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양절(음력 9월9일, 양력 10월 28일) 전후로는 국화를 즐기며, 등고(登高)의 시기입니다.

중양절(음력 9월9일, 양력 10월 28일) 전후로는 국화를 즐기며, 등고(登高)의  시기입니다.




@ 음력 9월[중양절(重陽節)의 명절(名節)풍속이 있음]의 국화에 대해 유교경전 예기는 이렇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1]. 유교 경전(儒敎經典) 예기(禮記)에 나타나는 음력(陰曆) 9월(月)의 국화(菊花).


季秋之月.... 
鞠有黃華... 


국유황화(鞠有黃華)


국화는 노란 꽃이 되고...


국은 菊과 통함. 오색 중 황은 중색(中色)으로서 귀하게 여기므로 특히 황화라고 했다.


. 출처:신역(新譯) 예기(禮記),역해자(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2003.10.30


.필자 주 1). 음력(陰曆) 역법(曆法)으로 가을은 맹추지월(孟秋之月), 중추지월(仲秋之月), 계추지월(季秋之月)의 석달이 있는데, 季秋之月은 마지막 가을의 달로, 음력 9월을 말함.


. 필자 주 2). 之月의 용법과 관련하여, 예기에서는 음력 8월인 중추에 대해서는 仲秋之月로 쓰고 있는데, 예기 아닌 일반적 용법에서, 중추절이라 할때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a). 국립국어원의 국어사전

중추절 仲秋節


b). 오픈마인드 한자사전

중추절 仲秋節


c). 한국 민족문화대백과


가배·가위·한가위 또는 중추절()이라고도 한다.


d). 두산백과


중추절 [zhong qiu jie, 中秋节]


e). 다락원


중추절[中秋節]        


.출처:중추절[中秋節]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2011. 3. 3., 다락원)

f).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중한사전

秋节


1. [명사]중추절. 추석.

.....    

 

. 출처: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중한사전       

   

f). 교학사 중한사전

八月节
1.[명사] 음력 8월 15일. 한가위. 추석. 중추절.

. 출처:교학사 중한사전 (박영종 저)                                   


2]. 필자의견

학설이나 이론들이 일치하지 않을때는,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발행하는 여러가지 교과서나, 기타의 검인정 교과서가 우선이 되겠습니다.(국사  편찬위의 국사, 다른 형태의 세계사, 국가의 公敎育인 삼강오륜 교육등 교과서 공교육이 우선). 그리고 용어에 관련하여서는 국립국어원의 국어사전이 우선되고, 한자사전 및 중국어사전등도 병행하여서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유교관련용어로는 유교 경전인 오경(五經)과 사서(四書)가 중심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용어나 학설에 관한 견해로는 국가에서 관여하는 국사교과서나 대통령령에 의해 발행되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학설(삼국사기는 正史, 삼국유사는 전통적으로 野史의 관례도 반영하여야 할것)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시야를 넓혀볼때는 세계사 교과서나 다른 교과서도 중요하게 반영하여야 할것입니다. 수천년 인류문화를 담는 학설이나 이론에 관하여는 중국이나 로마제국.교황청, 그리고 漢字나 라틴어가 언제든지 중요하며, 국가주권을 반영할때는 해당국가의 국내법을 우선적으로 하면서도 국제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입니다.




3]. 중양절과 함께, 국화의 계절이 찾아왔습니다. 국화향기, 국화주, 국화떡(또 다른 많은 중양떡), 登高 


여러가지 신문이나 자료로 이를 살펴봅니다. 


1. KBS, 2016.09.15 , 김재현 기자 보도기사.


지금부터는 상항(上項)의 날과 속절(俗節)인 단오(端午)·중추(中秋)·중양(重陽) 등에는 모두 사형을 금하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세종 21년 12월 4일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45529



2. 경기 도민일보


국화꽃 향기 가득한 중양절 세시행사수원광교박물관 앞마당 등지서


2016.10.04, 우영식 기자 보도기사  



http://www.kgdm.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4221



3. 비전성남, 구현주 기자, 2016/09/22 보도기사


축제는.... 한국의 전통 세시풍속인 중양절(음력 9월 9일)에 맞춰 10월 8·9일 진행된다. 축제는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한·중 요리배틀, 중양절 체험 이벤트, 다문화 이색 먹을거리 체험, 다문화 노래자랑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성공적인 축제를 위해 상인들은 온라인마케팅을 비롯해 골목환경개선을 위한 정화활동을 펼치고 ‘상점 이어주기 쿠폰’과 ‘맛집지도’를 제작해 손님 맞을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http://snvision.seongnam.go.kr/sub_read.html?uid=5765




4. 뉴스웍스, 유광종 기자, 2016.09.21 보도기사 



....중국에서는 국화의 꽃잎이 장수(長壽)에 도움을 준다고 해서 수객(壽客), 연령객(延齡客), 만절향(晩節香)으로도 부른다. 해의 정기가 모아져 역시 건강 유지에 효험이 있다고 해서 일정(日精)으로도 적었다. 음력 9월에 피는 꽃이라 해서 구화(九花)로도 부른다.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345




5. 중국의 창. 2016-10-03 보도기사 



....또 국경절 연휴 후 곧 맞이하게 될 노인절인 중양절의 영향을 받아 60세 이상의 노인 관광객도 대폭 늘어나고 있습니다. 많은 가정은 아이들을 데리고 외출하고 있습니다. 상해 디즈니, 광주 장륭(長隆) 풍경구, 주해 장륭 해양세계 등 코스의 인기도 올라가고 있습니다.

'도우관광사이트' 대외연락부 왕밀(王蜜) 여사의 소개에 따르면 서북과 서남의 가을철 관광도 국내 관광의 큰 특점으로 되고 있습니다.


http://korean.cri.cn/1620/2016/10/03/1s240715.htm




6. 중양절, 중국에서 유래한 명절이 한국의 전통 명절 된 유래는 


일간스포츠, 2015.10.21 보도기사   


http://news.joins.com/article/18902713



7. “국화 핀 서리 아침, 떨어진 잎새 울리고 오는 가을바람…”


위클리 서울, 김초록 기자, 2016.09.30 보도기사


<김초록 에세이> 국화(菊花)를 위하여


http://www.weeklyseoul.net/news/articleView.html?idxno=34743




8.  국화전과 국화술, 중양절 ‘세시 풍속과 절기 음식’

뉴시스, 유상우 기자, 2013.10.12 보도기사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011_0012426356&cID=10201&pID=10200




9. 경남 함양 지리산국화주, 이번엔 산삼수 개발





세계일보, 창원 안원준 기자, 2016.09.01 보도기사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9/01/20160901000833.html



10. 중구날-단풍과 국화주술잔에 국화 띄워 시를 짓고…
음력 9월9일 단풍관광 시즌 알리는 날
조선시대 노인잔치로 경로사상 드높여


강원도민일보, 안광선 기자 2013.10.18,보도기사




11.전남도 2월 남도 전통술 '자희향 국화주' 


무안 뉴시스 맹대환 기자, 2015.02.01 보도기사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201_0013450868&cID=10809&pID=10800


12.무학 '국화면 좋으리' 출시…국화주 전국화 시동     

알코올 도수 1도 낮춰 전국 소비자 공략…숙성기간 늘려 국화향 더해

경남도민일보, 우귀화 기자, 2013.10.04 보도기사






13. '중양절 국화떡 맛보러 왔어요'


뉴시스, 박문호 기자, 2012.10.21 보도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780978



14. 곳곳에서 국화 전시회가 열리고, 국화 술을 담그며, 재래시장에는 국화잎이 새겨진 하얀 국화떡 굽는 고소한 냄새가 정겹다



세계일보, 황종택의 新온고지신. 2015-10-07 보도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10/07/20151007003729.html?OutUrl=naver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이나 중국등지의 유교와 전통명절을 되돌아보고, 다방면으로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