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르망디 70주년 기념식, 올랑드 "소련군 승리 공헌" 평가, "위기가 전쟁으로 치닫지 않길".

노르망디 70주년 기념식, 올랑드 "소련군 승리 공헌" 평가, "위기가 전쟁으로 치닫지 않길".

 

@노르망디 70주년 기념식, 올랑드 "소련군 승리 공헌" 평가. 뉴데일리 기사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06814

 

@노르망디 70주년 기념식, 올랑드 "위기가 전쟁으로 치닫지 않길". 이투데이 기사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927327

 

* 필자 주:타국에 점령당했던 나라들은 승전국.해방국 자격을 꾸준히 강조해야 손실 없음. 패전국에 혹독했던 역사와달리,일본.그 강점기잔재를 방치해온 한국.

 

* 본 글은 비영리적, 공익적인 차원에서, 자료를 인용했습니다. 2차대전때 나라를 점령당해 보았던 나라들[(프랑스나 난징대학살등을 겪었던 중국 같은 경우), 을사조약이 무효기때문 이때부터 일본에 강제 점령당해 2차대전때도 강제 점령상태였던 한국. 을사조약후 의병투쟁 및 군대해산 반발에 의한 투쟁,  해외에서의 독립군 활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등은 일본 강점기에 대항한 조직적인 무력항쟁이었음)]의 심정에 동조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인류가 국제법등의 문명화 된 제도를 정비한 이후부터는 국제법이나 해당국의 국내법으로 강제로 남의 나라를 침략하거나 전쟁범죄를 일으키고 단죄받지 않은 전쟁범죄자가 남아 있다면 힘이 닿는한 끝까지 법의 심판을 받게 해야 할것입니다. 또한 회복되지 않은  주권이 있다면, 이에 대한 회복조치를 기한없이 수행해야 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