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urasia 內陸進出. IMF “한국 1인당 GDP 일본 수준”.

 

Eurasia 內陸進出. 국가 전체 PPP로 보면 중국이나 인도가 일본보다 크고 1인당 PPP로 보면 한국이나 일본이나 아주 큰 차이도 없음. 일본의 산업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패전국에 UN적국이라 우주기술, 군사기술, 핵기술등을 마음대로 발전시키기도 어려운 한계도 있음. 일본은 군사 강대국이 아니고  수천년동안 한국보다 밑단계의 야만족출신에, 한때는 한국을 어버이나라로 섬기던 비문명국 출신임. 갑자기 군사.경제 강대국으로 올라선 19세기이후~2차대전 패전까지의 도약기가 있었고, 지금은 일본이 경제 선진국 대우를 받지만 여러가지를 고려하면 한국이 일본보다 못할게 전혀 없음(일본이 정식 군대 못가지는 패전국에 UN적국이 되고 그 이전부터 한국에서 문물을 받아들이던 역사를 고려하면 어떤 측면에서는 한국이 위임). 국력이 강하고 약하고가 문제가 아니라 일본은 한국을 불법 강점한 데 대한 잘못을 인정치 않고 오히려 경제력이나 한국 내부의 일본 강점기 잔재세력을 믿고 한국을 이기려 하니까 문제되는 나라임. 여하튼 미국.중국.러시아.영국.프랑스같은 강대국이나 교황청처럼 오랜전통에 세계적 영향력를 가진 神性國家 체제에는 한국이 갈등을 일으키는건 바람직하지 않은 외교정책 같음.      

 

* 필자 주 1). PPP는 Purchasing Power Parity의 약자로 구매력평가라 함. 환율과 물가상승률의 관계를 말해주는 개념임. 국가별로 물가 수준을 고려해 각국의 통화 구매력을 같게 한 통화비율로, 이는 환율과 물가 상승률과의 관계를 말해주는 개념입니다.

PPP기준 GDP는 각국의 통화단위로 산출된 GDP를 단순히 달러로 환산해 각국의 통화단위로 산출된 GDP를 단순히 달러로 환산해 비교하지 않고, 각국의 물가수준을 함께 반영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필자 주 2).  IMF기준, 2012년 1인당 PPP로 보면 아시아 유교국 중 소규모 국가인 싱가포르가 60,799$, 홍콩이 50,936$, 대만이 38,357$임. 5천만 이상 인구를 가진 한국은 31,950$. 유교국가는 아니고 불교특색을 강하게 퍼뜨려온 후발국지적 신도국가 일본의 1인당 PPP는 35,855$.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인데, 중화권 국가체제를 가진 홍콩,싱가포르,대만등이 중국과의 교역으로 혜택을 보는것 같음.    

 

다음의 IMF 기준 1인당 PPP 출처는 위키백과입니다.

 

 

 

* 필자 주 3). 이 출처도 위키백과 입니다.  IMF기준 2012년 국가별 PPP(단위:$Billion, 십억달러) 예측치는 1위 미국이 15,685($Billion), 2위 중국이 12,406($Billion)임. 다음부터는 주요국가 국가 전체 PPP임. 3위 인도(4,684$Billion), 4위 일본 (4,627$Billion), 5위 독일(3,197$Billion), 6위 러시아(2,513$Billion), 7위 브라질(2,355$Billion), 8위 영국(2,336$Billion), 9위 프랑스(2,254$Billion), 10위 이탈리아(1,833$Billion), 11위 멕시코(1,759$Billion), 12위 한국(1,614$Billion), 13위 캐나다(1,488$Billion), 14위 스페인(1,411$Billion), 15위 인도네시아(1,217$Billion), 16위 터키(1,123$Billion), 17위 이란(999$Billion), 18위 호주(971$Billion), 19위 사우디 아라비아(907$Billion), 20위 대만(903$Billion)임.  

 

IMF GDP Forecast (2011-2018), PPP adjusted
(USD Billions)
Rank Country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Estimate as of 
 World 79,285.920 83,140.055 87,209.739 92,483.482 98,414.787 104,888.462 111,909.159 119,344.057 April 2013
1  China 11,305.769 12,405.670 13,623.255 15,039.001 16,647.491 18,442.890 20,440.875 22,641.047 April 2013
2  United States 15,075.675 15,684.750 16,237.746 16,676.165 17,126.421 17,588.835 18,063.733 18,551.454 May 2013
3  India 4,425.642 4,684.372 5,031.678 5,451.406 5,930.097 6,468.908 7,065.249 7,717.562 April 2013
4  Japan 4,457.555 4,627.891 4,778.523 4,942.314 5,095.029 5,264.340 5,441.342 5,619.492 April 2013
5  Germany 3,113.927 3,197.069 3,269.562 3,383.051 3,496.759 3,616.584 3,741.501 3,868.064 April 2013
6  Russia 2,387.934 2,513.299 2,640.737 2,795.067 2,956.892 3,127.126 3,309.291 3,501.100 April 2013
7  Brazil 2,294.178 2,355.586 2,466.567 2,617.292 2,780.283 2,956.225 3,145.328 3,345.601 April 2013
8  United Kingdom 2,291.431 2,336.295 2,391.042 2,476.090 2,572.432 2,676.888 2,791.251 2,920.877 April 2013
9  France 2,213.780 2,254.067 2,289.622 2,355.727 2,438.218 2,532.454 2,634.650 2,741.658 April 2013
10  Mexico 1,662.364 1,758.896 1,848.416 1,949.248 2,055.105 2,167.207 2,286.826 2,412.430 April 2013
11  South Korea 1,554.124 1,613.921 1,687.138 1,787.683 1,897.170 2,013.951 2,138.890 2,270.913 April 2013
12  Italy 1,844.392 1,832.916 1,835.657 1,881.811 1,942.833 2,011.055 2,083.028 2,152.709 April 2013
13  Indonesia 1,125.286 1,216.738 1,314.660 1,426.600 1,549.072 1,684.114 1,832.107 1,992.555 April 2013
14  Canada 1,435.781 1,488.311 1,534.937 1,602.809 1,675.880 1,752.581 1,832.405 1,912.198 April 2013
15  Spain 1,405.787 1,410.628 1,411.493 1,450.178 1,499.399 1,552.973 1,610.225 1,670.221 April 2013
16  Turkey 1,075.467 1,123.380 1,181.012 1,249.437 1,329.904 1,417.308 1,512.511 1,613.664 April 2013
17  Saudi Arabia 834.097 906.806 962.132 1,022.128 1,089.009 1,160.498 1,237.092 1,317.860 April 2013
18  Australia 920.751 970.764 1,015.943 1,070.393 1,125.281 1,183.890 1,248.396 1,316.186 April 2013
19  Taiwan 876.567 903.469 945.479 1,001.448 1,066.255 1,137.073 1,217.639 1,305.610 April 2013
20  Iran 1,000.396 999.199 1,002.900 1,033.975 1,075.699 1,122.148 1,171.646 1,225.052 April 2013
21  Poland 771.088 800.934 824.783 859.875 900.810 950.112 1,004.755 1,063.807 April 2013
22  Argentina 716.451 743.121 776.284 819.129 860.704 904.985 952.178 1,001.546 April 2013

 

 

@ 뭐 하나, 마음에 드는것도 없고 반성도 없고, 사죄도 없고, 피해보상도 제대로 않되고(개인적 청구권 측면 생각해 볼것), 전범자 처벌도 않되는 나라 일본.

 

일본은 독일처럼 적극적인 사죄나 보상, 전쟁범죄자 처벌및 영토 할양등이 않되는 나라임. 독일은 이런 절차 거치고 겨우 인정받는 나라인데, 일본은 2차대전 패전후 현실 인식이 너무 않되어 있는 나라임. 한국 영토에 주권없고 축출해야 할 일본 강점기 잔재인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및 그 추종세력, 기타 전방위적 강점기 잔재를 과신해서 그런걸까?  

 

@ 한국에 일본 강점기 잔재세력인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나, 그 추종대학[고려대나 연희대(세브란스 의전 후신 세브란스대학은 아님) 및 기타 일본 강점기 세력들], 친일파 언론(방응모의 조선일보, 김성수의 동아일보, 이에 영향받은 다른 대중 언론), 일본 총독부 이하 교육기구, 종교기구, 행정기구, 헌병.경찰.군.관변 억압단체 및 전방위적인 일본 강점기 잔재세력들. 한국영토에 주권없는 이 불법 강점기 잔재들이 한국 영토에서 추방되어야 한국의 독립운동은 그 결실을 맺게 될 것입니다. 

 

@ 한국의 국교(國敎. 국제법,관습법,美蘇 軍政令에 의한 행정명령등에서는 그러함. 그러나 헌법상 國敎는 없으며 종교의 자유도 있는 나라가 해방후의 대한민국임)는 유교임(그러나 御 서강대 출신이 유교적 전통내에서 가톨릭 예수회 신자를 늘려가는것은 존중해 줄것임). 해방후 南北은 미소군정령등에 의해 모든 국민이 조선성명(朝鮮姓名) 복구령등을 따라 모두가 조선의 유교 한문성씨 쓰는 나라임. 本貫이 어디고 姓氏가 뭐고, 종살이하다 해방되었어도  누구의 후손인지는 알게된 대대적인 과도기를 거친 나라 한국! 격변기가 있었지만 족보나 先山, 문중모임.문중제사등에서 양반가문과 원래의 주인집안을 구별해줌.  

 

@ IMF “한국 작년 1인당 GDP 일본 수준”

http://luxmen.mk.co.kr/view.php?sc=51100009&cm=Business+Strategy&year=2012&no=134584&relatedcode

 

@ "주미 일본대사관, '동해병기'입법 차단 나서"

 http://imnews.imbc.com/replay/2014/nw1800/article/3399358_13479.html

 

 

* 이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차원에서 자료를 인용하거나 웹주소를 명기하였습니다. 일본강점기 잔재로 모든 주권을 잃어버렸던 한국을 생각해 보십시오.