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다양한 역사와 문화,종교,언어,인종,정치이념이 공존하는 현대사회. 수십억의 다양한 목소리를 모두 다
수용해 줄 수는 없으므로, 필자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세계사 교과서.백과사전.학술서적등을 공통분모로 하여 서로 다른 이견을 조정하고 싶습니다.
I. 어떤 나라, 어떤 민족, 또는 누군가에게는 불만족이겠지만, 학교에서 가르치는 세계사 교과서 및 대학교재, 백과사전, 학술서적, 논문만큼 명확한 근거도 없을 것입니다.
우리세대와 그 이후 세대가 배웠고 배우는 교과서(참고서 포함)내용은 거의 변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아편전쟁이후 세계의 지배세력으로 작동하던 서유럽과 교황청 중심의 각종 이론이 인문사회.자연과학 각분야에서 학설로 굳어져 지금도 그렇게 교과서(참고서 포함)를 통하여 반복 교육되고 백과사전이나 여러 학술서적.논문.일반서적등을 통하여 교육되어지고 있다 할 수 있습니다. 학설이 교과서.참고서에 등재되면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잘 바뀌지 않겠지요.
중국의 지식인들도 인지하듯이 世界史 不變의 법칙도 한국이나 다른나라에서도 거의 똑같을 것입니다. 교과서(참고서 포함)의 세계사나 지역사를 토대로 오랜세월을 통하여 교육되면 국제관습법(국내 관습도 국제관습법 개념임)영역의 보호대상이 됩니다.
- 메소포타미아 문명, 황하문명, 나일문명, 인더스문명. 그리고 에게문명.
- 漢나라를 통한 세계종교로서의 유교의 보급, 기독교의 공인이후 로마제국을 통해 세계종교로 자리잡아가기 시작한 로마 가톨릭등.
서로마제국의 몰락이후에도 동로마제국을 유지하던 탓에 로마황제같은 절대 권력자가 없어졌어도, 교황권과 서유럽의 여러나라 황제권이 공존과 갈등을 통하여 고유의 歷史的인 위치를 형성하면서 현재에는 로마교황과 유럽의 여러 국왕, 그리스정교.러시아정교, 미국의 개신교가 기독교가 되고 황하문명에서 형성된 유교는 중국.한국.베트남.몽고 및 신생국가인 대만.싱가포르, 여러나라 화교등에 유교로 계승되고 있습니다.
- 또한 세계 최초의 대학인 漢나라 太學(太學은 國子監으로 이어짐, 元明淸의 國子監은 京師大學堂으로 대체되고 北京大로 변천), 중세시대에 세워진 볼로냐대학, 파리대학(최근에는 영국의 옥스브리지도 교과서.참고서 영역에 보이고 있음).
세계사 대학은 아니지만, 地域史로 스페인(세계제국 건설한 나라)의 살라망카대학도 중요합니다. 韓國史는 漢나라 太學에서 파생된 고구려 태학이후, 통일신라 국학, 고려 국자감, 조선 성균관(해방이후 성균관대로 이어져 600년 역사를 가짐)이 세계사의 대학을 모태로 역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한국은 宮 성균관대=御 서강대의 Royal대학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독일의 하이델베르크 대학, 체코의 프라하대학, 오스트리아 빈대학등도 유럽에서 형성된 역사적인 대학들입니다.
교황청의 실세계파가 된 예수회의 그레고리오 대학, 포르투갈 코임브라대학 및 러시아의 모스크바대학.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 미국의 하버드나 예일대학.교황청에서 설립한 예수회의 조지타운대학등도 중요한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들입니다.
II. 세계 4대 성인. 世界史의 교과서적 정론으로 적극 교육되지는 않지만, 현대에 일반화 된 이론이라 할 수 있음.有神論과 무신론을 구별하지 않을경우, 카를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의 철학적 견해에 의한 세계 4대 성인은 다음과 같음.
. 요약: 공자, 예수, 소크라테스, 석가모니
1]. 위키백과 의견.
소크라테스를 설명하면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사람으로 설명.
흔히 공자, 예수, 석가와 함께 세계 4대 성인으로 불린다. 실존철학의 거장인 카를 야스퍼스의 저서 위대한 사상가들에서도 그렇게 보고 있다.
2]. 엔하위키 미러의견.
3]. 경향신문은 4대 성인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2010,09,03, 김학순 대기자 기사, 4대 성인이 인류에 던진 4색 빛)
세계 4대 성인을 꼽자면 약간의 논란이 따른다. 예수, 석가모니, 공자까지는 이론의 여지가 별로 없어 보인다. 서양에서는 당연히 소크라테스에게 나머지 한 자리가 돌아가야 한다는 견해가 대세다. 여기에 가장 강력히 이의를 제기하는 게 이슬람권이다. 이슬람교 창시자 무함마드(마호메트)가 4대 성인의 반열에서 빠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무함마드가 빠지는 건 이슬람을 견제해온 서구의 영향 때문이라고 여기는 이들이 없지 않다.
실존철학의 거장인 카를 야스퍼스도 4대 성인으로 소크라테스, 석가모니, 공자, 예수를 주저없이 든다. 야스퍼스는 <위대한 사상가들>(책과함께)에서 이들 네 사람을 신격화하지 않고 객관적 시각에서 보더라도 인류에게 가장 긍정적 영향을 끼친 모델로 삼을 만하다고 확언한다. 종교의 창시자라 하더라도 인간적 한계까지 서술하고 있어 책 제목도 <위대한 사상가들>(원래는 위대한 철학자들)로 정한 듯하다.
III. 세계 4대 종교. 세계사에서 적극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이론으로, 시중에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제시되고 있음.
1]. 한국의 주요서적이나, 논문, 신문 및 외국의 서적등에서는 그렇게 서술하는 내용이 많음. 현재의 세계사영역은 세계의 4대 종교를 서술하지 않고 있는것으로 여겨지며, 세계의 4대 종교에 대한 논란은 많을것입니다. 그런데 세계 4대 성인으로보면 이전처럼 유교,기독교,불교,이슬람교가 관습상의 세계 4대 종교라고 판단합니다. 관습상 세계 4대 종교는 이전처럼 유교,기독교,이슬람교,불교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세계사 교과서 영역(참고서 포함)에서 세계 4대 문명만 표시하고, 4대 종교는 표시하지 않기때문에, 어찌될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여러지역의 종교를 언급하고만 있습니다. 황하문명에서 피어난 세계사의 선발종교인 유교는 공자님(원시유교의 계승자이자 전달자) 이전의 원시종교 과정이 있었습니다. 예수님 이전의 원시기독교처럼(유교의 五經은 기독교의 舊約聖經에 해당하고 유교의 四書는 기독교의 新約聖經에 해당됩니다). 창조주인 하늘천이 인간을 창조한 유신론 종교(天生蒸民)인 유교는 창조주의 인간창조에서 기독교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브라만교에 대항해 생겨난 불교는 인간 부처가 창조주를 가르치고 창조주가 부처 발밑에서 무릎꿇고 배우는 방식이라 이런점이 분명하게 다릅니다.
2]. 세계 4대 종교를 유교,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로 보는 서적들의 견해
A]. 배려와 학습. 신창호 저/박영사/2013.03.05, 페이지 224
CHAPTER 04 세계 4대종교에 나타난 배려의사유
1. 유교:인(仁)의 관계망, 2.불교:줄탁동시(啐啄同時)의 소통, 3.기독교:사랑의 계명, 4. 이슬람교:평화의 메시지
B]. 최후의 만찬은 누가 차렸을까? 세계 여성의역사.
로잘린드 마일스 저/신성림 역/동녘/2005.10.15, 페이지 454
C].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단식의 기적).
폴 씨 브래그 지음/김태수 옮김/건강신문사/2005.09.15
- 감각 세계로부터 정신을 분리하는 것이 정신 세계의... 전에 40일간 사막에서 단식을 했다.오늘날 세계의 4대종교-기독교, 유교, 회교, 불교-의 창시자들은 몸과 마음과...
- (301페이지)
D]. 유학 경영에 답하다.
권경자지음/원앤원북스 펴냄/2010.02.18. 본문중 1부 경영, 유학에서 길을 찾다-33 페이지
...중국의 놀라운 부상의 원동력이 무엇인지 등의 궁금증을 자아내며 동아시아는 주목과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이러한 국가들이 경
제성장을 통해 급부상한 사유가 유교였다는 점에서 유교와 자본주의를 결합해 ‘유교자본주의’라고 명명했다.세계지도를 펼쳐보면 가장 넓
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대륙이 아시아다. 또한 기독교· 불교·이슬람교·유교 등 세계 4대종교와 황하 · 인도·메소포타미아 문명 등이 ..
E]. 세계사 100장면.
박은봉 지음/실천문학사 펴냄/1998.12.18
54페이지,
F]. 재미있는 논어 이야기.
이 언호지음/큰방 펴냄/2010.06.05
- 155페이지,
- 뒷모습만 바라보고 있었는데,그가 문 밖으로 사라지자 염유는 갑자기 깨어난 것처럼 일어나 공자의 방으로 달려갔다.흔히 불교·기독교·유교·마호멧교를 세계의 4대 종교라고
G]. Palgŭn sahoe yŏnʼgu, 17-18호
Palgŭn Sahoe Munje Yŏnʼguso(* 밝은 사회 문제 연구소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걸로 나타남, 인터넷 검색 요망)/1996
194 페이지,
그러나 오늘날 세계 의 4 대종교 라고 불리고 있 는 기독교 - 불교 - 이슬람교 - 유교등 의 지도자 들을 한자리 에 모이 도록 주선 하여 세계 평화 와 인류 사회 의 발전 에 대하여 토의 하여 그 결과 로 새로운 긍정적 인 방향 으로 인류사 회 를 이끌어 ...
|
신월지음/뿔미디어 펴냄/2011.08.25
210페이지,
우리에게 맡긴 곳은 한 종교단체.기본적으로 기독교 신생단체를 표방하고 있지만...교리를 살펴보면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유교등 세계4대 종교의 교리를 모아 짜집기 한 곳이다.
I].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1.
김상훈/다산에듀/2011. 인터넷으로 검색해 볼것.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1
books.google.co.kr/books?isbn=8963706400
김상훈 - 2011 - 미리보기 - 에디션 더보기
세계 역사를 이끈 대륙 아시아의 고대∙중세 역사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염두에 둬야 할 대목이 있어. 같은 아시아인 ... 이 가운데 이집트 문명을 뺀 나머지 3대 문명이 발생한 지역은 모두 아시아야. ... 인류의 4대 종교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유교야.
* 본 글은 비영리적, 공익적인 글입니다. 세계적으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올수 있지만,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술서적.백과사전.논문등의 자료들은 世界人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학술근거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세계를 이해하도록 자료를 인용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