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각료·의원, 일어사전에 군 위안부 강제성 삭제 압박".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

. 제목: "일본각료·의원, 일어사전에 군 위안부 강제성 삭제 압박".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 

@ 연합뉴스 기사 웹주소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0/18/0200000000AKR20141018025400073.HTML?input=1179m

 

1). 연합뉴스 보도내용중 주요 부분.

.......산케이 신문은 일본 사전에 등장한 군 위안부 관련 기술의 예로 이와나미(岩波) 서점의 일어사전인 '코지엔(廣辭苑) 제6판과 산세이도(三省堂) 출판사의 일어사전인 다이지린(大辭林) 제3판이 "일본군 병사(장병)의 성(性) 대상이 되기를 강요당한 여성"으로 설명한 부분 등을 소개했다.  

일본 장관과 여당의원의 문제 제기는 결국 아사히신문이 요시다의 강제연행 증언을 허위라고 판단한 것을 빌미 삼아 군 위안부 제도의 강제성 자체를 부정하려는 시도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위안소에서 성 상대가 되기를 거부할 자유와 이동 및 이직의 자유를 박탈당한 채 일본 군인들을 상대했던 것 자체가 사전의 설명대로 '병사의 성 대상이 되기를 강요당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가 국제사회의 상식으로 통용되고 있다.

또 일본 우익들이 아사히의 오보 인정을 계기로 부정하려 하는 이른바 '좁은 의미의 강제연행' (군이나 관헌이 직접 납치 형태로 여성을 끌고 가 위안부로 삼은 것) 역시 1944년 일본군이 네덜란드 여성 35명을 연행해 인도네시아 자바섬 스마랑 근교에 억류하고 군 위안부로 삼은 사건을 단죄하기 위해 전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BC급 전범 군사재판의 공소장과 판결문 등에 명백히 적시됐다....

 

2). 필자의견. 아사히의 오보가 있었다 하더라도, 위안부의 강제성은 변하지 않는게 옳은 판단입니다.

위안소에서 성 상대가 되기를 거부할 자유와 이동 및 이직의 자유를 박탈당한 채 일본 군인들을 상대했던 것 자체가 사전의 설명대로 '병사의 성 대상이 되기를 강요당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가 국제사회의 상식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 구절이 옳은 견해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는 네덜란드 여성들의 경우처럼 제대로 걸리면 전범재판감입니다. 우리 독자들은 가끔, 출간된 서적들중에서 일부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를 발견하기도 하고, 맞춤법이 틀린 경우도 발견하게 됩니다. 그 경우에, 일부내용의 오류나 맞춤법이 틀린부분은 교정시켜 달라고 요구할 수 있어도, 전체적인 사상의 틀이나 내용 전체를 바꿔달라고 요구하면, 출판사나 신문사 측에서는 당연히 거부하게 되어 있습니다. 법원의 판결이 나오기 전에는 출판사의 결정이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서울신문 기사 웹주소.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017011017

 

1). 서울신문 보도내용중 주요 부분

 ...요미우리신문은 사토 구니 일본 외무성 인권·인도담당대사가 지난 14일 미국 뉴욕에서 쿠마라스와미 전 특별보고관을 만나 보고서의 일부 철회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8월 아사히신문이 오보를 인정한 요시다 세이지의 조선인 군 위안부 강제연행 증언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일본 정부가 “요시다 증언은 허위였음이 판명됐고 아사히신문도 관련 기사를 철회했다.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요시다 증언과 관련된 보고서 일부 내용의 철회를 요구했다는 것이다....

2). 필자의견

일본 외무성 인권.인도담당 대사가 쿠마라스와미 전 특별보고관을 만나 보고서의 일부 철회를 요구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는 옳은 처사가 아닌것 같습니다. UN의 공식보고서인데 개인적으로 사적으로 만나서 내용 철회를 요구하는것은 사리에 맞지 않으며, UN을 통해서 공식적인 청문회를 거쳐야 합니다. 일본은 앞으로 UN보고관을 개인적으로 만나서 압박하거나, 금전등으로 회유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니, 전 세계의 해당 당사자들이 일본의 이런 행동을 제지해야 합니다.  


이런 요구에 대해 쿠마라스와미 전 특별 보고관의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신문 보도기사 내용입니다.


...쿠마라스와미 전 특별보고관은 “요시다 증언은 증거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보고서의 철회나 수정은 필요하지 않다”면서 철회를 거절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 MBN뉴스 보도기사 웹주소.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8&news_seq_no=2033079    


* 이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차원의 글입니다. 

일본에 의해 왜곡된 한국의 전방위적 피해. 이는 교육과 종교뿐 아니라 전방위적 이었습니다. 일본강점기에 거의 모든것을 빼앗긴 한국의 주권회복을 위하여 자료를 인용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