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교문화 24절기 곡우. 예기에 시우(時雨)로 나타나는 봄의 절기. 양력 2020년 4월 19일(음력 3월 27일)은 곡우(穀雨)임. 이날을 전후로 봄비가 내려

유교문화 24절기 곡우. 예기에 시우(時雨)로 나타나는 봄의 절기. 양력 2020년 4월 19일(음력 3월 27일)은 곡우(穀雨)임. 이날을 전후로 봄비가 내려 온갖 곡식이 윤택해진다고 함.                               


곡우(穀雨)는 표준 국어대사전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십사절기의 하나. 청명() 입하() 사이에 들며, 봄비가 내려서 온갖 곡식이 윤택하여진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4 20일경이다.  



[1]. 개괄설명


유교 경전 중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서는 음력 3월의 계춘(季春)에 대해 서술하면서 시우(時雨)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시우(時雨)란 표준 국어대사전의 설명에 의하면 "적절한 시기를 맞추어서 오는 비"입니다. 중국에서 곡우절기 민간 풍습으로는 바다신에 제사를 지내는 등의 제사풍습, 곡우차 마시기(喝谷雨茶), 모란 꽃 감상(谷雨花), 야외 걷기(走谷雨)등도 있다고 하는데, 곡우절기에는 싱싱한 야채를 먹는 음식양생법도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경우, 곡우즈음 싱싱한 야채를 먹고, 곡우차로 녹차 마시고, 모란 꽃을 감상하고(5월이 절정), 야외 걷기는 쉽게 행할 수 있는 절기의식에 해당됩니다.       



. 필자 주 1). 유교(儒敎)의 오경(五經)과 사서(四書)


가) 오경(五經):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

나) 사서(四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대학(大學)


예기(禮記)  월령(月令) 계춘지월(季春之月)에 나오는 시우(時雨)


是月也 命司空曰 時雨將降 下水上騰 循行國邑 周視原野 修利隄防
道達溝瀆  開通道路  毋有障塞田獵罝罘羅罔畢翳餧獸之藥 毋出九門



이 달에는 천자가 사공(司空}에게 명하기를, "바야흐로 시우(時雨)가 내릴것이다. 강물이 혹은 범람하고 역류할 염려가 있을지도 모르므로

그대는 국읍(國邑)을 순행하고 원야를 돌아봐 제방을 수리하고 개천과 작은 개천을 잘 통하도록 하고 수로가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며, 또 전렵(田獵)용의 짐승그물, 새그물, 예(翳:사냥할 때 몸을 숨기는 도구) 및 짐승에게 먹이는 독약따위가 9문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라"고 한다.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역해자(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2]. 한국의 사전류등에 서술된 곡우(雨)


1].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에 서술된 곡우


정의

24절기의 하나.

내용

청명과 입하 사이에 들어 있으며 태양의 황경()이 30°에 해당할 때이다. 음력 3월, 양력 4월 20일경이 되며, 그때부터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 즉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이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하여 볍씨를 담갔는데, 이때 볍씨를 담가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며 밖에서 부정한 일을 당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는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속신()이 있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다. 그래서 전라남도나 경상남북도·강원도 등지에서는 깊은 산이나 명산으로 곡우물을 먹으러 간다. 곡우물은 주로 산다래나 자작나무·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어 거기서 나오는 물을 말하는데, 그 물을 마시면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먹는다. 곡우물을 먹기 위해서는 곡우 전에 미리 상처낸 나무에 통을 달아두고 여러날 동안 수액()을 받는다.

...

경칩 무렵에 나오는 고로쇠물은 여자물이라 하여 남자들에게 더 좋고, 거자수는 남자물이라 하여 여자들에게 더 애용되고 있다. 또, 곡우 때가 되면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하여 격렬비열도 부근에 올라온다. 그때 잡는 조기를 특히 ‘곡우살이’라 한다. 곡우살이는 살은 아주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서 서해는 물론 남해의 어선들도 모여든다.


. 출처: 곡우[穀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필자 주 2). 24절기는 황하문명 ,유교의 오랜 전통을 가진 중국에서 만들어진 전통적 역법으로, 24절기.유교의 각종 명절.조상제사등은 불교와 관계 없음. 24절기는 한나라시대 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걸쳐 동아시아의 세계종교로 정립된 유교국들의 전통이며 종교적 개념을 아우르며, 천체의 주기적 현상을 기준으로 하여 세시(歲時)를 정하는 방법임.     



2]. 두산백과에 서술된 곡우


곡우

[ ]

요약 24절기 중 6번째로, 봄의 마지막 절기이다. 음력 3월 중이며 봄비가 백곡()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다. 조기잡이가 성하고 나무에 물이 오르는 시기로, 한 해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청명()과 입하()의 중간인 4월 20일경에 든다. 봄의 마지막 절기로, 음력으로는 3월중()이며, 태양의 황경()이 30°에 있을 때이다. 봄비가 내려 백곡()이 윤택해진다는 뜻이며, 이때가 되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해 볍씨를 담그는데, 부정한 일을 했거나 본 사람이 볍씨를 보지 못하도록 솔가지로 볍씨 담근 가마니를 덮어둔다.

서해에서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 떼가 북상해 충청남도 격렬비열도() 근처까지 올라와 조기잡이로 북적거리기 시작한다. 이때 잡히는 조기를 특별히 ‘곡우살이’라 하여,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좋아 상품으로 친다.

또한 이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여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강원도 등에서는 깊은 산속으로 곡우 물을 먹으러 가는 풍속이 있다. 자작나무.박달나무.산다래나무 등에 상처를 내고 통을 달아 며칠씩 수액을 받아두었다가 마시는데,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마시기도 한다.

지리산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곡우에 약수제를 지내고, 조정에서 파견된 제관이 지리산 신령에게 다래차를 올리며 태평성대와 그해의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곡우와 관련된 말로 ‘곡우에 가뭄이 들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는 속담이 있는데, 봄비가 잘 내리는 시기에 내리지 않으니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뜻이다.


. 출처: 곡우[穀雨] (두산백과)



 3]. 한국 세시풍속사전에 설명된 곡우        

정의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곡우()는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으며, 음력 3월 중순경으로, 양력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한다. 곡우의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내용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그래서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한다.

곡우가 되면 농사에 가장 중요한 볍씨를 담근다. 한편 볍씨를 담아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둔다. 이때 초상집에 가거나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불을 놓아 그 위를 건너게 하여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 안에 들이고, 집 안에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게 한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아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강원도 평창에서는 곡우날 사시()에 볍씨를 담그면 볍씨가 떠내려간다고 하여 사시를 피해 볍씨를 담근다. 볍씨를 담그면 항아리에 금줄을 쳐놓고 고사를 올린다. 이는 개구리나 새가 와서 모판을 망칠 우려가 있으므로, 볍씨 담근 날 밤에 밥을 해놓고 간단히 고사를 올리는 것이다. 전북 익산에서는 곡우 때 씨나락을 담고 솔가지로 덮어놓는다. 초상집이라든가 궂은 일이 생긴 집에 다녀오면 문 밖에서 귀신이 도망가라고 불을 놓고 들어온다. 충남 보령에서는 곡우낙종이라 하여 곡우에 볍씨를 논에 뿌렸다고 한다. 볍씨를 담은 가마니에는 물을 줄 때 한꺼번에 떨어지지 않게 볍씨 위에 솔가지를 덮어두었으나, 물뿌리개가 생긴 뒤에는 솔가지가 필요 없어 올리지 않는다.

곡우 무렵에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해서 충남의 격열비열도()까지 올라오므로 황해에서 조기가 많이 잡힌다. 이때 잡힌 조기를 곡우사리라고 한다. 이 조기는 아직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 서해는 물론 남해의 어선들도 모여든다. 전남 영광에서는 한식사리, 입하사리 때보다 곡우사리 때에 잡히는 조기가 알이 많이 들어 있고 맛이 좋다. 그래서 곡우사리 조기를 가장 으뜸으로 친다.

북한에서는 이 무렵이면 용흥강으로 숭어떼가 올라온다. 살진 숭어 같은 물고기들이 산란기가 되어 올라오는데, 강변에 모인 사람들은 어부가 잡은 생선으로 회()나 찌개를 만들어 술을 마시며 하루를 즐긴다. 이때 강변 사람들은 물고기가 오르는 조만()을 보고 그 해 절기의 이르고 늦은 것을 예측하기도 한다.

속신

경북 지역에서는 이날 부정한 것을 보지 않고 대문에 들어가기 전에 불을 놓아 잡귀를 몰아낸 다음에 들어간다. 그리고 이날은 부부가 함께 자는 것을 꺼리는데, 이는 부부가 잠자리를 하면 토신()이 질투하여 쭉정이 농사를 짓게 만든다고 믿기 때문이다. 곡우에 무명을 갈거나 물을 맞기도 하는데, 이날 물을 맞으면 여름철에 더위를 모르며 신경통이 낫는다고 한다.

경기도 김포에서는 곡우 때 나물을 장만해서 먹으면 좋다고 하는데, 곡우가 지나면 나물이 뻣뻣해지기 때문이다. 또 경북 구미에서는 곡우날 목화씨를 뿌리며, 파종하는 종자의 명이 질기라고 찰밥을 해서 먹는다. 그리고 새를 쫓는다고 동네 아이들이 몰려다니기도 한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르는 시기로 곡우물을 먹으러 가는 풍습도 있다. 곡우물은 자작나무나 박달나무 수액()으로 거자수라고도 하는데,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경남 남해에서는 이날 바람이 불고 비가 오면 그 해 시절이 좋지 않다고 한다. 인천 옹진에서는 이날 비가 오면 샘구멍이 막힌다고 하는데, 이는 가뭄이 든다는 말이다. 경기도 포천에서는 곡우에 비가 많이 오면 그 해 농사가 좋고, 비가 적게 오면 가물어서 흉년이 든다고 하며, 전북 순창에서도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고 여긴다. 이런 날씨점을 통해서도 풍년을 기원하는 소박한 농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 출처: 곡우 [穀雨] (한국세시풍속사전)


4]. 살아있는 한자교과서에 서술된 곡우(穀雨)


[ ]

곡식[]에 필요한 비[]가 내리는 시기라는 뜻이다. 봄절기의 마지막에 찾아온다. 곡우는 농사에 가장 중요한 절기 중 하나이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라는 속담도 있듯 곡우 즈음에 못자리를 해야 한다. 태양의 황경()이 30°에 해당할 때이며, 양력으로는 4월 20일경이다.


. 출처: 곡우 [穀雨]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2011. 5. 23., 정민, 박수밀, 박동욱, 강민경)


5]. 문화원형백과 한국의 24절기에 설명된 곡우(穀雨) 


곡우

[ ]

- 곡우 때는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다. 그래서 호남, 영남과 강원도 지방에서는 이름난 산으로 곡우물을 먹으러 가는 풍습이 있었다. 곡우물은 산다래, 자작나무, 거자수박달나무의 줄기에 상처를 내었을 때 나오는 물을 말하는데, 몸에 좋다고 하여 받아뒀다가 약수로 쓰기도 한다.

- 곡우 무렵 볍씨를 담그는데 여러 금기사항이 풍습으로 전해져 온다. 상가()에 들렀거나 부정한 일을 보았을 때는 집 앞에 불을 놓고 그 불을 쬐어 악귀를 태운 후, 정갈히 씻고 볍씨를 담가야 부정이 타지 않는다고 했다. 부정한 채로 볍씨를 담그면 싹이 트지 않아 그해 농사를 망친다고 보았다.

음력 삼월은 강풍으로 인해 비닐하우스가 날아가는 피해를 입기도 하고, 고온건조한 `높새바람`이 불어 농작물에 막대한 해를 입히기도 한다. 그래서 농가에서는 `산내린 바람(높새바람) 맞으면 잔디 끝도 마른다.`고 바짝 긴장했다. 또 황사가 날아와 산천을 온통 누런 먼지로 뒤덮기도 한다.

이월 말에서 시작된 농사일이 삼월이 되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각 농작물의 파종기가 삼월에 집중되어 있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볍씨 소독, 못자리 만들기, 고구마 싹 틔우기, 시금치ㆍ배추ㆍ열무 등 봄채소 파종, 호박ㆍ고추ㆍ조 파종, 봄보리 갈기(파종), 겨울보리 아시ㆍ두벌 김매기, 감자 심기, 마늘 웃거름 주기 등이다.

일년중 날씨가 가장 변덕스러운 때이므로 농가에선 늦서리의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청명ㆍ곡우가 낀 음력 삼월은 황사가 많은 계절이다. 몽골건조지대와 중국 황하지방에서 불어오는 황사는 한반도 곳곳에 엄청난 피해를 입힌다. 황사가 끼면 하늘이 누런 먼지로 뒤덮이고 가시거리가 짧아진다. 햇볕을 가려 농작물의 자람을 방해하고 각종 기관지염과 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누런 모래먼지가 만 길까지 뻗쳐 있다 하여 `황사만장()`이라 부르는 황사는 비가 내리면 누런색을 띤다하여 `황우()`라 하기도 한다. 인간에게 별 이로움 없이 해만 끼치기로 악명 높은 황사, 그러나 황사가 농작물에 좋은 역할을 할때도 있다. 예부터 적조방제나 물고기의 질병치료를 위해 황토를 사용했듯이 황사는 호수의 산성화를 막는 중화제 역할을 한다. 또 토양의 산성화를 막고 식물성장의 촉진제 역할도 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사에는 식물의 영양분인 칼슘, 마그네슘이 평소 대기보다 높게 포함돼 있어 식물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출처: 곡우 [穀雨]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의 24절기), 2006., 한국콘텐츠진흥원)


[3]. 중국의 자료에 나타난 곡우. 


1]. 중국 베이징 관광국에 설명된 곡우. 2018.04.19 소개자료.


취위(谷雨, 곡우) 소개


. 필자 주 3). 현대 중국에서 사용하는 한자(漢字)는, 중국의 문자 개혁에 따라 자형()을 간략하게 고친 간체자(簡體字)임. 한국은 전통적 한자(漢字)인 번체자()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음. 여기서 간체자인 곡(谷)은 곡식과 관련된 번체자인 곡(穀)으로 이해하면 적절함.


다시 본문의 곡우 소개로 돌아갑니다.


곡우(谷雨)는 24절기의 6번째 절기로 봄 계절의 마지막 절기다. 매년 4월 20일 전후 태양이 황경 30도에 도달했을 때로, 고대인들은 '비가 곡식을 생장시킨다(雨生百谷)'라 말하였다. 파종이나 모내기에 적합한 시기다.


곡우는 봄 계절의 마지막 절기로 봄철에 기승을 부리는 꽃샘추위마저 끝이 나고 기온이 빠르게 상승하기에, 각종 농작물의 생장에 유리한 기후다. 또한, 곡우 절기의 주요 특징은 비가 많은 것으로, 이 또한 농작물의 생장에 유리하다.


중국 고대에 곡우를 세 가지 징후로 이야기하였다. 첫번째는 개구리밥(부평초)이 생기기 시작한다. 두 번째는 뻐꾸기가 울기 시작해 파종시기를 일깨우고, 세 번째는 오디새(Upupa epops)가 보이기 시작한다.


곡우절기 민간 풍습으로는 바다신에 제사를 지내는 등의 제사풍습, 곡우차 마시기[喝谷雨茶. 필자주 4). 여기서 喝은 중국어사전에서 마시다라는 의미로 설명되어 있어 그렇게 이해하면 좋을것 입니다], 모란 꽃 감상(谷雨花), 야외 걷기(走谷雨)등이 있다.    


* 곡우절기의 음식 양생: 싱싱한 야채를 먹는다.


봄 절기의 마지막인 곡우는 '빗물이 백가지 곡물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이 때는 기후변화가 많아 인체도 그에 적응하느라 쉽게 감기에 걸리거나 기침이 나게 된다.


때문에 음식물에서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고 폐를 부드럽게 해주는 음식물을 많이 먹는데, 특히 주의할점은 이 계절에 나는 야채를 많이 먹고 타 절기의 야채는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2]. 중국 인민망에 소개된 곡우.  


April 20, 2018


20일 11시 20분은

태양의 황경이 30°에 위치하는 ‘곡우(谷雨)’다.


곡우는 24절기 중 6번째 절기이자,봄의 마지막 절기다.

곡우를 전후한 이맘때가 곡식이 자라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이때 내리는 비는 오곡이 자라는 데 도움이 되므로

비가 ‘백곡(百谷)’을 자라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풍속


. 찻잎따기


곡우에 차를 마시면 열을 내리고 액막이를 하고 눈을 밝게 한다는 전설이 있다. 따라서 날씨와 상관없이 곡우가 되면 사람들은 차 산에 가서 신차(新茶)를 딴다. 차 재배농들은 진정한 곡우차는 곡우날 오전에 딴 신선한 찻잎으로 만든 건차(干茶)라고 말한다. 어떤 이가 차를 우려 당신에게 마시라고 권할 때 “곡우날 만든 차예요”라고 한다면 그것은 귀한 손님이 오셨을 때만 이 차를 내놓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모란감상


곡우를 전후하여 모란이 핀다. 따라서 모란꽃은 곡우화, 부귀화로도 불린다.


. 바다에 제사지내기(풍어제) 


중국 북방 연해 일대의 어민들은 2천여 년 전부터 곡우를 지내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이 풍습은 청(淸)나라 도광(道光) 연간에 이르러 ‘어민절(漁民節)’로 명칭이 바뀌었다. 오늘날 잘 살게 된 산둥(山東, 산동) 룽청(榮城) 어민들은 지금도 곡우날이 되면 바다에 성대히 제사를 지낸다. 어민들은 바다의 신에게 술을 올린 후 돛을 올리고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는다.


. 해충퇴치 부적 붙이기


옛날에 산시(山西, 산서) 린펀(臨汾) 일대에서는 곡우날 천사(天師) 부적을 그려 문에 붙이는 것을 ‘금갈(禁蝎)’이라고 불렀다. 산시(陝西, 섬서) 펑샹(風翔) 일대의 ‘금갈’ 부적은 나무를 새겨 인쇄하여 만드는데 이로 보아 수요가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산둥 일부 지방에서도 ‘금갈’ 풍습이 전해지는데 이는 해충을 없애 풍성한 수확과 평안을 기원하는 소망을 담고 있다.


. 곡우 나들이


‘곡우 나들이’는 예로부터 있었다. 곡우날이 되면 젊은 여성들은 이웃이나 친척집에 마실을 간다. 어떤 이들은 야외에 나가 한 바퀴 돌고 오기도 한다.


. 참죽먹기


북방에는 곡우날 참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곡우를 전후해 시장에서는 참죽을 많이 볼 수 있다. 이 때의 참죽은 향이 진하고 상큼하며, 영양가가 높아 ‘곡우 전의 참죽은 비단처럼 연하다’는 말이 있다. 참죽은 체내의 면역력을 높이고, 위를 튼튼하게 하며, 기가 허한 것을 치료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항균, 소염, 살충 등의 효과도 있다.


. 창힐(頡))에게 제사지내기


산시(陝西) 바이수이(白水)현은 곡우에 문조(文祖) 창힐(倉頡)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다. 한(漢)나라 때 시작된 이 풍습은 1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창힐은 한자를 창제하는 데 성공해 옥황상제를 감동시켰다고 한다. 당시 큰 기근이 들었는데 창힐을 가상히 여긴 옥황상제는 천궁의 창고를 열고 비를 내리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창힐이 죽은 후 매년 곡우날이 되면 창힐묘에서는 전통 묘회(廟會)를 연다. 사람들은 앙가(秧歌∙모내기 춤) 추기, 죽마춤 등의 민속놀이를 하면서 창힐에 대한 존경과 그리움을 전한다. (번역: 이인숙)


원문 출처: 인민망 위챗 공식계정(ID:  people_rmw), ‘민속학포럼’(ID: folklore-forum), 인민일보 웨이보(@人民日報), 중국천기망(中國天氣網)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 최고(最古, 最高)대학 성균관대나 한국 유교전통의 해방후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에도 이어지는 행태등(수천년 유교문화 전통이라, 국가나 집권정부 차원에서 제재하지 않는한 끊임없이 이어지는게 전통문화들임)에 대해 자료인용을 하면서 강제.불법의 일본 강점기 잔재세력들이 준동하는 상황에 대처하고 한국의 전통주권이나 세계사의 학문적 정설(定)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자료로 활용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1. 대학은 배치표가 아니고, 점수발표가 꾸준해야, 배치표도 인정되는데, 주권.학벌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가 점수발표가 꾸준한 대학이 아님. 대학학벌이나 역사파악은 국사나 세계사(참고서 포함), 국내법.국제법, 정부간행 백과사전, 여러가지 백과사전, 학술서적등이 가장 좋은 자료임. 그래서 국민들이 쉽게 접할수 있는 입시전문지 베리타스 알파 상위 15개대를 이렇게 정리함. Royal 성균관대와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서강대는 일류.명문대>그 뒤의 입시점수 상위대학들로는 주권없고 학벌없는 패전국 일본 잔재와 그 밑 대학들.


왜구억제시스템. ROYAL 성균관대(한국최고대)와 서강대(성대 다음)는 일류.명문대학. 주권.자격.학벌없이 순서없이 한양대,중앙대,경희대,외국어대,건국대,인하대,이화여대,숙명여대,연세대,고려대, 왜구 동국대,시립대,서울대는 300년 정도 이이제이를 거쳐 그 지위를 가늠할것. 학벌은 교과서 자격 국사 성균관(성균관대)이 최고.

http://blog.daum.net/macmaca/2926



2. 다른 종교도 그렇지만, 세계종교 유교는 세계사로 학술적 접근을 해야 적절합니다. 중국 한(漢)나라때 동아시아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서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 그리고 한국 유교.

http://blog.daum.net/macmaca/2888    


3. 지역사나 세계사의 定說로 하면,위기발생시 그 기득권을 마지막까지 지키려는 국가는 동아시아 중국(한국등포함), 서유럽 교황청.이탈리아(프랑스등)가 될 것 같습니다. 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교과서의 자격을 실감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경우는 예외가 되겠지만, 세계사나 다른 이론들을 만들어 교육시켜온 서유럽[근대에 세계지배세력으로 학자들이 많은 나라들(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 스페인등)]의 다방면에 걸친 오랜 기득권도 특별히 변할것 같지 않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894



4. 한국인은 행정법상 모두가 유교도임. 주민등록에 조선성명인 한문성씨와 본관을 의무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나라. 중요한것은 동아시아 유교국가(중국,한국,베트남,몽고. 그리고 2차대전이후의 대만.싱가포르 및 전세계 화교들)에는 하느님(天),계절의 신,산천의 신,조상신,공맹숭배,한문성씨.본관, 한자,삼강오륜,인의예지신,충효,관혼상제,한자,명절이 수천년 체화된것.


한국은 수천년 세계종교 유교나라.불교는 한국 전통 조계종 천민 승려와 주권없는 일본 불교로 나뉘어짐.1915년 조선총독부 포교규칙은 후발 국지적 신앙인 일본신도(새로 만든 일본 불교의 하나).불교.기독교만 종교로 인정하였는데,일본항복으로 강점기 포교종교는 종교주권 없음.

부처는 브라만교에 대항해 창조주를 밑에 두는 무신론적 Monkey임.일본은 막부시대 불교국이되어 새로생긴 성씨없는 마당쇠 천민 천황이 하느님보다 높다고 주장하는 불교 Monkey나라.일본 신도는 천황이 하느님보다높다고 주장하는 신생 불교 Monkey임.한국은 헌법전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보장되어, 일본에 선전포고한 상태가 지속되는 나라임.생경하고 급격하게 새로 생긴 마당쇠 천민 천황이 세운 일제 강점기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에 남겨진 패전국 일제 잔재며, 마당쇠 천민 학교며, 부처 Monkey.일본 Monkey를 벗어날 수 없는 불교.일본Monkey 천민학교로, 한국 영토에서 축출해야 되는 대상임. 한국 영토에 주권이나 학벌같은건 없이 대중언론에서 덤비며 항거하는 일제 잔재에 불과함.

http://blog.daum.net/macmaca/2632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가 옳음.한나라이후 세계종교로 동아시아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잡아온 유교전통.

해방후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 지위는 성균관대로 계승,제사(석전)는 성균관으로 분리.최고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원)이 승계.한국의 Royal대는 성균관대. 세계사 반영시 교황 윤허 서강대도 성대 다음 국제관습법상 학벌이 높고 좋은 예우 Royal대학. http://blog.daum.net/macmaca/2575 



5. 해방이후 성균관대.유교 기득권은 학교교육(국사 성균관,세계사 유교, 윤리의 유교교육, 국어.한문의 삼강오륜등)에서 나옵니다.

한국의 Royal대는 국사에 나오는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

http://blog.daum.net/macmaca/2560



6. 한국인은 행정법상 모두 유교도임. 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2항 등에 의해 그렇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179


7.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 대학 지위는 성균관대가, 최고 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 원)이 승계하였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575

  

8. 유교의 내세관(來世觀)과 기복신앙(祈福信仰) 측면에 대한 고찰.   

 http://blog.daum.net/macmaca/800

 

9. 유교국가의 전통적 특징중 하나는 호적(戶籍)제도였음. 한국과 중국의 호적제도에 관하여! 

http://blog.daum.net/macmaca/2492

 

10. 중국 한(漢)나라시절 세계종교 유교로 성립되어 동아시아국가들에 오랜동안 이어진 삼강오륜(三綱五倫). 

http://blog.daum.net/macmaca/2528

 

11. 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임.

http://blog.daum.net/macmaca/2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