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은 춘절(春節)전에 한국 입춘첩처럼 춘련(春聯)을 붙인다고 함.

중국은 춘절(春節)전에 한국 입춘첩처럼 춘련(春聯)을 붙인다고 함. 입춘첩은 성균관, 향교, 서원이나 서예가에게서 얻어오거나, 집안어른이 직접 써 붙여도 될것.

24절기는 불교와 전혀 관계없음. 24절기는 중국.한국.베트남.몽고의 수천년 유교국에 이어지는 세시풍속. 예기월령과도 밀접. 중국 24절기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1]. 언론 보도기사

1. 중국, 춘절 앞두고 춘련 고르는 사람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45&aid=0002168444



2. 베이징관광국에 소개된 옛 베이징의 입춘풍속. 봄 깨물기


옛 베이징의 입춘풍속, 봄 깨물기


2018.2.1, 베이징관광국 보도자료



 


입춘(立春)은 교춘(咬春)이라고도 불리는 데, 뜻은 '봄을 깨물다'는 뜻이며, 춘병(春饼) 등의 봄 음식을 먹는 것을 의미한다.


입춘이 되면, 옛 베이징사람들은 춘병을 먹고, 봄 음식을 깨물어 먹었다.

민국시기에 '베이징통(北京通)'이라 불렸던 작가 진쇼우선(金受申)은 일찍이 춘병을 먹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의 소개에 따르면 끓는 물에 밀가루 반죽을 삶은 후에, 꺼내어 작은 덩어리 두 개를 만들고,  그 중간에 참기름을 바르고 납작하게 부쳐 만든다. 즉, 얇은 피가 두 겹이 되는 셈이다. 두 겹의 밀가루 피를 다시 살짝 구워낸 후, 두 겹을 다시 한 겹으로 나누어, 고기와 야채 등으로 만든 소를 감싸 먹는다.


춘병에 먹는 소를 허즈차이(盒子菜)라고 부르는데, 이는 그 내용물이 여러가지가 합쳐진 형태로, 훈제고기, 장조림, 계란, 닭고기 등과 함께 파채, 콩나물, 시금치, 부추, 당면 등이 있다.

춘병 외에도 대표적으로 무를 먹기도 하며, 이렇게 봄을 깨무는 것은 촌곤증을 없애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베이징에서 춘병을 먹고 봄을 깨무는(春饼和菜) 풍속은 오래 전부터로, 명나라 말기의 류약우(刘若愚)는 이렇게 글을 남겼다. : 입춘 날, 베이징사람은 부귀와 상관없이 모두 무를 먹으며 '봄을 깨문다(春饼和菜)', 또한 서로가 '춘병과 음식(春饼和菜)'을 대접했다. 여기서 '화(和 )' 자는 '货(huò)'로 발음을 했는데 즉, 각종 음식과 함께 춘병을 먹는 것을 말한다.




2]. 중국 춘련에 대한 백과사전 및 전문서적의 설명


1. 솔출판사의 인명.용어사전인 홍루몽에 서술된 춘련[春聯]


춘련

[]

요약 풍속 용어
노출 권수4권

봄날에 소망이나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말 등을 적어 대문이나 벽 등에 붙이는 것으로 '문대()', '춘첩()' '대련()' 등으로도 부른다. 이런 풍속은 주나라 때 대문 양쪽에 긴 직사각형의 복숭아나무 판자를 걸어 놓는 '도부()'의 풍속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당시에는 그 위에는 각기 '신도()'와 '울루()'라는 2명의 신 이름을 적어놓았다고 한다. 이후 오대 서촉의 궁정에서 그 위에 연구()를 쓰는 일이 시작되었고, 명나라 때부터는 아예 그 명칭이 '춘련()'으로 바뀌었다. 다만 설[]에 춘련을 붙이는 풍습은 송나라 때 시작되어서 명나라 때부터 성행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춘련은 또 붙이는 위치에 따라 문심(), 광대(), 횡피(), 춘조(), 두근(, 또는 문엽()) 등 여러 형식으로 나뉜다.


. 출처: 춘련[春聯] (홍루몽: 인명, 용어사전, 솔출판사)


2. 두산백과에 서술된 춘련 


춘련


[]

요약 중국에서 빨간 종이에 대구(對句)를 적어 문이나 기둥 등에 붙이는 풍속.

붙이는 장소에 따라 대련() ·영련() ·문련() 등으로 불리며,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제야()에 써 붙이는 것을 특히 춘련이라고 한다. 춘련의 풍속은 10세기 말 촉()나라 맹창()이 침문()의 도부()에 ‘ ·’이라는 문구를 써 붙인 것이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진() ·한()시대에 섣달 그믐날 밤에 이신상()을 문에 장식하여 마귀를 쫓는 데 썼다고 한다. 그것이 뒤에 문신()이 되었다. 이것을 상서로운 문자로 바꾼 춘련은 구복()과 풍취를 겸하였고, 장소에 적당한 문자를 골라서 썼다. 춘련은 붙이는 장소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다.

기둥에 붙이는 영련도 바깥문 좌우에 붙일 때는 광대(), 내실문 좌우에 붙일 때는 포주()라고 한다.문련도 바깥문 문짝에 붙일 때는 문심(), 중문() 네 문짝에 붙일 경우에는 두방()이라고 한다. 바깥문 위에 가로로 붙이는 황피()와 실내벽 위에 붙이는 춘조()는 각 1장씩으로 되어 있으며, 이른바 대련은 아니다.


. 출처: 춘련[春聯] (두산백과)


3]. 춘축[]

[]

춘축

춘축전통 생활에서는 입춘 절기가 되면 봄을 맞이하여 한해의 복을 바라는 글인 춘축을 써붙인다.

이칭별칭 입춘축
유형개념용어


정의

입춘 날 벽이나 문짝 등에 써 붙이는 글.

내용

춘방()·입춘방()·입춘서()라고도 한다. 춘축은 입춘 날 사대부 집이나 일반 민가 및 상점에 춘련()을 붙여 봄을 송축()·송도()하는 것이다.

대개 대문이나 난간(), 대들보, 기둥 등에 좋은 글귀를 적은 종이를 붙이는데, 이를 ‘입춘() 붙인다’고도 한다. 그러나 상중()에 있는 가정에서는 이것을 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한편 입춘날 대궐에서는 대궐 기둥에 붙였던 주련()은 ‘춘첩자()’라고 한다. ≪경도잡지 ≫ 제2 세시()편 입춘()조에 의하면 항간·시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련을 쓴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구()를 예시()하고 있다.

수여산() 부여해()

거천재() 내백복()

입춘대길() 건양다경()

국태민안() 가급인족()

요지일월() 순지건곤()

애군희도태() 우국원년풍()

천하태평춘() 사방무일사()

국유풍운경() 가무계옥수()

봉명남산월() 인유북악풍()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유색황금눈() 이화백설향()

북당훤초록() 남극수성명()

천상삼양근() 인간오복래()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계호신세덕() 견폐구년재()

문영춘하추동복() 호납동서남북재(西)

육오배헌남산수() 구룡재수사해진()

≪경도잡지≫에서는 문설주에 붙이는 단첩()도 다음과 같이 예시하고 있다.

춘도문전증부귀() 춘광선도길인가()

상유호조상화명() 일춘화기만문미(滿)

일진고명만제도(滿)

이 밖에 사대부 집에서는 흔히 새로 지어 붙이거나 혹은 고인()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쓰기도 한다. 이 입춘축은 어린아이의 천진의 글씨로 쓰면 능히 사기()를 물리친다고 하여 흔히 어린아이들에게 쓰인다.


. 출처: 춘축[春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입춘축[]


입춘축[]

  
  
  
다른이름춘축(), 입춘첩(), 입춘방(), 춘련(), 문대(), 춘첩자(), 춘방(), 대련(), 춘첩()


 


정의

입춘날 봄이 온 것을 기리어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내용을 적은 글.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이자 봄을 맞는 날이므로 이날 봄의 형상에 적합한 축하·기원·경계 등의 글을 쓰는데, 이를 입춘축()·춘축()이라 한다. 그리고 종이를 잘라 좋은 글을 쓰고 입춘일에 각 집마다 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인다고 하여, 입춘첩·춘첩·춘첩자()·입춘방()·춘방()·문첩()이라 하며, 또는 입춘()붙인다고 한다. 그리고 문이나 기둥마다 대구의 글을 지어 붙인다고 하여, 춘련()·대련()·문대()라고도 한다.

유래

문첩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중국 황제() 때 흉악한 귀신을 쫓기 위해 설날 도부()에 신도()와 울루()의 형상을 그려 문에다 걸었다는 것에서, ‘신도울루()’ 넉 자를 써서 붙인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춘련은 『형초세시기()』에 의하면 입춘에 봄을 맞이하여 봄의 행운을 부른다는 ‘의춘()’ 두 자를 써서 문에 붙인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한편 진운첨()의 『잠운루잡화()』에 의하면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섣달 그믐날 하루 전에 공경대부와 일반 서민들로 하여금 대문 위에 춘련() 한 폭씩을 붙이라고 한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우리나라에서 춘첩자는 고려시대부터 보이는데, 『동문선()』에는 김부식()이 쓴 내전(殿) 춘첩자가 기록되어 있으며, 『선화봉사고려도경(使)』에는 송나라 서긍()이 개경 광화문()에 붙여져 있는 “눈 자취 아직도 삼운폐에 있는데() 햇살이 비로소 오봉루에 오르네() 제후들 잔 올려 축수하니() 곤룡포 자락에 서광이 어리네()”라는 춘첩자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도 어전(殿)과 태후전(殿)의 춘첩자가 있는데, 대체로 장수를 기원하는 5언 또는 7언시이다.

조선시대에도 춘축 또는 춘첩자라고 하여 봄을 축하하는 시를 적고 있으며, 이를 선물로 주고받기도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지제교()로 하여금 5언 절구()로 짓게 하고, 그 가운데 뛰어난 1수()를 택하여 궁문()에 붙이게 하였으며, 세종 13년에는 춘첩자는 연상시()로 된 입춘을 축하하는 글이라 하여 문소전(殿) 등의 묘문()에는 붙이지 않게 하였다. 성종대 이후로는 문신()을 대궐 뜰에 모아 놓고 운()을 나누어 5언·7언 율시()를 지어 올리게 하였는데, 영조 39년에는 춘첩자를 지어 올릴 인원수를 8명으로 정하여, 일년에 세 번 첩자()를 지어 올리게 하였다. 정조 5년에는 입춘 첩자는 송도()뿐만 아니라 잠규()하는 뜻이 깃들어 있다고 하여, 규장각의 제학·직제학·직각·대교는 첩사() 두 편씩을 뽑아서 직접 써서 올리게 하였다. 현재 규장각 도서에는 정조대부터 순조대까지 규장각 대신들이 써왔던 춘첩자를 모아 편찬한 3권의 『춘첩자』가 있다.

그리하여 『동국세시기』에 “승정원()에서는 미리 뽑은 시종신()과 당하()의 문관들에게 10일 전부터 연상시를 지어 올리게 한다. 이때 홍문관, 예문관과 규장각의 제학에게 운자()를 내게 하여 5언·7언의 율시, 절구를 짓게 하고 채점하여 합격한 것은 대궐 안의 기둥이나 문설주에 붙이게 한다. 입춘의 춘첩자나 단오의 단오첩도 모두 이와 같다.”고 하여, 춘첩자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여 붙인다고 하였다. 이것은 사마광()의 『일록()』에 “한림원에서 춘사()를 청하는 명령을 기다려 써두었다가 입춘에 잘라내어 궁중의 문에 붙인다.”고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내용

입춘은 정월의 첫 번째 절기이고, 봄을 알리는 날이기 때문에 신년()으로 여긴다. 그래서 해가 바뀌면 묵은해의 액()을 멀리 보내고 새로운 봄을 맞이하는 입춘축을 써서 문이나 기둥에 붙인다. 입춘축은 태양의 황도()가 450도에 이르러 입춘점을 지나는 시각에 붙이는데, 사대부집에서는 궁중의 춘첩자와 같이, 새로 시()나 사()를 써서 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도 하며 혹은 옛사람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쓰기도 한다. 여러 가게에서는 명필가에게 글을 받아서 문 밖 기둥에 붙이기도 한다.

『동국세시기』나 『경도잡지()』 등에 전하는 춘첩으로, ‘문신호령() 가금불상()’, ‘국태민안() 가급인족()’, “우순풍조(調) 시화세풍()‘ 등의 대구어()가 있으며, 여염집의 기둥이나 문설주에는 ’수여산() 부여해(), ‘거천재() 래백복()’, ‘입춘대길() 건양다경()’, ‘요지일월() 순지건곤()’, ‘애군희도태() 우국원연풍()’,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천하태평춘() 사방무일사()’, ‘국유풍운경() 가무계옥수()’,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 ‘북당훤초록() 남극수성명()’, ‘천상삼양근() 인간오복래()’, ‘계명신세덕() 견폐구년재()’,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 ‘봉명남산월() 인유북악풍()’, ‘문영춘하추동복() 호납동서남북재(西)’, ‘육오배헌남산수() 구룡재수사해진()’, ‘천증세월인증수() 춘만건곤복만가(滿)’ 등의 대련()을 많이 쓴다고 하였다. 또한 문이나 문설주에 붙이는 단첩()에는 ‘춘도문전증부귀()’, ‘춘광선도길인가()’, ‘상유호조상화명()’, ‘일춘화기만문미(滿)’, ‘일진고명만제도(滿)’ 등이 있다고 하였다.

오늘날에도 ‘입춘대길 건양다경’ 같은 입춘첩을 써두었다가 입춘에 책력()에 나와 있는 시간에 맞추어 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인다. 먼저 사당에 가서 입춘이 왔음을 고하는 ‘감고() ○○년() 입춘() ○○월() ○○일() ○○시()’의 입춘축을 붙이고, 이어 집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서, 대문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중문에는 ‘문신호령 가금불상’과 ‘신도울루’, 기둥에는 ‘천증세월인증수 춘만건곤복만가’, 아버지 방에는 ‘부주평안()’, 어머니 방에는 ‘모주평안()’, 곳간에는 ‘의이장지(), 절이용지()’ 등 각각의 기원문을 써서 붙인다. 상중()에 있는 집에서 입춘첩을 붙이지 않는다.

관련풍속

입춘첩과 유사한 사례로 관상감에서 주사()로 벽사문을 써서 대궐 문설주에 붙이거나, 『은중경()』의 진언()을 인쇄하여 문에 붙이기도 하였으며, 공고()의 의미로서 국왕이 내린 별유()를 입춘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인접국가사례

중국에서는 춘첩으로 제석()에 ‘하도낙서()’, ‘신도울루’, ‘인봉구학()’ 등의 글을 써서 붙이거나, 정월 초하루에 붉은 종이에다 글을 써서 붙이기도 하며, 상원()에는 춘첩을 훔치는 풍속도 있었다.


. 출처: 입춘축[立春祝]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 필자 주 1). 문신호령 가금불상(門神戶靈 呵禁不祥)



5]. 입춘절식


입춘절식[]

요약 한국 고유의 절식으로, 입춘일에 만들어 먹는 햇나물무침.


입춘일에는 입춘대길() 등 좋은 뜻의 글씨를 붓으로 써서 대문에 붙이는 풍습이 있었고, 기협 6읍(:경기에서 산이 많은 ·····의 여섯 고을)에서는 움파·멧갓·승검초 등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어 임금님께 진상하였으며, 궁중에서는 이것으로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 요리인 오신반()을 장만하여 수라상에 올렸다.

이것을 본보기로 민간에서는 입춘일에는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다 무쳐서 입춘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생겼다.


. 출처: 입춘절식[立春節食] (두산백과)


. 필자 주 2). 입춘절식으로 무우나 햇나물을 먹으면 적당할 것.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중국 및 다른나라들의 유교와 교육등을 되돌아보고,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고 있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1. 한국인은 행정법상 모두 유교도임. 가족관계의 등록등에 관한 법률 제 44조 제2항 및 제 71조 제 3호에 의해 그렇습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179




2. 세계사의 正史 개념으로 보면, 제자백가이후,漢나라때 국교로 성립된 유교는,이후 동아시아의 주요이념으로 세계종교화. 

http://blog.daum.net/macmaca/2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