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절. 유교국가인 중국.한국등의 전통명절. 설날(중국은 춘절), 청명절(한국은 한식), 단오절, 중추절(한국은 추석)이 전통 4대명절.
@ 중국의 단오절 [ 端午節 ]
단오절은 음력 5월 5일이다. 오월오일(五月五日)이 오월오일(午月午曰)에 해당하므로 단오절(端五節 또는 端午節)이란 명칭이 생겨났다. '五'가 겹친 날이어서 중오절(重五節)이라고도 하고, 양수(陽數)가 겹친 날 중 가장 햇볕이 강한 날이라 하여 단양절(端陽節)이라고도 한다.
단오절의 유래는 여름의 더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덥고 습한 날씨로 인해 퍼지기 시작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하려는 액막이의 차원에서 단오절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대문에 창포와 쑥을 걸어 놓거나 종규(鍾旭)의 화상을 붙이는 것을 비롯하여, 어른들이 웅황주(雄黄酒)를 마시고, 어린아이들의 몸에 향주머니(香包)를 달아주는 것 모두 액막이라는 소망이 담겨져 있다. 물론 이것들이 벌레를 쫓거나 살균·해독 작용을 한다는 위생적인 측면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한편 단오절이 중국인의 사랑을 받는 중요한 명절이 된 것은 굴원(屈原)의 전설에서 영향 받은 바가 크다. 굴원은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시인으로서, 여러 차례 초희왕(楚懷王)에게 부패를 청산하고 국시(國是)를 바로잡기를 요구하다가 먼 곳으로 유배를 당했다. 유배지에서도 늘 나라와 백성을 걱정하며 노심초사하던 어느 날, 초나라의 수도가 진(泰)나라에 의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비통한 나머지 멱라강(泪羅江)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때가 바로 기원전 278년 음력 5월 5일이며, 그의 우국충정을 기리는 날이 된 것이다.
단오절에 용선경기(龍舟競賽)를 실시하고 종자(棕子)를 먹는 것도 굴원의 전설에서 연유한 것이라 한다. 굴원이 멱라강에서 자살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백성들은 애통해 하며 배를 내어 굴원의 시신을 찾아 나섰고, 물고기들이 굴원의 시신을 해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음식물을 강물에 던져 넣었다. 이후 사람들은 굴원에 대한 애도의 표시로 제사를 지내면서 강에 배를 띄우고, 대나무통에 찹쌀을 넣어 강에 던졌다. 여기에서 용선경기와 종자가 발전되어 나온 것이다....
.출처:단오절 [端午節]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2011. 3. 3., 다락원)
@ 베이징관광국 한글 공식사이트 운영팀에서는 단오절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소개에 따르면 현재 쭝즈는 정월 보름에 먹는 원소, 추석에 먹는 월병과 함께 중국 3대 명절 음식으로 불리우고 있다. 매년 5월 초 많은 가정에서는 찹쌀을 담그고 대나무잎을 씻어 다양한 맛과 모양의 쭝즈를 만들고 있다.
초기 단오절은 병마를 제거하고 악귀를 쫒는 명절에서 유전되었다.
민속전문가의 소개에 따르면 고대에 5월은 "악월(恶月)", "독월(毒月)"이라 불리웠고 5일은 "악일(恶日)", "독일(毒日)"이라 불리웠다. 5월 초닷새는 악월 악일이라 사람들은 이 날을 매우 꺼려했다. 때문에 단오절은 최초 병마를 제거하고 악귀와 재난을 쫓는 명절에서 전해진 것이다.
단오절기간은 마침 여름철에 가까워지면서 한기와 열기가 서로 바뀌는 시기이다. 우수가 많아지고 독충이 번식하기에 사람들은 쉽게 병에 걸릴 수 있다. 때문에 고대 사람들은 단오절이면 쑥이나 창포, 마늘 등을 집 대문에 걸어놓는 풍속이 있었는데 사실 이는 맹목적인 미신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독충을 쫓고 병균과 악취를 제거하는데 일정한 효과가 있다....
@ 한국의 단오절.
...
한국의 경우, 고대 마한의 습속을 적은 《위지(魏志)》 <한전(韓傳)>에 의하면, 파종이 끝난 5월에 군중이 모여 서로 신(神)에게 제사하고 가무와 음주로 밤낮을 쉬지 않고 놀았다는 것으로 미루어, 단오를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는 제삿날인 5월제의 유풍으로 보기도 한다. 고려가요《동동(動動)》에는 단오를 ‘수릿날’이라 하였는데 수리란 말은 상(上) ·고(高) ·신(神) 등을 의미하며, 수릿날은 신일(神日) ·상일(上日)이란 뜻을 지닌다. 여자들은 단옷날 ‘단오비음’이라 하여 나쁜 귀신을 쫓는다는 뜻에서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얼굴도 씻으며, 붉고 푸른 새 옷을 입고 창포뿌리를 깎아 붉은 물을 들여서 비녀를 만들어 꽂았다. 남자들은 창포뿌리를 허리춤에 차고 다녔는데 이는 액을 물리치기 위해서라고 한다. 단옷날 아침 이슬이 맺힌 약쑥은 배앓이에 좋고, 산모의 약이나 상처 치료에 썼다. 또 단옷날 오시(午時)에 목욕을 하면 무병(無病)한다 하여 ‘단오물맞이’를 하고 모래찜을 하였다. 이 밖에 단오 절식으로 수리취를 넣어 둥글게 절편을 만든 수리취떡[車輪餠]과 쑥떡 망개떡·약초떡 ·밀가루지짐 등을 먹었고, 그네뛰기 ·씨름 ·탈춤 ·사자춤 ·가면극 등을 즐겼다.
. 출처: 단오[端午] (두산백과)
* 필자 주: 황하문명을 가지고, 유교종주국이며, 漢字를 발명한 중국. 그리고 세계사에서 세계 4대 발명품을 가지고 있는 중국.
중국은 문화혁명으로 수천년의 전통유교가 침체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최근에 전통 유교명절들인 춘절(한국은 설날), 청명절(한국은 한식), 단오절, 중추절(한국은 추석)의 4대 명절이 공휴일로 되었습니다.
한국은 중국처럼 비슷한 명절을 가졌는데 설날, 단오, 추석이 전통적인 3대 명절입니다.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중국과 한국의 전통 유교명절인 단오절을 알아보고, 교육.홍보차원으로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