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HO "신종코로나, 아직 대유행 아냐…제2의 후베이성 없다". 한국 질병관리본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분리성공…"치료제·백신 개발 활용"

WHO "신종코로나, 아직 대유행 아냐…제2의 후베이성 없다".  한국 질병관리본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분리성공…"치료제·백신 개발 활용"


1. WHO "신종코로나, 아직 대유행 아냐…제2의 후베이성 없다"

2020,2,5, 연합뉴스 임은진 특파원 보도뉴스.





"여행업계와 원격회의…중국행 항공편 재개 위한 권고안 마련"

실비 브라이언드[로이터=연합뉴스]

(제네바=연합뉴스) 임은진 특파원 = 세계보건기구(WHO)는 4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아직 대유행(pandemic)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AFP,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실비 브라이언드 WHO 글로벌 감염위험 대응국 국장은 "우리는 현재 전염병이 동시다발적(multiple foci)으로 발생하는 단계에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발병지인 중국 우한(武漢)과 후베이(湖北)성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는 주로 산발적으로 전염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다른 지역과 중국 외 다른 국가에서는 "전염을 막는 것이 현재의 전략"이라며 "우리는 제2의 후베이성 같은 시나리오는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브라이언드 국장은 현재까지 19개 국가가 WHO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제한 조처를 공식적으로 통보해왔으며, 이에 대해 WHO는 각국에 해명을 요청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WHO가 이번 주 여행·관광 산업 대표자들과 원격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그는 말했다.

회의에서는 중국행 항공편이 재개될 수 있도록 승무원 보호에 관한 권고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브라이언드 국장은 "승무원이 승객들과 가까이 접촉할 때 감염될까 굉장히 두려워하고 있다"며 "그래서 우리는 직원들이 안전하다고 느끼고 중국행 비행을 재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권고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안정적인 바이러스"라면서 WHO는 중국에서 자국민을 탈출하는 국가들이 이 같은 정책을 "재조정"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브라이언드 국장은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기침이나 재채기 시 나오는 비말을 통해 전염되며, 감염된 사람이나 그들이 만진 물건을 직접 만졌을 때도 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바이러스가 해당 물건에 얼마나 오랫동안 남아 있는지는 불확실하다면서 예방책으로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을 조언했다.

이어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손을 씻지 않으면 100% 보호할 수 없다며 다른 예방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것은 도전적이라면서 "그것이 쉽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것을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378286&isYeonhapFlash=Y&rc=N




2. 2번 말고도? 호전 확진자 여럿...퇴원 기준 마련 고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2&aid=0001396882




3. 질본,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분리성공…"치료제·백신 개발 활용"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5065200017?section=economy/all&site=major_news01_related



4. 질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백신 개발 연구착수(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5111100017?section=economy/all&site=major_news01


5. 신종코로나 치료사용 'HIV 치료제·인터페론'에 건강보험 적용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4150700017?section=economy/all&site=major_news01_related



6. 어제 필자가 써 놓았던 글


WHO 사무총장 "신종코로나 억제에 여행 방해 안돼"


2020,02,04 , 연합뉴스 보도기사.

 

(제네바 EPA=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 제146차 집행이사회가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리고 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억제를 위해 여행과 교역을 금지할 필요가 없다고 재차 언급했다.


https://www.yna.co.kr/view/PYH20200204005800340?input=1196m




그리고 이 약 어떻습니까? 가격도 1만원정도로 비싸지 않습니다. 중국 코로나 바이러스 대처약품. 한국먼디파마에서 공급하는 베타딘 인후스프레이. 한국 중앙일보에 나온 처방인데, 중국과 협의되면 좋겠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865



 추가로 한국에서 있었던 치료 상황입니다. 


2020,2,4, 연합뉴스 보도기사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병원에서 치료받는 2번 환자에 대해 "이미 완치됐다"며 "이번 주 안에 퇴원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요.

그는 2번 환자의 치료에 다양한 방법이 시도됐던 만큼 어떤 치료가 주효했는지 단언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다만, 이 환자에게 에이즈(HIV) 치료제는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태국에서도 HIV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가 신종 코로나 확진 환자 치료에 효과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해법이 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영상] "'완치' 2번환자에 에이즈치료제 사용"…신종코로나 해법될까?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4169000704?site=newsflash



이 글을 쓰는 와중에 거의 실시간으로 연합뉴스에 보도된 중국발 보도입니다


2020,2,4, 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보도뉴스


중국, 신종코로나 치료제 개발 진척…"억제 약물 발견"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4176400083?site=newsflash



. 필자의견: 국가별로 다소 주권행사가 다르게 나타나는건 별 수 없지만, 그래도 세계규범으로 보면 WHO(세계보건기구)의 의견을 따르는게 더 세계보편성을 가진다고 판단합니다. 인류가 세계인과 더불어 공존하려면, 국내법에 우선한 국가주권도 옳지만, 강행법 성격이 없더라도 국제관습법상 따라줘야 할 보편적 지침들은 세계사, 만국공통으로 사용되는 교과서적 정설(定說), 2차대전 이후의 UN규정, 세계적 협약체의 규칙등입니다.


개인들은 마스크 착용, 손 씻기등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1만원 정도하는 베타딘 인후 스프레이(상업적 측면으로 거론한게 아니며, 위기에 대처코자 불가피하게 언급하는 약품이며, 비슷한 약품도 있을것)등을 사용하는게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중국과 교류하는 세계 각국에서 두려움때문에 개인적으로 나타내는 과잉방어도 있지만, 해당 정부차원에서는공정하게 잘 대처하는 편입니다. 중국은 강대국답게 그리고, 자국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때문에 그런것이란 자책감도 가지며 너무 가슴에 새겨두지 말고, 유교의 덕목인 인(仁, 세계사적 견지에서 동아시아의 중국.한국.베트남.몽고는 수천년 전통 유교국. 서유럽과 중남미, 필리핀은 로마 가톨릭국가)의 자세로 너그럽게 대처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국은 황하문명과 유교 종주국, 세계 최초의 대학인 태학(태학은 이후 국자감에서 경사대학당, 베이징대로 계승됨. 서 유럽의 대학은 볼로냐.파리대학으로 지금도 세계사에서 가르침)의 나라입니다.


그리고, 세계사에서 가르치는 세계 4대 발명품(종이,화약,나침판, 인쇄술)의 나라가 중국입니다. 과거에는 수천년 문명국이었지만, 인문학 교육만 받는 인재 중심으로 태학.국자감을 운영해 온 탓에(이는 한국도 마찬가지) 과학교육을 받는 인재들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근대에 서유럽이 이룩한 과학.공학의 비약적인 발전보다 뒤처졌던 경험이 있었고, 과학.공학분야의 수백년 서유럽의 발전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2차대전 이후 과학기술 분야로 보면 미국을 선두로 독일, 일본 및 한국과 서유럽 여러나라(프랑스,영국 및 여러나라)와 러시아.중국등이 군사, 기초과학, 상업기술등에서 주요국가로 보여집니다(이 부분의 의견은 논문이 아니라, 상당히 주관적인 시각의 견해입니다).


그러나, 중국은 2차대전 승전국(UN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 인구대국이며, 미국에 뒤이은 경제대국, 위안화란 기축통화 발행국(시중의 환전소등에서 미국 $화에 뒤이어 한국에서 자주 통용되는 현상이 발생함. 필자가 볼때 미국 $, 중국 위안화, 서유럽 유로화등은 한국 환전소등에서 거래되는 중요한 기축통화로 보여짐)이며, 한국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거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위안화란 기축통화때문에, 중국도 이제는 점차적으로 상품의 수출과 병행하여 세계각국의 상품들을 빨아들이는 수입국이 되어갈 조짐이 있는데, 미국은 무역적자가 발생해도 자국의 $화로 계산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문제는 전혀 없습니다. 이는 기축통화를 가진 나라의 장점이자 특이한 현상입니다.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과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는 동시대의 상황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자 교육.연구자료로 활용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