때문에 겨울 채비를 한다. 그러나 한겨울에 든 것은 아니고 아직 따뜻한 햇살이 비치므로 소춘(小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때는 평균 기온이 5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첫 추위가 온다.
소설은 대개 음력 10월 하순에 드는데,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라는 속담이 전할 정도로 날씨가 급강하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소설 전에 김장을 하기 위해 서두른다. 이미 농사철은 지났지만 여러 가지 월동 준비를 위한 잔일이 남는다.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나 호박을 썰어 말리기도 하며 목화를 따서 손을 보기도 한다. 또 겨우내 소먹이로 쓸 볏짚을 모아두기도 한다.
한편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라는 속담이 있다.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 농사가 잘 된다고 한다. 대개 소설 즈음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도 추워진다.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 추위를 손돌추위라고 하며, 뱃사람들은 소설 무렵에는 배를 잘 띄우려 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다음의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고려 23대 고종이 몽고군의 침략을 받아 강화도로 몽진을 가던 때라고도 하고, 조선시대에 이괄의 난을 피해 인조(仁祖)가 한강을 건너던 때라고도 한다. 사공 중에 손돌(孫乭)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피난을 가는 왕을 모시고 뱃길을 서둘렀지만, 왕이 보아하니 손돌이 자꾸 일부러 그런 것처럼 물살이 급한 뱃길을 잡아 노를 젓는 것이었다. 왕은 의심이 갔다. 그래서 신하를 통해서 물살이 세지 않은 안전한 곳으로 뱃길을 잡으라고 하였지만 손돌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왕은 의심을 이기지 못하고 선상에서 손돌을 참수(斬首)하고 말았다. 손돌은 죽기 전에 억울함을 하소연하였지만 소용이 없음을 알고 바가지를 하나 내놓으며 물에 띄운 바가지가 가는 길을 따라 뱃길을 잡으라고 말하였다. 물살은 점점 급해지고 일행은 하는 수 없이 손돌이 가르쳐 준대로 바가지를 물에 띄웠다. 바가지는 세찬 물살을 따라 흘러갔으며, 왕을 실은 배도 그 뒤를 따랐다. 무사히 뭍에 내린 왕은 그때야 비로소 손돌의 재주와 충심을 알았다. 또 다른 전설에서는 손돌을 죽인 후에 더더욱 세찬 바람이 불고 물살이 급해졌기 때문에 하는 수없이 싣고 가던 말의 목을 잘라 제사를 모셨더니 파도가 잠잠해졌다고도 한다. 뭍에 도착한 왕은 곧 후회를 하였지만 손돌의 목숨을 다시 되돌릴 수는 없었다. 그래서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 덕포진의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장지(葬地)를 정해 후하게 장사를 지내주었다고 한다. 이때가 10월 20일이었는데, 매년 소설 즈음인 이맘때가 되면 찬바람이 불고 날씨가 추워진다고 한다. 그래서 소설 무렵에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출처: 소설 [小雪] (한국세시풍속사전)
5]. 중국의 소설(小雪).
중국의 소설
대설은 24절기 가운데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다. 일 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시기로 알려져 있으며 올해는 12월 7일이다. 날씨가 급쌀쌀해지는 시기로 과거 농부들에게 있어서 일년을 마무리하면서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농한기이기도 한다.
옛 중국에서는 대설로부터 동지까지의 기간을 다시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범이 교미하여 새끼를 치며, 말후(末候)에는 여지(荔枝: 여주)가 돋아난다(一候鹃鸥不呜,二候虎始交,三候荔挺出)고 하였다.
-
고기 절임
중국에서는 ‘소설에 장아찌를 담그며 대설에 고기를 절인다’는 속담 있듯이 대설 시기에 집집마다 라로우(腊肉)를 절이고 말리기 시작한다.
소금과 산초 등 양념을 살짝 볶은 후에 생선이나 고기에 뿌인 다음 항아리에 담아 그늘 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면 된다. 약 15일 정도 절인 고기를 꺼내 말리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
고구마죽
대설 지나면 날씨가 급쌀쌀해지면서 집에서 따뜻한 죽을 먹고 싶은 생각이 자주 난다. 고구마죽은 바로 쌀쌀한 겨울에 딱 맞는 음식이라 하며 닽콤하면서 소화에도 도움이 된다.
고구마죽은 씻어 말린 절간고구마에 물을 부어 푹 삷고,팥이나 각종 콩 종류도 푹 삷는다. 삶은 고구마,팥,콩을 같이 넣고 물을 많이 부어 다시 한번 끓이고, 밀가루를 물에 개어 넣으면서 젓고 소금이나 설탕으로 간을 맞추어 먹는다.
. 필자 주). 절간 고구마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절간(切干) 고구마를 얇게 썰어서 볕에 말린 고구마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설 시기에 기온이 급히 떨어져서 강물이 얼은붙은 현상이 나타난다. 이 때가 되면 밖에서 나가 강가에서 이 독특한 풍경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진다. 본격적인 빙상 놀이의 계절이 돌아와서 아이들이 가장 기쁘죠. 주말에 가족들과 신나게 놀아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
빙시
고대 중국에서는 겨울에 즐기는 스케이트 등 빙상놀이를 ‘빙시(冰嬉)’라고 한다. 빙시(冰嬉)는 얼음놀이란 뜻으로 고대 한족들의 얼음위에서 하던 운동을 총칭하며, 송나라때 이미 존재했다. 명나라때 궁궐의 체육활동으로 되었으며, 청나라에 이르러서는 빙시는 황실의 겨울철 소일거리로 되어, 더욱 성행하게 되었다. 빙시는 현재 베이징 묘회의 하아라이트 얼음놀이이기도 한다.
-
겨울 몸보신
눈이 가장 내린다는 대설 전후에는 특별히 건강에 신경 써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날씨가 추워서 영양가치가 아주 높은 음식만 많이 먹는 게 아나라 지역에 따라 자기 몸에 맞는 영양 음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 강남지역에는 북방 지역보다 기온이 좀 높아기에 겨울철에 오리나 생선 등을 먹으면 기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북방 지역 사람들이 양고기나 소고기 등을 적당히 섭취하면 몸이 따뜻해지고 강 추위를 이겨낼 수 있다.
6]. 필자의 전반적인 당부사항.
1. 패전국이 생겼어도, 교황중심 로마가톨릭과, 유서깊은 대학들의 기득권(볼로냐.파리대학)이 세계사 교과서로 제도적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필자가 경험하는 바로는, 지금와서 세계사가 바뀔 사유가 없습니다. 문화대혁명이 일어난 중국의 경우도 세계사의 황하문명, 한나라시절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의 자격과 그 이후의 오랜 계승역사, 한나라 태학.국자감(원.명.청의 국자감은 경사대학당과 베이징대로 계승됨)의 역사가 승계되어 왔기 때문에, 수천년 인류역사를 담은 세계사의 기득권은 그대로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한국은 한국사에 나오는 유일무이의 최고대학 성균관이 해방후에 성균관대로 이어지며 600년 역사를 인정받기 때문에, 정치체제가 민주공화국으로 바뀐것 말고는 역사나 국제법(을사조약 및 한일병합 무효라 조선.대한제국 국교인 유교의 자격이 이어짐).행정법(신도국가 일본의 창씨개명 압제에서 벗어나, 美.蘇 軍政당시 전국민이 조선성명 복구령등에 의해 유교국가의 조선 성명을 의무적으로 등록하는 제도가 행정법상 유교국가 특징)상 유교국가의 틀이 그대로 이어지는 나라입니다.
국내법우위론으로 보면 을사조약이 무효라, 당연히 한일병합도 무효임. 국제법으로는 프란시스 레이교수의 을사조약 무효론이 있어서, 불법 강제의 한일병합도 무효임. 또한 국제연맹의 을사조약 무효, UN의 을사조약 무효론에 따라서도, 강제.불법의 한일병합은 무효임. 을사조약 무효는 국내법이나 국제법 모두 거의 당연한 이론이라 할 수 있음. 그런데 한일병합 무효에 대해서는 한국은 을사조약.한일병합이 원천무효라는 입장이지만, 일본은 이에 수긍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 특히 한일병합 무효건은 일본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경향이 강함. 이런 불완전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별도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임. 예를들면 2차 대전중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프랑스.러시아.폴란드에 승인받아서 부분적으로는 이 때부터 한일병합은 무효임(불평등조약인 을사조약도 무효). 또한 2차대전중에 일본이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을 수락하여, 일본이 항복한 시점부터 일본의 주권은 한국영토에 없어졌으므로, 국제법상 당연히 이 시점부터 한일병합은 무효임(을사조약도 당연 무효).
다음 자료를 참조바람.
- 다 음 -
가. 을사조약과 한일병합의 무효에 대한 고찰.
http://blog.daum.net/macmaca/1905
나. 한일합방과 을사 5조약이 원천무효라고 결의한 한국 국회결의. 그리고 한일합방건 일본정부 발표에대해 원천무효라고 밝힌 한국 외무부
http://blog.daum.net/macmaca/712
다. 국내법상 을사늑약이후의 역사적 해석은 승전국반열인 한국(對日 선전포고국가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현행헌법에 반영)의 몫임.
http://blog.daum.net/macmaca/1977
2. 유교는 하느님(天)이 인간창조한 동아시아 세계종교. 불교는 나약한 부처Monkey가 창조신보다 높다며 인도창조신 브라만 내리깔고 항거. 한나라때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는 하느님,산천신.조상신,공자숭배
일본에 선전포고 현행헌법(대한민국 임시정부 반영).패전국 불교Monkey일본이 강점기에,유일무이 최고교육기관 성균관(해방후 성균관대로 복구)격하,폐지.해방후 성균관대로 복구. 강점기에 세계종교 유교국일원 한국유교(공자나라)를 종교로 불인정,성씨없는 점쇠賤民(점쇠가 석쇠賤民.불교Monkey서울대 전신 경성제대설립)을 천황으로옹립,하느님보다 높다하다 패전국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과 세계의 유교에 대해 되돌아보고, 더 잘 이해하고,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1. 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임.
http://blog.daum.net/macmaca/2524
2.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3. 불교 Monkey일본은 유교처럼 하느님의 형상닮은 인간의 고귀함 모르고,부처Monkey가 창조주에 대드는것 배워서,성씨없는 차돌이賤民천황(차돌이가 한국에 마당쇠賤民.불교Monkey서울대 전신 경성제대 설립)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주장하다 패전국됨. 할복자살.동물 윤회사상가짐.한국유교를 인정않다가 패전,조선성명복구령으로 5,000만 유교 성씨등록.공자나라.
세계최초의대학 중국 태학.국자감(베이징대로 계승),서유럽의 볼로냐.파리대, 한국사 성균관(성균관대). 동아시아 세계종교 유교(하느님,공자숭배),서유럽 세계종교 로마가톨릭(하느님, 예수숭배).세계4대 발명품 중국의 종이,화약,나침판,인쇄술.근대세계의 지배세력 서유럽.2차대전이후 미국 $화가 가장 영향력 큰 기축통화.
국사 성균관의 정통승계한 성균관대 졸업해야 생원.진사등의 양반됨.일본 하급군인들이 성씨없는 점쇠賤民(점쇠가 석쇠賤民.불교Monkey서울대 전신 경성제대설립)을 천황으로 옹립,하느님보다 높다 날뛰다 원자탄 쏘니까 항복
http://blog.daum.net/macmaca/3014
4. 해방이후 성균관대.유교 기득권은 학교교육(국사 성균관,세계사 유교, 윤리의 유교교육, 국어.한문의 삼강오륜등)에서 나옵니다.
한국에서는 성균관대가 최고(最古,最高) 대학 학벌입니다. 한국의 Royal대는 국사에 나오는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 그리고 세계사를 반영시 관습법적으로 교황윤허 서강대도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http://blog.daum.net/macmaca/2560
5. 일제 강점기에 세계종교 유교의 일원국가인 한국 유교를 종교로 인정치 않았는데,해방후 조선성명 복구령에 따라, 모든국민이 조선 유교 한문성씨와 본관을 의무등록, 현재는 5,000만이 행정법.관습법상 유교국. 헌법에 국교는 없음. 일제 강점기에 강제 포교된 일본 신도(불교), 일본 불교, 기독교 및 기타 특수하게 신흥종교로 피어난 원불교등의 주권은 한국영토에 없음.
한국은 수천년 세계종교 유교나라.불교는 한국 전통 조계종 천민 승려와 주권없는 일본 불교로 나뉘어짐.1915년 조선총독부 포교규칙은 후발 국지적 신앙인 일본신도(새로 만든 일본 불교의 하나).불교.기독교만 종교로 인정하였는데,일본항복으로 강점기 포교종교는 종교주권 없음.
부처는 브라만교에 대항해 창조주를 밑에 두는 무신론적 Monkey임.일본은 막부시대 불교국이되어 새로생긴 성씨없는 마당쇠 천민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주장하는 불교 Monkey나라.일본 신도는 천황이 하느님보다높다고 주장하는 신생 불교 Monkey임.한국은 헌법전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보장되어, 일본에 선전포고한 상태가 지속되는 나라임.생경하고 급격하게 새로 생긴 마당쇠 천민 천황이 세운 일제 강점기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에 남겨진 패전국 일제 잔재며, 마당쇠 천민 학교며, 부처 Monkey.일본 Monkey를 벗어날 수 없는 불교.일본Monkey 천민학교로, 한국 영토에서 축출해야 되는 대상임. 한국 영토에 주권이나 학벌같은건 없이 대중언론에서 덤비며 항거하는 일제 잔재에 불과함.
일제강점기 수천년 세계종교 유교의 일원인 한국유교를 인정않았음.하느님에 대드는 불교 일본 성씨없는 점쇠賤民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고 예수보다 높다고 자기들이 들여온 기독교의 신부억압과, 목사 고문.구타.
http://blog.daum.net/macmaca/3044
6. 일본 신도는 일본 막부시절 전 주민을 절에 등록한후 일본의 종교체질이 왜곡된후 이를 기반으로 19세기에 독특하게 형성된 불교적.無神論的(後發局地的) Monkey사상으로 판단됨. 부처의 불교는 원래 창조주인 범천에 대항해 일어난 무신론적 Monkey사상인데, 고대에 여러 나라들에 왕성한 포교를해서 널리 퍼졌지만, 중국이나 한국같은 전통 유교국에서는 핍박을받아왔고, 승려들은 공식적인 교육기관도 없이 체계적인 교육도 받지 못해왔으며, 사회적 지위도 별로 높지 않았고, 유교에 빌붙어서 유교의 하부 사상으로 유교적 풍토에 적응해 온 외래 포교종교임.
미국은 적어도 창조주나 하느님을 부정하지는 않는데, 창조주보다 높다는 부처원숭이 불교국가가 된 일본. 막부시대 이후 전 주민을 절에 등록하여 기독교에 대항한 이후, 불교 원숭이 국가가 된 일본. 불교에 기반한 일본 신도는 원숭이 일본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예수보다 높다고, 한국 강점기때 기독교를 탄압함. 그리고 국지적 일본 신도와 일본 불교로 세계종교 유교(중국.한국.베트남.몽고 및 전세계 화교)의 일원이던 조선.대한제국 유교를 종교아닌 사회규범 정도로 오도하다가 패전국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