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춘지월(季春之月). 음력 3월로 양력 2019년 4월 5일(음력 3월 1일)부터 양력 2019년 5월 4일(음력 3월 30일)까지입니다.
24절기중의 청명(淸明)과 곡우(穀雨)가 있는 달입니다.
[1]. 계춘(季春)은 음력 3월을 달리 이르는 말입니다. 같은 말로 늦봄입니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영어로는 March of the lunar calendar, Late spring by lunar calendar
독일어로는 März nachdem Mondkalender로 번역할 수 있겠습니다.
2019년 올해는 양력 4월 5일(음력 3월 1일)부터 시작해서 양력 5월 4일(음력 3월 30일)까지를 음력 3월인 계춘의 달이라 합니다.
24절기중의 청명(淸明)과 곡우(穀雨)가 있는 달입니다. |
2]. 유교 경전인 예기(禮記) 월령(月令)에서는 계춘의 달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 다 음 -
季春之月 日在胃 昏七星中 旦牽牛中 其日甲乙 其帝太皥 其神句芒
其蟲鱗 其音角 律中姑洗 其數八 其味酸 其臭羶 其祀戶 祭先脾
계춘(季春)의 달에는 진(辰)이 위성(胃星)에 있다. 저녁에는 칠성(七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고, 아침에는 견우성(牽牛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다. 그 날은 갑을에 해당하고, 그 제(帝)는 태호, 그 신은 구망(句芒), 그 동물은 인족(鱗族), 그 음(音)은 각(角), 그 율(律)은 고선(姑洗), 그 수는 8, 그 맛은 산(酸), 그 냄새는 전(羶)에 해당한다. 그 제사는 호신(戶神)이며, 제사지낼때는 희생의 비(脾)를 먼저 바친다.
桐始華 田鼠化爲鴽 虹始見 蓱始生 天子居靑陽右个 乘鸞路 駕倉龍
載靑旂 衣靑衣 服倉玉 食麥與羊 其器疏以達
오동나무에 비로소 꽃이 피고, 들쥐가 변하여 종달새가 되며, 무지개가 비로소 나타난다. 그리고 마름(浮萍)이 비로소 생긴다. 천자는
명당의 동쪽 남실에 거처하고, 난로를 타고 창룡을 멍에하며 청기를 세우고, 푸른 옷을 입고 창옥을 차고 보리와 양고기를 먹는다.
그 사용하는 그릇의 조각은 무늬가 성기고 곧다.
是月也 天子乃薦鞠衣于先帝 命舟牧覆舟 五覆五反
乃告舟備具于天子 天子始乘舟 薦鮪于寢廟 乃爲麥祈實
이 달에 천자는 황색 옷을 선제 태호(太皞)의 신에게 올리고 이로써 누에가 잘 자랄것을 빈다. 또 배를 관장하는 벼슬아치에게 명하여
배를 뒤집어 놓고 상한 곳을 살피게 한다. 관리는 다섯번 뒤집고 다섯번 원상태로 되돌리면서 그 배가 완전함을 천자께 보고한다.
천자가 비로소 배를 타고 유[鮪:상어. .필자 주 1). 鮪는 한자사전에서 참다랑어 유인데 이 책의 번역자는 상어로 번역하였음]를 잡아와서 침묘(寢廟)에 올리고 보리가 실히 영글것을 기도드린다.
是月也 生氣方盛 陽氣發泄 句者畢出 萌者盡達 不可以內 天子布德行惠
命有司 發倉廩賜貧窮振乏絶 開府庫出幣帛周天下 勉諸侯 聘名士 禮賢者
이 달에는 생기가 사방에 성대하고 양기 또한 발동하여 넘치므로 초목의 싹이 모두 번성한다. 천자 역시 재물과 곡식을 감추어서
하늘의 발설(發泄)의 도에 역행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덕정(德政)을 펴고 은혜로운 구호활동 하는데,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창름을 열어 빈궁자에게 하사하고 핍절자를 구하며, 부고를 열고 폐백을 풀어서 널리 천하의 사람에게 하사하여 이를 구하고 제후에게
권장하며, 명사를 초빙하고 현자를 예우하게 한다.
是月也 命司空曰 時雨將降 下水上騰 循行國邑 周視原野 修利隄防
道達溝瀆 開通道路 毋有障塞田獵罝罘羅罔畢翳餧獸之藥 毋出九門
이 달에는 천자가 사공(司空}에게 명하기를, "바야흐로 시우(時雨)가 내릴것이다. 강물이 혹은 범람하고 역류할 염려가 있을지도 모르므로
그대는 국읍(國邑)을 순행하고 원야를 돌아봐 제방을 수리하고 개천과 작은 개천을 잘 통하도록 하고 수로가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며, 또 전렵(田獵)용의 짐승그물, 새그물, 예(翳:사냥할 때 몸을 숨기는 도구) 및 짐승에게 먹이는 독약따위가 9문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라"고 한다.
是月也 命野虞無伐桑柘 鳴鳩拂其羽 戴勝降于桑 具曲植蘧筐
后妃齊戒親東鄕躬桑禁婦女毋觀
省婦使以勸蠶事 蠶事旣登 分繭稱絲效功 以共郊廟之服
無有敢惰
이 달에는 천자가 야우[野虞. .필자 주 2). 이 책의 번역자는 전답과 산림을 관장하는 벼슬아치로 번역]에게 명하여 뽕나무를 베지 못하도록 한다. 명구(鳴鳩)가 날아와서 날개를 푸덕이고 대승[戴勝. 필자 주 3). 이책의 번역자의 번역내용을 자세하게 소개함. 戴勝降于桑:戴勝 은 복조(福鳥). 降은 날아와서 앉는것.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뜻에서 降이란 말을 썼다]이 날아와서 뽕나무에 앉게 되면 누에의 그릇과 선반 거광을 갖추게 한다. 그리고 후비(后妃)는 재계하고 동쪽을 향하여 몸소 봄기운을 맞이하고, 스스로 뽕잎을 따면서, 양잠에 종사하는 부녀자를 타일러 맵시를 내는 일이 없도록 한다. 또 부녀자들의 일을 줄여서 그 여력을 양잠에 기울이도록 한다. 양잠이 다 되었으면 부녀자에게 누에고치를 나누어주어 실을 뽑도록 하고, 뽑은 실을 달아서 나누어주어 짜게 함으로써 그 공을 이루게 한다. 그리고 그 짠 피륙으로 교묘(郊廟)의 제복을 만드는 등, 부녀자들이 감히 게으르는 일이 없도록 한다.
是月也 命工師 令百工 審五庫之量 金鐵皮革筋角齒羽箭幹脂膠丹漆
毋或不良 百工咸理 監工日號 毋悖于時 毋或作爲淫巧 以蕩上心
이 달에는 천자가 공사(工師)에게 명하여, 백공에게 영을 내려 오고에 저장한 금철.피혁근.우전간.지교단칠의 수를 명확히 조사시켜,
기물을 만드는 데 있어 재질이나 세공이 양호하지 않음이 없도록 한다. 백공이 명을 받고 그 제작에 종사하는데, 감독관은 매일 매일
호령하기를, "그릇을 만드는 데는 계절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라. 지나치게 기교를 부린 그릇을 만들어 성상의 마음이 사치로 흐르게
하지 않도록 하라"고 한다.
是月之末擇吉日大合樂 天子乃率三公九卿諸侯大夫親往視之 是月也
乃合累于騰馬 遊牝于牧 犧牲駒犢 擧書其數 命國難九門 磔攘以畢春氣
이 달 말에는 길일을 가려 국학(國學)에서 크게 합악을 행한다. 천자는 3공.9경.제후.대부를 이끌고 친히 가서 이를 관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달에는 수놈 우마(牛馬)를 함께 목장에서 놀게 하고 암놈 우마와 교합시킨다. 그 중에서 희생에 쓸 망아지와 송아지를 낳는
우마만은 모두 수효를 기록한다. 또 국도의 관리하에 명하여 9문(九門)에서 역귀를 쫒는 의식을 행하고 또 생을 찢어 사방의 신을
제사지내어 재앙의 춘기(春氣)를 털어낸다.
季春行冬令 則寒氣時發 草木皆肅 國有大恐 行夏令 則民多疾疫 時雨不降
山陵不收 行秋令 則天多沈陰 淫雨蚤降 兵革並起
계춘(季春)의 달에 동계(冬季)의 정령(政令)을 행하면 한기(寒氣)가 때때로 생겨나고, 초목의 가치와 잎사귀가 모두 시들고, 나라에
가공할만한 큰 일이 있게 된다. 하령(夏令)을 행하면 질병을 앓는 백성이 많아지고 시우(時雨)가 내리지 않아 산릉(山陵)의 수입이 오르지
않는다. 또 추령(秋令)을 행하면 하늘에 침체된 음기(陰氣)가 많고 장마비가 빨리 내리며 전란이 아울러 일어나게 된다.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역해자(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과 세계의 유교와 교육등을 되돌아보고,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고 있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1. 해방이후 성균관대.유교 기득권은 학교교육(국사 성균관,세계사 유교, 윤리의 유교교육, 국어.한문의 삼강오륜등)에서 나옵니다.
한국의 Royal대는 국사에 나오는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한 성균관대. 그리고 교황윤허 서강대.
http://blog.daum.net/macmaca/2560
2. 한국인은 행정법상 모두 유교도임. 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2항 등에 의해 그렇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179
3.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 대학 지위는 성균관대가, 최고 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 원)이 승계하였습니다.
4. 유교의 내세관(來世觀)과 기복신앙(祈福信仰) 측면에 대한 고찰.
http://blog.daum.net/macmaca/800
5. 유교국가의 전통적 특징중 하나는 호적(戶籍)제도였음. 한국과 중국의 호적제도에 관하여!
http://blog.daum.net/macmaca/2492
6. 중국 한(漢)나라시절 세계종교 유교로 성립되어 동아시아국가들에 오랜동안 이어진 삼강오륜(三綱五倫).
http://blog.daum.net/macmaca/2528
7. 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임.
http://blog.daum.net/macmaca/2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